내수면 양식/아쿠아포닉(Aquaponics)

아쿠아포닉을 이용한 도심형 바이오플락 양식 및 식물재배시스템

승명 2018. 5. 6. 19:20

아쿠아포닉을 이용한 도심형 바이오플락 양식 및 식물재배시스템

Abstract


Images (11)

Classifications

A01K63/045 Filters for aquaria
View 16 more classifications

Description



아쿠아포닉을 이용한 도심형 바이오플락 양식 및 식물재배시스템

본 발명은 아쿠아포닉 식물재배 기능을 갖는 폐쇄순환 바이오플락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양식생물을 사육하는데 사용하고 남은 부산물을 포함한 사육수를 미생물에 의해 분해할 수 있도록 한 바이오플락용 수조에서 1차 정화과정을 거친 후, 아쿠아포닉스 식물재배실로 공급하여 식물재배에 필요한 양분으로 사용하는 2차 정화과정을 거친 사육수를 다시 양식생물을 사육하기 위한 사육수로 재활용하여 친환경적인 정화 뿐 만 아니라 동식물 재배를 동시에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한 아쿠아포닉을 이용한 도심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육상수조식이나 노지 등으로 조성된 양식장은 지속적으로 새로운 물을 공급하고 배출하는 방식으로 사육과정에서 발생하는 사육수는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사료 및 생물이 배출하는 노폐물 및 주변 환경으로부터 영양염인 질산염이나 인산염 등이 유입되어 발생되는 부영양화로 인해 수질이 악화된다. 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비용이 수반되며, 실제적으로 사육폐수의 처리시설을 정상적으로 갖추지 못하고 그대로 하천 및 지하로 배출되어 환경오염을 야기 시키고 있다.

기존의 사육수 수질개선을 위한 방법으로는 화학적인 방법과 물리적인 방법이 공지되어 있고, 화학적인 방법은 광합성 억제제, 살초제, 제초제 등의 화학약품을 투입하여 조류 등의 증식을 억제하고 응집제 등을 투입하여 잔재물을 침전되게 하는 방법이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정기적으로 약품을 투입하여야만 효과가 유지되며 투입되는 화학약품으로 인하여 양식장 내의 어류 등이 정상적인 성장을 할 수 없고 식용으로서 안정성도 확보할 수 없다.

또한, 물리적인 방법의 하나인 사육수를 순환시키면서 필터를 이용하여 여과하는 방법은 값비싼 필터를 자주 교체하여야 한다는 문제점이 있고, 또 다른 방법인 응집, 침전, 여과시설을 설치하여 고분자 응집제로 응집하여 침전된 잔재물을 여과시설에서 탈수하여 처리하는 방법은 처리장치를 설치하기 위하여 상당한 면적의 부지와 함께 초기 설비투자가 과다하고 지속적으로 많은 운전비용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산업화와 환경오염으로 인한 먹을거리에 대한 불신이 나날이 높아지면서 친환경적인 방법으로 생산된 농수산물의 수요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으나, 농어촌에서는 WTO 체제 강화와 FTA 확대 등으로 1차 생산 산업인 농수산업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따라서 농어촌의 활성화를 위해 새로운 소득원 창출, 기술선진화를 통한 경쟁력 제고와 자연 환경오염, 인력이 미치지 못하는 자연재해 등에 의한 양식생산의 불안정을 해소하고 바다 또는 강과 같은 수원(水原)이 멀리 떨어진 도시와 같은 곳에서도 양식이 가능하도록 육상 사육시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최근에는 양식기술의 발전으로 대상생물을 바다가 아닌 육상의 수조에서 양식하는 기술이 확립되어있고, 이를 더욱 발전시켜 도심지 등에서 건물 혹은 건축구조물 등을 이용하여 통제된 시설 내에서, 층별, 수조별 다양한 어패류를 양식하는 개념의 복합빌딩양식이 등장하고 있다.

복합빌딩양식이란 바다로부터 떨어진 육상에서 IT를 양식기술에 접목하여 자동화, 무인화를 통해 다양한 어패류를 대량으로 양식하는 기술로서 층별, 수조별 개별관리가 가능하여, 질병 예방 및 확산 방지가 용이하다. 또한, 어종 생육에 따른 크기별 분리 입식이 가능하며, 생산성 향상과 출하시기 등의 조절이 가능하여 양식 어종의 부가가치를 높일 수 있다.

그러나 복합빌딩양식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양식어류가 사용하고 난 오염된 사육수를 재활용할 수 있는 기술이 확보되어야 하고, 이러한 사육수의 재활용을 위해서 개발된 여러 가지 다양한 양식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바이오플락 기술(BioFloc technology)은 종속 영양세균과 양식어종을 함께 양식하여 종속 영양세균이 수조 물속의 유기부산물을 조류(algae)보다 10~100배 빨리 분해하여 물을 정화시킴으로서 종속 영양세균에 분해된 유기부산물은 다시 양식 어종에 단백질 먹이가 되어 물 교환 및 수처리 등의 여과 과정이 필요 없는 양식방법이다.

그러나 현재의 바이오플락 기술을 이용한 사육수 정화시스템에는 한계가 있어 새로운 사육수를 공급해야 할 필요성이 있고, 수조에 수용하는 어류의 개체수가 증가하면 효율이 사육수 정화효율이 떨어지기 때문에 이를 증가시킬 방법이 필요하다. 최근에는 이러한 문제점을 원천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사육수의 교체 없이 제한된 사육수를 지속적으로 순환시켜 재사용하는 아쿠아포닉 양식법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아쿠아포닉(Aquaponics)은 물고기 양식(Aqualculture)과 수경재배(Hydroponics)를 융합한 기술이다. 수조에서 물고기를 키우고, 물고기 배설물과 소진되지 않은 물고기 사료 등 사육수의 수질을 악화시킬 수 있는 오염원을 순환시켜 수경재배하는 식물에게 공급하며, 식물의 뿌리는 물속의 녹아든 물고기 배설물 등의 유기물에서 영양을 섭취하고 물고기에 유해한 암모니아를 정화시켜 물고기에게 깨끗한 물을 돌려주는 시스템이다.

아쿠아포닉 시스템은 식물과 어패류 뿐 만 아니라 환경유용 미생물이 포함되며, 환경유용 미생물을 이용하여 암모니아, 아질산 등 오염물질을 분해시키거나 새로운 유기물로 전환시켜 먹이로 재이용하게 한다. 사육수 내에는 미생물-식물플랑크톤-동물플랑크톤-양식생물 사이에 건강한 생태계가 균형을 유지하게 하면 환경 유용 미생물 군이 사육수 내에 우점하기 때문에 기생충이나 비브리오 등의 병원균이 외부에서 유입되더라도 경쟁에서 밀려 질병을 일으키기 어렵다.

또한 아쿠아포닉 시스템은 기존 양식장에서 배출되는 사육수로 인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양식생물의 배설물과 사료찌꺼기 등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 사육수를 외부로 배출하면 주변 하천이나 연안을 오염시키고 부영양화를 일으켜 녹조 또는 적조를 유발하며 이로 인한 수질악화를 처리하기 위해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그러나 폐쇄된 양식 시스템인 아쿠아포닉 시스템을 사용하면 사료찌꺼기, 양식생물 배설물 등이 환경유용 미생물에 의해 천연유기물로 전환되어 재이용될 수 있으며, 수경재배 식물이나 식물플랑크톤과 동물플랑크톤 및 양식생물로 이어지는 안정적인 생태계를 이루어 균형을 유지하게 되어 수계로 배출되는 폐수량을 저감시켜 환경개선 효과를 가져 온다.

또한 친환경적이고 사료 및 에너지의 효율이 높을 뿐만 아니라, 자연환경 및 지리적 입지 조건에 제한받지 않고 연중 안정적인 유기 농수산물의 생산 및 공급 체계 구축이 가능하다.

아쿠아포닉 시스템을 구동하기 위한 일반적인 구성은 어류 등의 양식생물을 사육할 수 있는 수조와 수조 내의 사육수를 수경재배조로 옮길 수 있는 펌프와 사육수에 의해 수경재배되는 식물의 재배조를 포함한다.

그러나 어느 방법이든 초기 설비에 많은 비용이 소요되어 기존의 양식장을 아쿠아포닉 시스템으로 전환할 때에 재배조 배치 등의 전환이 쉽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바이오 플락을 이용한 빌딩양식용 복합양식수조에서 배수되는 사육수를 바이오플락 기술에 의한 미생물분해로 1차 정화과정을 거치고, 1차 정화 된 사육수는 아쿠아포닉스 식물재배실로 공급함으로서 미처 분해되지 않은 유기물이 포함된 사육수를 식물성장에 필요한 영양성분으로 이용하여 자연친화적인 방법으로 2차 정화를 실시하여 깨끗하게 정화된 사육수를 빌딩양식용 복합양식수조의 사육수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 아쿠아포닉 식물재배 기능을 갖는 폐쇄순환 바이오플락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은 바이오 플락수조에서 미생물에 의해 1차 정화과정을 거친 사육수를 아쿠아포닉스 식물재배실로 공급시켜, 1차로 분해되지 않은 유기물이 포함된 사육수를 식물성장에 필요한 영양성분으로 이용하여 자연친화적인 방법으로 2차 정화를 실시하여 깨끗하게 정화시켜 다시 도심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으로 재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바이오플락 시스템과 아쿠아포닉 식물재배 시스템에는 양식어종의 사육과 식물재배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이 연결되며, 바이오플락 시스템은 복층으로 이루어진 구조 틀에 바이오 플락용 수조가 형성되며, 상기 바이오플락용 수조에는 저수조가 연결되어 바이오플락용 수조에서 발생한 슬러지를 저수조에서 여과하여 재사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이오플락용 수조에는 냉각기를 형성한 냉각저수조와 가온기를 형성한 가온저수조가 연결되어 바이오플락용 수조에서 배출된 일정한 온도의 사육수를 아쿠아포닉 식물재배 시스템으로 이송하도록 하며, 바이오플락용 수조의 일측에는 자동사료 공급시스템이 형성되며, 상기 바이오 플락용 수조 또는 저수조에는 수중펌프와 교반기로 이루어진 교반시스템과 공기공급장치가 설치된다.

아쿠아포닉 식물재배 시스템은 밀폐된 공간 내부에 재배대가 설치되고, 상기 재배대는 담액수경재배대, 박막수경재배대, 육모재배대 중에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배대가 설비되며, 상기 모니터링 시스템은 바이오플락 시스템의 수질측정장치와; 아쿠아포닉 식물재배 시스템의 항온항습장치와 조도장치로 이루어져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를 받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공기 공급 장치는 바이오플락용 수조 바닥에 선형 또는 폐쇄된 다각형상을 갖는 부로어로 이루어지고, 프로테인 스키머로 이루어지는 순환여과장치가 바이오플락용 수조의 일측에 형성된다.

아쿠아포닉 식물재배 시스템에는 재배식물을 안착시키고 사육수를 소통시켜 수경 재배할 수 있는 재배조의 하부에 재배조 무게추를 장착하여 재배조를 관통하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서 양식생물의 사육수를 이용하여 식용 또는 관상용 식물을 재배하는 동시에 사육수를 여과 또는 정화하여 양식생물의 사육수로 재사용하는 순환 여과 식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을 제공한다.

재배조 상부에는 재배식물을 안착시킬 수 있는 재 배분 삽입공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재배조 양측에 사육수를 공급하고 재배조의 회전축이 되는 재배수관이 삽입되는 재배수관 삽입공이 형성된 재배선반; 상기 재배선반 하부에 탈착 가능하도록 체결되어 재배식물의 뿌리와 사육수를 수용할 수 있는 뿌리 수용함을 포함하며, 상기 재배조의 양 측면 외부에 형성되어 사육수를 공급하는 사육수관을 부력재로 둘러싸서 재배조에 부력을 제공하고, 재배조를 재배선반과 뿌리 수용함으로 구성하고, 각 구성품의 종류를 재배식물에 따라 선택하여 조립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재배조를 재배조 외부에 형성된 재배조배열축을 따라 복수개 연결하고 지면으로부터 상기 재배조배열축이 수평, 수직 또는 비스듬히 배치됨으로써 상기 복수개의 재배조가 단층, 계단식, 또는 복층으로 배치되고, 상기 재배조의 높이를 조절하여 재배식물의 뿌리가 물에 잠기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바이오 플락을 이용한 양식수조에서 배수된 사육수를 농수산 복합형 양식 시스템과 결합시켜 양식수조에서 미생물에 미처 분해되지 못한 유기물질을 식물재배에 활용함으로서 정화효율을 높인 후, 다시 양식수조에서 재활용할 수 있는 사육수의 내부순환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별도의 수질정화 수조가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생산경비 절감 및 생산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아쿠아포닉스 식물재배시스템은 재배조가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므로 재배조가 연결된 재배조연결축을 수평, 수직, 또는 경사지게 배치함에 따라 단층, 복층, 또는 계단식 재배조를 구성할 수 있어 양식장의 환경 및 구조에 따라 공간 활용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부력재를 재배조 외부 틀에 구성하여 단층 부유형 재배조를 구성할 수 있어, 양식장에 따로 공간을 마련하지 않아도 식물 재배와 사육수를 여과 및 정화할 수 있는 단층 부유 형 재배조로의 전환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다층으로 지속적으로 이어 붙일 수 있으며 규모가 큰 양식수조에 수평으로 펼쳐서 수면위로 부상이 됨으로 빌딩양식 이외에도 육상 양식수조, 야외호지에서도 활용이 가능하며 지속적으로 축적되어 가는 질산성 질소를 제거함으로 사육수를 재사용할 수 있다.

도 1는 본 발명의 바이오플락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한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4-0104897호의 도 2와 동일한 것임).

도 2은 본 발명의 비상산소 공급시스템의 개념도를 나타낸다(한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4-0104897호의 도 3과 동일한 것임).

도 3는 본 발명의 아쿠아포닉 식물재배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한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4-0104897호의 도 4와 동일한 것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아쿠아포닉 식물재배 시스템의 재배분 및 재배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한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4-0153766호의 도 2와 동일한 것임).

도 5은 재배조가 재배수관에 연결되었을 때에 연결축을 중심으로 재배조가 회전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재배조 사시도이다(한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4-0153766호의 도 3과 동일한 것임).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양식용 수조, 재배조, 및 펌프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한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4-0153766호의 도 4와 동일한 것임).

도 7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형 아쿠아포닉스 식물재배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한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4-0153766호의 도 5와 동일한 것임).

도 8는 본 발명에 따른 계단형 아쿠아포닉스 식물재배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한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4-0153766호의 도 6과 동일한 것임).

도 9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형 아쿠아포닉스 식물재배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한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4-0153766호의 도 7과 동일한 것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뿌리수용함를 나타낸 사시도이다(한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4-0153766호의 도 8과 동일한 것임).

도 11는 본 발명에 따른 재배선반을 나타낸 사시도이다(한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14-0153766호의 도 9와 동일한 것임).

Ⅰ. 바이오 플락 시스템

본 발명의 바이오 플락 시스템은 일정 넓이와 깊이로 형성된 바이오플락 구조틀이 복층으로 형성되고 수조틀에 장착 또는 분리가 가능한 바이오플락 수조와 수조에 형성된 배수파이프와 연결된 저수조가 설치되고 바이오플락 수조 환경을 조절할 수 있는 자동사료 공급시스템, 냉각저수조 시스템, 가온 저수조 시스템, 공기공급시스템, 교반시스템으로 구성된다.

1. 바이오플락 수조

도 1은 본 발명의 바이오플락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이오플락 수조는 바이오플락 양식을 목적으로 사용되는 수조로서 생물에 해로운 물질이 용출되지 않는 Fiber glass 소재를 주 보강재로 하여 내 부식성을 갖는 수조이며, 산소 및 에어리프트가 설치되는 PLANT에 해당한다.

수조의 규격과 크기는 5,000L x 1,500W x 1,000(700)Hmm x 8T 정도가 바람직하며 배수관의 구경은 75A가 적절하다. 수조는 내부에 중간칸막이가 형성된 트랙 형태로 트랙의 중간칸막이는 견고하게 제작되어야하며 휨 현상이 생기지 않도록 보강시킨다.

수조의 구조는 수조 모서리 부분에 고형물질이 침전되지 않도록 원만한 형태를 이루고 받침대는 충분한 수압에 견딜 수 있도록 보강을 하는 것이 적절하며, 몰드를 사용하여 견고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수조 내부의 보강재를 포함한 모든 최종 마무리는 Gelcoating하여 마무리하고 외부에 휨이나 깨침이 없도록 충분한 두께의 플랜지로 보강하도록 하고, 수조 외부는 휨이나 깨침이 없도록 충분한 두께의 플랜지로 보강하도록 한다. 또한 수조는 UV코팅 처리된 아크릴 투시창을 설치하여 외부에서 생물상태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한다.

수조의 재질은 Fiber glass(FRP)을 주보강재로 하고 특수 unsaturated polester resin을 적층하여 경화시킨 플라스틱으로 형성시킨 후 겔코트로 코팅처리 함으로서 수조는 내구성 강화와 동시에 사육생물에 해로운 유독성분 및 자체 세균 보균력이 검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수용하는 생물에 이상이 생기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수조 제작 작업은 구조물 표면에 발생된 녹이나 여러 불순물을 센딩 그라인더 또는 샌드페이퍼로 완전히 제거한 후 건조된 상태에서 표면을 매끄럽게 만드는 샌딩 작업; 수지액을 바르고 그 위에 유리직포를 놓은 후 기포제거와 유리직포에 수지액이 배어 구조물과 밀착할 수 있는 함침작업; 함침작업을 반복하여 유리직포를 붙이고 탱크 내부에 라이닝을 하여 적정 두께를 형성시키는 적층작업; 표면도막(켈코트층)용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여 적층면과 일체가 되도록 FRP겔코트 코팅을 하는 표면 보호층 형성 작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작업의 샌딩 작업 시에는 필요에 따라 프리마 작업(접착제)이 가능하고, 함침 작업 시에는 수지액을 바른 구조물 위에 유리직포를 놓는 과정에서는 섬유의 방향이 흐트러지지 않도록 주의하여 유리직포를 놓은 후, 롤러를 사용하여 유리직포의 올이 흐트러지거나 유리직포가 상하지 않도록 주의하여 육안으로 보이는 기포를 없애고 세밀한 부분은 철 롤러를 이용하여 기포가 없이 표면이 평탄하도록 작업하는 것이 적절하다.

2. 바이오플락 구조 틀

본 발명의 구조 틀은 트랙수조 2단 복층구조의 형태로 수조구조 간격은 1, 2층으로 되어 있으며 1층 작업 공간 확보를 위해 기둥 간격을 3M이상 유지한다. 바이오플락 구조 틀은 sus304로 재질로 이루어지고 5,000L x 1,500W x 3,200Hmm크기가 적절하고, 1층의 관리 공간 확보를 위해 간섭부분을 최대한 줄이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수조 틀의 제작과정은 스테인리스강을 굴곡가공, 프레스가공, 절단 및 절삭 가공, 단위 패널 성형 가공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작 단계과정 중 용접부위는 용접 후 sus스프레이 등을 이용해서 부식을 방지하고, 스테인리스강의 재료보관, 가공, 운반 중에 흠이나 마찰 흠을 내지 않도록 한다.

2. 저수조

저수조는 바이오플락 수조 등에서 발생한 슬럿지 등을 저수조로 이송하여 공기와 산소를 공급하고 생물학적으로 슬러지를 활성화하고 여과하여 재사용하기 위한 침전조로서 수중펌프를 설치하여 필요시 수조에 공급하기 위하여 커플링을 설치하여 수조에 공급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저수조의 내부에는 바이오필터를 통과한 여과수가 오버 플로워하여 여과할 수 있도록 여과재 지지대와 여과재를 설치한다. 저저위 수위가 부착된 수중펌프를 설치하고 토출구에 카플링을 설치하여 여과된 사육수가 바이오플록 수조와 연결할 수 있도록 양족 배관라인에 카플링을 설치한다. 저수조는 사육수의 넘침을 방지하기 위하여 오버플로워와 드레인을 설치하는 것이 적절하다.

저수조의 재질은 PVC로 형성되어 2000x1000x800Hmm크기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저수조에는 여과재가 설치되며 여과재의 여과도는 10MU로 저밀도, 중밀도, 고밀도 순으로 설치하고 초기단계에서 박테리아 증식을 위해 환경조건을 맞추는 것이 적절하다.

저수조의 구조는 바이오플록수조에서 발생한 슬러지를 저수조에 유입할 수 있도록 배관하여야 하고 원공급 해수와 담수를 저수조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저수조 내부에 유량 조절판을 설치하고 바이오필터를 설치하여 부유성 고형물과 스럿지를 여과할 수 있도록 설치한다.

또한 저수조의 바이오필터에는 공기를 폭기 할 수 있도록 분산기를 설치하고 순수산소를 공급하여 미생물이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하며, 공급된 순수산소를 용해할 수 있도록 용해 분산기를 설치할 수 있다.

3. 자동사료 공급시스템

자동사료 공급시스템은 수조 상부에 설치된 설치대에 고정되어 바이오플락 수조에 원하는 사료의 양을 일정한 시간에 공급하기 위한 장비로써 사료자동공급 컨트롤러를 포함하여 사육되는 어류들의 습성을 고려하여 섭이 량을 결정하고 판넬 조작부에 입력하여 셋팅하고 주기적으로 체크하여 사료 섭이 량과 미 섭이 량의 데이터를 작성하여 이를 자동사료 급이기 콘트롤에 입력하여 사용할 수 있다.

자동사료 공급시스템의 습도가 높은 수조에서 항상 염분에 노출되어 사용되므로, 녹이 발생이 낮은 아크릴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며 전자제어 장비 및 부품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구성해야 한다.

사료자동 공급 컨트롤러의 급이 용량은 3L로 급이 횟수와 급이 시간은 1~99회 범위 내에서 임의 조절이 가능하며 사료크기 또한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사료자동 공급 컨트롤러의 제어방식은 정량조절장치를 회전량으로 조절하는 정량제어; 타이머에 의한 급이 시간과 급이 횟수에 의한 살포제어; DC 12V 제어 방식으로 디지털 제어가 가능한 모터제어; 초 단위 설정이 가능한 작동시간 제어로 이루어질 수 있고 약 5M의 리드선으로 모니터시스템과 연결 형성될 수 있다.

4. 냉각 및 가온 저수조 시스템

가) 냉각 저수조 시스템

냉각 저수조 시스템은 바이오플록 시스템수조에서 공급된 사육수를 아쿠아포닉 수조에 일정한 수온으로 공급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티타늄 냉각기에서 공급된 냉각수를 수조내부에 파이프를 설치하여 일정한 수온으로 유지한 후 저저위 수중펌프로 아쿠아포닉 시스템에 공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저수조 시스템의 티타늄 냉각기는 수조의 사육수를 어패류의 최적의 생태조건에 조건에 맞도록 유지하기 위한 장치로서 수온을 대기의 온도보다 낮게 유지하기 위해서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로 냉각기는 티타늄재질로 형성되고 냉각능력은 2400kcal, 압축기 용량 1Hp, 유배구 직경은 25mm, 보충탱크는 20L로 2대가 설치되고 전원은 단상 220V가 적절하다.

냉각기는 콤팩트한 외관과 디자인(공냉식 일체형)으로 이루어지고, 펌프 및 열교환기를 냉각기 몸체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순환모터를 설치하여 냉각 저수조인 해수용가 담수용 저수조에 간접 열 교환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수온에 따라 작동할 수 있도록 전자동 시스템을 설치한다. 상기 냉각기는 공랭식 장치로서 소음이 적고 부식이 없는 장점이 있다. 공랭식장치의 작동원리는 공기를 냉각유체로 하고 팬을 사용하여 전열관의 외면에 공기를 강제 통풍시켜 내부 유체를 냉각시키면 열교환기를 작동하여 순환수를 냉각시키는 원리로 작동한다.

냉각기 내부에 설치된 열교환기는 티타늄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적절하고 티타늄 냉각기에 배관은 보온을 하여야 하며 바이패스를 설치한다. 티타늄 냉각기의 외부는 ABS재질로 이루어져 부식성이 거의 없고 냉각속도 및 부하변동에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냉각기의 모든 구성기기는 해수에 부식에 강한 소재를 사용하고 내구성이 있어야 하며 증발기는 바닷물에 부식되지 않는 SUS 316L 및 티타늄 튜브시설로 형성되며 콘트롤 박스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어 체크 및 조작이 편리하게 설치하는 것이 적절하다. 또한 고압경보, 과전류, 냉수부족, 냉각기이상 발생 시 경고등 작동으로 이상 유무를 확인할 수 있어야 하고 이상발생시 경보램프 등 알람기능을 표시해주는 편리한 기능을 설치하며 다양한 온도변화 및 냉각속도와 부하변동에 대응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냉각저수조는 완충 저수조로서 바이오플록에서 발생한 각종 영양분을 아쿠아포닉 시스템에 공급하기 위해 적정 수온을 유지를 목적으로 설치된다. 냉각 저수조는 PVC의 재질로 이루어지고 1500x700x1000Hmm의 크기로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냉각저수조의 수조는 담수와 해수용로 분리되고 각 수조에는 드레인과 오버플러워를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수조에는 바이오 플록에서 공급되는 영양 성분 등을 담수와 해수 저수조에 각각 공급할 수 있도록 밸브 등을 배관하여 설치하고 저수조에 공기를 폭기 할 수 있도록 분산기가 설치되며 담수와 해수용 수조에 공급되는 원공급수를 냉각조에 지지대를 설치하여 연결한다.

수조내부 바닥에는 지지대를 설치하여 열교환기를 설치할 수 있다. 열교환기는 엑셀 파이프나 티타늄파이프로 충분한 냉각이 이루어지도록 설치하고 교체나 청소가 용이하도록 보강대를 설치하는 것이 적절하다. 냉각저수조의 수중펌프는 부식성이 없는 재질로 형성되어 저수위센서가 부착되고, 수조내부에 설치되어 아쿠아포닉에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되어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 가온 저수조 시스템

가온 저수조 시스템은 아쿠아포닉 시스템에서 발생된 영양성분 등을 바이오플록시스템에 공급하고 수조에 일정한 수온을 유지하고 공급하기 위해서 가온 저수조 내에 설치된 티타늄 히터를 사용하여 해수용 펌프로 바이오플록시스템으로 공급하는 원리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온 저수조 시스템의 티타늄 히타 발열부는 해수에 부식성이 없는 티타늄으로 형성되고, 직접 수조 내부에 닿지 않는다. 또한 히타와 연결된 전선은 완전한 방수가 되도록 밀봉되고 티타늄 히타에 물 감지 센서를 부착하여 수조 내부에 저수위일 경우 자동으로 센서가 감지하여 자동으로 전원이 커지도록 온도조절기와 연동하여 설치되는 것이 적절하다.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티타늄 히타의 티타늄 냉각기는 가온능력이 2400Kcal이고 전력량은 2KW, 20A으로 2대가 설치되고 온도조절은 자동설정 또는 디지털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전원은 단상 220V, 60Hz 으로 설치되는 것이 적절하다.

가온 저수조 시스템의 해수용 펌프는 사육수를 1차적으로 여과할 수 있는 스트레나 부착 형으로 각종 큰 고형물을 여과하고 고형물을 쉽게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창이 부착되어 있고 분해 조립이 간편한 링록 구조로 이루어진다. 해수용 펌프는 담/해수에 사용할 수 있는 일체형으로 부식성이 없는 플라스틱 펌프로 형성되고 펌프는 24시간 365일 FULL 가동 되므로 병렬식 배치하여 부하를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상기 해수용 펌프는 최대유량 16m3/hr, 최대양정17m, 유, 배직경은 50mm로 형성될 수 있고 동력은 단상 220/110V, 0.5Hp로 2대가 설치되는 것이 적절하다. 해수용 펌프는 스트레나, 스트레나 카바, 스트레나 하우징을 포함한 본체 모터, 씰 하우징, 모터하우징 부라킷트, 모터 베이스 디퓨져, 샤프트 씰, 임펠라, 이물질을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는 링록 엔지니어링 PP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해수용 펌프의 스트레나와 임펠라 포함한 부분을 연장 없이 분해할 수 있어야 하고 일차적인 여과를 위한 스트레나 부착과 투명한 카버가 설치되며 역류 방지를 위한 체크밸브가 설치되어야 한다. 가온 저수조 시스템의 가온 저수조는 아쿠아포닉 시스템에서 발생한 영양성분 등이 가온수조에 유입되어 일정한 수온을 유지한 후 바이오플록 시스템에 공급하기 위한 완충 저수조로서 재질은 PVC로 형성되고 1500x700x1000Hmm크기로 설치되는 것이 적절하다.

가온 저수조는 아쿠아포닉에서 공급되는 영양성분 등을 담수와 해수 저수조에 각각 공급할 수 있도록 밸브 등을 배관하여 설치한다. 가온저수조는 담수, 해수용으로 분리되고 각 수조에는 드레인과 오버플로워와 저수조에 공기를 폭기할 수 있도록 분산기를 각각 설치한다. 수조 내부에는 저수위센서를 부착하고 부식성이 없는 재질로 형성된 해수용 펌프를 설치하여 바이오플록에 공급할 수 있도록 연결시켜 설치할 수 있다.

5. 공기공급 시스템 및 교반시스템

공기공급 시스템의 부로워는 바이오플락수조와 저수조등의 AIR를 공급하는 것으로, 사용이 간편하고 가벼우며 소형의 크기로 최대의 성능을 발휘할 수 있어야 하며, 운전 및 조작이 간단하고, 점검 및 보수가 편리한 구조로 되어 있어야 한다. 공기의 흡입, 토출과정에서 발생하는 유체역학적인 열,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하는 구조로 설치되는 것이 적절하다. 링 부로워의 사양은 동력 0.15KW, 전원 220V, 60Hz, 정압 0.2Kg/㎠, 풍량 150LPM로 형식은 다이아프램 방식이고 유, 배직경은 16A으로 설치되는 것이 적절하다.

부로워의 케이싱, 진동부분은 2개의 DIAPHPAGM(특수합성고무 제품)사이에 지지되어 있는 ROD가 좌우로 진동되는 구조이므로 오랜 기간 사용에도 내구력이 높고 전자진동에 의한 구조로서 기계적으로 마찰되는 부분이 없어서 전력 소모가 매우 적고 고성능이기 때문에 운전효율이 매우 높은 장점이 있다. 또한 부로어의 설치 시에는 공기가 흐르는 회로와 진동부위에 소음을 최대한 줄이는 구조로 설계하고 소음이 매우 적도록 하는 것이 적절하다.

부로어의 구조는 압력 대 토출 풍량은 성능곡선과 정격 전류에서 연속 운전이 가능하게 설계되고 배관과 부속 장비를 포함하여 설치되므로 커버, 케이싱, 같은 주요 부품을 용이하게 분해와 재조립할 수 있고 기계적 마찰이 전혀 없어 급유를 하지 않기 때문에 항상 청결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전자진동에 의한 구조로서 기계적으로 마찰되는 부분이 없어서 전력 소모가 매우 적고 영구자석에 작용하는 전자석을 2개 장착하여 완전균형 소형의 진동기로 강력하며 토출되는 풍량이 매우 균일한 안정된 풍량을 공급할 수 있다. 공기공급 시스템의 분산기는 8X11mm형태의 투명호수, 8x6구의 산소 분지관, 분산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비상산소 공급시스템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비상산소 공급시스템은 공기공급시스템이 정상으로 작동하는 경우 산소발생기의 정상운전 및 공급 상태를 감시하고 산소농도저하, 산소의 누설, 막힘과 같은 산소 공급 상태가 문제가 될 경우에 자동공급으로 사고를 예방할 수 있고 산소발생기에서 산소량이 부족할 때에도 수동밸브를 열어서 추가로 산소공급을 시킬 수 있는 비상산소 공급시스템을 설치할 수 있다.

교반시스템은 바이오플락 수조 내에서 수중펌프 믹서기를 설치하여 바이오플락을 수중에서 교반하여 침전을 방지하고 흐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교반시스템의 수중펌프는 플라스틱으로 형성되고 사양은 동력 300w, 토출유량은 120LPM이 적절하다. 교반시스템의 교반기는 인젝터 교반기로서 재질은 ABS로 형성되고 교반기의 사양은 사용압력이 0.5Kg/㎠ 이상, 흡입량은 3.6m3/hr 정도가 적절하다.

6. 정밀순환여과장치

바이오플록 정밀순환여과장치는 수조에서 발생하는 사료 잔유물, 용존 유기물, 배설물과 바이오플락 등 수중에 존재하는 단백질을 흡착하여 외부로 자동 거품형태로 배출시켜 수조의 수질을 안정화시키고 순환여과 시스템에서 생물학적 여과의 부화를 줄이면서 생물의 용존산소와 수용밀도 등을 증가시키며 양식 환경을 개선하는 효율적이 기본적인 정밀 여과 후 살균하여 재사용할 수 있는 여과시스템으로 해수에 부식성이 없는 재질을 사용하고 시스템 일체형으로 이동이 용이하도록 운반구를 제작한다.

바이오플록 정밀순환여과장치는 이동식으로 UPVC/PVC재질로 형성되어 1400 x 1400 x2500Hmm크기가 적절하고, 장치의 처리용량은 15m3/hr, 여과도는 3mu, 총 동력 1.5Hp 유/배구경 50A, 연결 피팅은 PVC카플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바이오플록 정밀순환여과장치의 펌프는 용수를 1차적으로 여과할 수 있는 스트레나 부착 형으로 각종 큰 고형물을 여과하고 고형물을 쉽게 관찰할 수 있도록 투명창이 부착되어 있고 분해 조립이 간편한 링록 구조로 담/해수에 사용할 수 있는 일체형이다. 또한, 부식성이 없는 플라스틱 펌프로 이루어질 수 있고 역류 방지를 위한 체크밸브가 포함되며 펌프의 최대유량은 26m3/hr, 최대양정은 27m가 적절하다.

바이오플록 정밀순환여과장치의 프로테인 스키머는 본 발명자들에 의한 한국 등록 특허 제 10-0983021호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처리 유량은 15m3/hr이상이 되어야 한다. 장치의 구성은 베이스 및 본체, 벤츄리 인젝터, bubble collection cup, spray nozzle, solenoid valve, control panel로 이루어진다.

상기 스키머의 본체는 해수에 부식되지 않는 PVC/FRP 재질로 제작하고 압력이 3Kg/㎠에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해수 중에 유기물이 충분이 반응하여 응집할 수 있어야 하며 일정한 압력과 유량이 유지하도록 제작된다. 기포 집적장(bubble collection cup)은 투명한 재질로 하여야 하며 본체와 분리가 용이하도록 프랜지 형태로 이루어지고, 일정한 시간에 주기적으로 모여진 기포를 세척할 수 있도록 콘트롤 장치와 세척 장치를 설치된다.

펌프는 인젝터 노즐의 막힘 방지와 정상적인 작동을 위하여 해수 중에 존재하는 각종 이물을 여과할 수 있는 스트레나가 부착되어 있어야 하고, 투명 창이 부착되어 고형물질 제거를 위한 분해, 조립이 손쉬운 링 록 구조로 되어 있어야 하며 나사와 볼트를 사용하지 않은 일체형 엔지니어링 PP펌프로서 부식과 소음이 없는 해수 전용 펌프로 이루어진다. 기포주입기는 오존이나 공기를 사용할 때가 역류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오존 및 공기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부식성이 없는 정밀 밸브가 설치되고 Injector는 정확한 용량의 air가 주입되는 정도가 우수한 제품으로 하고 부식성이 없는 비금속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스키머는 펌프 및 본체 등이 일체형으로 항상 일정한 유량과 수위가 유지하도록 조절밸브를 설치하고, Control panel은 스키머에 관련된 모든 전기적인 제어장치 등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해수에 부식성이 없고 방수성인 패널이어야 한다.

바이오플록 정밀순환여과장치의 여과장치는 여과기내에 정밀도를 가진 필타를 내부에 고정시켜 여과하는 정밀여과기로서 필터교환을 용이한 나사식과 내부에 고강도의 PP스트레나 바스켓으로 지지하도록 한 여과장치이다. 하우징 재질은 PP로 이루어지고 처리유량은 10m3/hr 이상이 적정하다. 장치의 구성은 여과기 베이스, 여과기 본체, 압력계, 엘리먼트로 이루어진다.

바이오플록 정밀순환여과장치에는 다중살균장치가 설치되고 다중살균장치는 해수 중에 세균을 각종 살균하는 장치로서 가장 살균력이 강한 빛을 조사하여 세균의 DNA를 파괴하여 수조에서 발생하는 세균 조류 등의 번식을 억제하여 어류 등의 어병을 예방하고 생물학적 여과기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유수식 살균장치이다. 다중살균장치의 최대처리유량 23m3/hr이상 이고, 유입구 및 토출구 직경은 50mm가 적절하며 살균기를 내부에 넣어 물을 살균하는 장치로서 재질은 부식성이 없는 플라스틱으로 되어 있으며 살균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편심 없는 구조로 되어 있고 외부에서 자동 유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바이오플록수조 살균 및 소독 처리를 위한 오존발생기는 산소를 전처리로 사용하여 오존을 발생하는 기기로서 사육수중의 용수를 살균하고 용존 유기물의 응집효과를 증대시키면서 살균하는 장치로서 오존발생량은 10g/hr, 오존농도3~5% 토출압력은 최대 1kg/㎠이 적절하다.

오존 발생기의 구조 및 원리는 방전관 재질의 세라믹 플레이트로 이루어지고, 저효율의 유리 및 파이렉스와 불안전한 세라믹코팅 방식을 제외한 신뢰성 있는 고온, 고압으로 제작된 세라믹 플레이트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적용 주파수는 중, 고주파로서 오존발생기의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상용 주파수가 아닌 중, 고주파방식으로 방전 방식은 무성(코로나)방전방식이어야 한다. 공랭식 냉각방식을 사용하며 원료 가스는 산소 공기공급방식은 질소산화물을 형성하여 오존발생관의 급격한 성능저하를 가져오고, 오존 농도를 저하시키므로 산소 공급방식으로 한다. 오존의 농도는 산화반응이 잘 진행될 수 있으며, 오존농도 3~5% 내외로 한다.

7. 바이오플락 모니터링 시스템

바이오플락 시스템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수질을 감시하는 시스템으로 새우양식장 수질의 물리적인 변화를 현장측정 및 수분석에 의존하여 수질이 감시될 수 있다. 수질의 물리적인 변화를 현장측정 및 수질분석에서 원격감시방식으로 변경하여 효율성을 제고하고 갑작스러운 수질변화에 대해 과학적, 합리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원격감시 설비 시스템은 새우양식장에 감시제어설비 구축하여 수질의 물리적인 변화를 사무실(관제실)에서 실시간 감시함으로서 알람기능 또는 SMS를 통해 수질사고 대비에 기여한다.

원격감시 시스템은 감시기능, 기록기능, 데이터축적기능, 경보기능을 가질 수 있다. 원격감시 시스템의 감시기능은 계측기와 부대설비 자체에 대한 측정값, 통신상태에 대한 모든 것을 감시할 수 있어야 한다. 만약 통신 불량이나 비정상 상태가 발생하면 그 내용에 대한 지침이 지체 없이 표시되도록 한다.

기록 기능은 데이터를 분석하여 자동 또는 임의로 보고서를 작성하여, Trouble에 대한 Event 기록이 작성하고, 데이터 축적 기능은 시스템 운영에 필요한 유용한 데이터들을 선택하여 영구 보존할 수 있어야 하며, 경보 기능은 각 센서의 비점오염 농도 감시 중 이상농도가 발생하였을 경우 high-low 경보가 가능하도록 하며 농도구간은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모니터링 시스템은 다항목 수질측정 장비에 연결된 지시계(RTMS-DL)와 사무실 관제컴퓨터와의 통신은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유선통신케이블을 사용하며 실시간으로 DATA를 전송하여 수질을 감시할 수 있다. 계측설비는 새우양식장의 수질을 실시간으로 수질 관제PC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원격 감시제어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출 수 있다.

Ⅱ. 아쿠아포닉스 식물재배실

아쿠아포닉스 식물재배실은 식물재배가 이루어지는 아쿠아포닉 재배대와 식물재배를 위한 환경을 조성하는 복합 환경제어 시스템, 조도제어시스템, 결로 방지 시스템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아쿠아포닉 식물재배실의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다.

아쿠아포닉스 식물재배실은 인공 광을 이용한 다단형으로 이루어지고, 식물재배에 적합한 최적의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외부케이스는 클린판넬 (EPS 75T이상, 철판두께 0.45T, 민판, 난연3급)로 형성되는 것이 적절하다. 아쿠아포닉스 식물재배실에는 외부환경과 격리, 고습도 운전에도 문제없는 코팅제가 표면에 함유하고 있어, 재배실 내부에 청정 무균상태를 유지 할 수 있고 바닥 및 내부의 이음부위는 완전 밀폐가 가능한 비경화성 밀봉제(에폭시코팅)3mm 이상으로 마감하여 밀폐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1. 재배대

아쿠아포닉 재배대는 담액수경(DFT)재배 재배대, 박막수경(NFT)재배 재배대, 육묘재배대중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내 아쿠아포닉스의 구성은 수경재배 방법에 따라 담액경(DFT) 2set, 박막수경(NFT)2set, 육묘재배기 1set로 구성되고, 아쿠아포닉스 수경재배대 및 육묘기의 광원은 식물의 광합성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광량으로 제작된 형광등 조명을 사용한다.

담액수경(DFT)재배 재배대는 식물이 최적의 생장조건을 갖출 수 있도록 액재배 방식 중 DFT(Deep Flow Technique)을 적용하고 재배대의 크기는 1set 당 4078*740*2000(H)으로 3단으로 구성한다.

양액재배 베드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선반형으로 수경재배 정식판(스티로폼) 이 호환 가능해야 한다. 재배대의 선반은 견고하게 제작하여 사람이 올라 여타의 작업을 하여도 비틀림 현상이나 휩 현상이 없어야 하며, 배양액의 누수가 없도록 선반을 틈새 없이 제작한다.

박막수경(NFT)재배 재배대는 양액재배방식 중 NFT(Nuftient Film Technique)을 적용하고, 재배대의 크기는 1set 당 4078*740*2000(H)으로 3단으로 구성한다. 양액재배베드는 복합 PVC 재질의 배관형으로 베드와 베드 뚜껑이 분리되어 베드관리가 용이해야 한다.

또한, 수경재배용 포트와 원형 수경재배용 스폰지가 활용되도록 제작되어야 하며, 재배대의 선반은 견고하게 제작하여 사람이 올라 여타의 작업을 하여도 비틀림 현상이나 휩 현상이 없어야 하고 배양액의 누수가 없도록 선반을 틈새 없이 제작 하며, 재배대의 선반 및 기둥은 스테인네스로 제작하여 녹발생을 막을 수 있도록 구성한다.

2. 재배대의 광원

재배대의 사용 광원은 삼파장 형광등을 사용하며 광량을 높이기 위해 고조도 반사갓을 적용한다. LAMP 의 열부하(HEAT LOAD) 에 의하여 생긴 온도편차를 효율적으로 없애고 광량은 광원으로부터 20cm 거리에서 PPFD값이 150μmol/m2/s 이상을 조사되도록 구성한다.

육묘재배대는 LAMP 의 열부하(HEAT LOAD) 에 의하여 생긴 온도편차를 효율적으로 없애고 광도는 5,000 LUX 이상이어야 하며 3파장 형광등을 사용하여야 한다. 재배대의 크기는 1350*700*2100으로 4단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적절하고 전선 및 형광등은 KS마크를 사용하여야 한다.

형광등 안정기(BALLAST)는 에너지 절약과 LAMP의 수명 연장을 위하여 전자식 안정기(KS)를 사용 하고, 재배대는 조절좌를 설치하여 높낮이 및 수평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하며, 재배대는 형광등을 다단제어가 가능하도록 제작되어야 하며 콘트롤러(조도 제어)와 호환이 되도록 설치한다.

선반은 견고하게 제작하여 사람이 올라가 여타의 작업을 하여도 비틀림 현상이나 휨현상이 없어야 하는 것이 적절하고, 재배대 선반 및 기둥은 스테인레스로 제작하여 녹발생을 막아야 한다. 배양액의 누수가 없도록 선반을 틈새없이 설치하고 물과 액체를 보관하므로 일반 철판이 아닌 스테인레스로 제작된다.

재배대 형광등 제어기능은 배양기 형광등 다단제어가능하고 LUX조절기능 (3단계 제어) 시간을 설정하여 사용자가 조도를 임의 자동제어 할 수 있는 기능 내장한다. 형광등의 on/OFF시간 자유 설정가능하며, 일일 형광등의 on, OFF, 시간을 사용자가 자유롭게 설정가능하다.

조명장치는 공통적으로 어떠한 램프를 사용하여도 일괄적인 동작특성으로 전류파형이 안정되어 낮은 파고율과 안정된 광출력을 얻을 수 있으며 램프수명도 연장되어야 한다. 무부하 시 안정기는 발진을 멈추게 되어 Power Loss 및 불량을 방지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약 5초에서 10초의 on/Off로 사전에 신호를 제공하며, 정상결선 및 램프교환 시 자동 정상 점등(Auto Reset)을 하여야 한다.

실내 아쿠아포닉스는 각각의 식물의 생육조건이 상이하므로 품종 변경 시 생육환경을 변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제작설치를 설치한다. 즉, 온도, 습도, 광주기, 청정도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생육조건을 구명할 수 있는 복합 환경 제어 시스템을 적용한 콘트롤 시스템으로 구축한다.

재배실은 유기적인 복합 환경 제어 시스템의 유기적인 제어로 모든 공조시스템의 자동화가 가능하며, 이러한 데이터를 모니터링시스템으로 확인 및 연구데이터로 활용 가능하다.

3. 아쿠아포닉스 조도제어시스템

아쿠아포닉스의 조도제어시스템(LIGHT CONTROLLER)은 조도제어의 시간설정은 24H 디지털 타이머가 설비되고, 20cm 거리 기준 150μ㏖/m2/s 의 조도를 갖는다. PC로의 온습도 데이터 기록에 의거하여 PC와의 통신이 가능한 콘트롤러가 사용되며 온도 고온 이탈시 형광등 강제 OFF 설정 기능을 갖는다.

형광등으로 인한 지속적인 온도 상승을 억제하기 위하여 강제로 끄는 기능과 온도 저온 이탈시 형광등 강제 on 설정 기능: 온도가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광등을 강제로 켜는 기능을 갖고 정전 후 복전 시에도 자동으로 조도의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타이머를 조절함으로써 밤낮을 바꿔 운전할 수 있다.

아쿠아포닉스 식물재배실은 공기의 밀폐 외부환경과 노출이 되지 않는 밀폐성이 유지되는 구조로 되고, 아쿠아포닉스 식물재배실의 실내높이는 2.5M로 시공 하며, 아쿠아포닉스 식물재배실은 THK 75mm EPS 클린 판넬(민판)로 시공된다.

청정도가 높은 식물재배실의 양압을 높이고 장비실의 양압을 낮춰 청정도가 높은 실에서 낮은 실로 공기가 밀어 낼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청정도는 식물재배실>장비실로 양압을 형성한다.

4. 복합환경제어 콘트롤러

아쿠아포닉스 식물재배실의 복합 환경 제어 콘트롤러(온도,습도,조도,환기)는 식물재배실내의 환경제어기능과 항온 항습기 콘트롤, 재배대 형광등 콘트롤 기능, 복합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환경제어기능은 재배실내의 현재 온습도 표시하며, 재배실내의 온도, 습도 범위를 설정하여 최적의 조건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온습도 설정범위 이탈시 알람기능을 가지며, 형광등으로 인한 지속적인 온도 상승 및 하강을 억제하는 기능으로 온도 고온 저온 이탈시 형광등 강제 온 OFF 설정 기능을 갖는다.

항온항습기 콘트롤은 항온항습기의 현재 작동상태를 표시하며 시간대별 온습도 조절 및 변경 설정가능: 24시간동안 일교차를 두어 식물생장 실험에 유리하도록 한다. 기기 이상발생시 경보발생가능하다. ROTARY(교대) 운전 기능으로 Compressor, 재열Heater, 가습Heater의 각 스텝별 가동시간을 균등하게 분배함으로써 한 부분의 무리한 운전을 방지하며, 시간에 의한 교번운전이 가능하다.

정전 복귀 시 순차 기동 기능으로 정전 후 전원 복귀 시 여러 장비가 동시 기동될 때 발생하는 과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 장비별로 START 시간을 조정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COMPRESSOR 보호 기능으로 겨울철 또는 배관 LINE이 긴 경우 최초 가동 시 Low pressure의 잦은 동작으로 Compressor가 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제작되며, Compressor 이상 시 자동 절체 기능: Compressor 운전 중 이상 발생 시 다른 Compressor로 자동 절체 되어 운전된다.

또한, 운전/정지기능이 설치되는데 운전/정지 상태 기억 기능이란 MICOM이 운전 또는 정지 상태를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정전이 되었다가 복귀 시 정전되기 전 상태로 자동 복귀 하고, 자동 RESET 기능으로 NOISE, SURGE 전압, 낙뢰, 전압 Drop(입력전압 98V이하) 등에 의해 MICOM 내의 CPU가 동작을 멈추거나 이상한 동작을 할 때 자동으로 MICOM이 RESET 되는 기능이다.

PID 기능 (PWM 출력 ): 냉방, 난방, 가습, 제습 등의 제어를 현재의 온도 값을 설정온도의 대소에 따라 일정 주기로 비율을 바꾸어 연속적인 부하 전력을 부여함으로써 항상 일정한 실내 온, 습도를 유지해 줄 수 있다.

덕트는 아연 철판으로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고 각형 닥트는 저속 닥트로 하는 것이 적절하다. 식물재배실의 생육조건으로 온도, 습도, 청정도(CLASS)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항온 항습기 상부의 덕트 배관이 천정으로 연결되어 디퓨져를 통해 실내에 기류가 공급되도록 제작하고 공기의 기밀성을 최대한 구현하기 위해 에어타이트 댐퍼로 시공 하는 것이 적절하다.

결로 방지시스템은 식물의 재배, 육묘, 순화 등의 생육실험을 목적으로 하는 시스템으로서 온도 및 습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 한다. 결로 방지시스템은 HOT GAS BYPASS 방식을 사용하여 온도와 습도의 편차를 최소화하며 온도 ± 0.2℃, 습도 ± 5% 의 편차내에서 운전되어지는 시스템이다. 기존의 항온항습방식을 탈피하여 외부로 버려지는 폐열을 회수하여 재활용함으로서 에너지 소비감소 효과와 냉매의 GAS를 BY-PASS하여 압축기 상태를 이상적으로 만들어 기기의 수명을 연장시키는 기능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온도와 습도 및 조도의 조절은 복합 환경 제어 컨트롤러에서 행하며 P.I.D 제어를 통하여 작물이 필요로 하는 최적, 최상의 환경을 제공 한다. 실내온도 보상 및 보정은 ELETRIC-HEATER(전기히터)로 하지 않고 이론 냉동 사이클에서 COMPRESSOR(압축기) 토출가스(과열증기)를 이용하여 EVAPORATOR(증발기)로 직접분사(HOT-GAS BY-PASS)하여 재배실의 공기의 질(IAQ:Indoor Air Quality)를 향상시켜서 온도, 습도, 빛, 기류에 민감한 식물체가 외부의 기상조건에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생육환경을 조성한다.

Ⅲ. 아쿠아포닉스 식물재배시스템

아쿠아포닉스 식물재배 시스템은 양식생물의 사육수를 이용하여 식용 또는 관상용 식물을 재배하는 동시에 사육수를 여과 또는 정화하여 양식생물의 사육수로 재사용하는 순환 여과 식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으로, 재배식물을 안착시키고 사육수를 소통시켜 수경재배할 수 있는 재배조(100)의 하부에 재배조 무게추(120)가 형성되어 재배조를 관통하는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재배분 및 재배조의 구성을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재배분(140)을 충전재(150)로 충전한 후 재배식물(500)이나 식물종묘, 씨앗을 식재한다. 이때 충전재(150)는 일반적으로 수경재배의 사용되는 암면, 코코피트, 펄라이트 등의 인공토양이나, 스펀지 또는 스티로폼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인공토양의 경우 재배식물의 뿌리를 지지시키기에 용이하고 재배수가 되는 사육수의 고형 분을 일부 여과할 수 있다. 재배분(140)은 재배수가 재배식물에 충분히 도달할 수 있도록 투과성이 좋은 망지 등의 재질로 만들어진다. 재배식물(500) 또는 식물종묘, 씨앗이 식재된 재배분은 재배분(140)이 상단에서 걸릴 수 있도록 재배분 삽입공(170)이 하나 이상 형성된 재배선반(100a)에 안착된다.

재배선반(100a) 양 측면에는 재배수관(210)이 삽입될 수 있는 재배수관 삽입공(170)이 형성되어 있어서 사육수관(200)에서 분지한 재배수관(210)을 통하여 사육수가 재배조(100)에 재배수를 공급한다. 또한 재배분 삽입공(170)이 형성된 재배선반(100a)의 하부면의 양단에는 뿌리수용함(110)을 재배선반 하단에 체결할 수 있는 뿌리수용함 체결부(130)가 형성되어 재배하려는 식물의 종류와 재배조건에 맞는 뿌리수용함을 선택하여 조립할 수 있고, 재배 중 필요한 경우 뿌리수용함을 분리하여 내저면의 슬러지를 제거하기에도 용이하다.

재배선반(110a)의 재배수관 삽입공(160)과 마주보는 뿌리수용함의 양측면 위치에 재배수관 삽입공(16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조립한 재배조(100)에 재배수관(210)이 재배선반(100a)과 뿌리수용함(110)을 관통하여 삽입되어 뿌리수용함에 재배수를 관수한다. 또한 필요한 경우 재배수관 연결공(160)의 가장자리와 뿌리수용함 가장자리에 실리콘이나 고무 테두리 등을 장착하여 재배수가 누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미도시).

도 5는 재배조(100)가 사육수관(220)에서 분지된 재배수관(210)에 연결되었을 때에 연결축을 중심으로 재배조가 회전 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재배조 사시도이다. 재배수관(210)이 재배수관 삽입공(160)에 연결될 때 재배수관은 재배조를 지지하는 축으로 작용하며 이 축을 따라서 재배조는 전후로 회전 이동이 가능하며, 재배선반(100a)의 양 측면 하단에 재배조 무게추(120)가 형성되어 재배조를 양식장의 환경 및 구조에 따라 배치할 때에 재배식물이 항상 상부에 위치할 수 있게 된다. 재배조 무게추(120)는 금속이나 고밀도 플라스틱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재배식물을 식재한 재배분(140)이 삽입되고 재배수관(210)을 통해 뿌리수용함(110)으로 재배수가 관수될 때에도 재배조의 방향을 잡을 수 있는 무게가 되도록 구성한다. 상기와 같이 재배조가 중앙 수평축을 중심으로 앞뒤로 회전이 가능함으로써 재배조배열축(200)을 따라 복수개가 연결된 재배조를 양식장의 환경 및 구조에 따라 수직 형, 수평 형, 계단 형으로 배치하기 용이하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양식용 수조, 재배조, 및 펌프의 연결 구조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양식수조(400)에서 펌프(300)의 입수관(310)로 끌어올려진 사육수는 사육수관(200)으로 공급되며, 사육수관(200)에서 분지된 재배수관(210)을 통해서 재배조(100)로 관수된다. 상기 양식수조(400)는 실내 또는 실외에 설치된 어패류 등의 수조가 모두 가능하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바이오플락 양식용 수조를 이용하였다. 양식수조(400) 내의 사육수의 순환을 원활히 하고, 수조 저부에 슬러지가 쌓이는 것을 방지하며, 사육수 내에 포함된 유기체 분해 및 여과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펌프(300)의 입수관(310)은 수조 내저부 미치도록 하고 출수관(320)은 수조 상부에서 사육수로 낙하하여 포말을 일으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육수관(200)의 외부는 부력재(220)로 둘러싸여 도 8에서 되한 바와 같이 재배조 전체가 수면 위에 부유할 수 있다. 상기 발명과 같은 아쿠아포닉스 시스템은 가을, 겨울동안 사육수의 수온을 조절할 수 있어서 자연환경 및 지리적 입지 조건에 제한받지 않고 연중 안정적인 유기 농수산물을 공급할 수 있는데, 사육수를 가온할 경우 재배식물의 재배수가 함께 가온되는 효과가 있으며 양식생물의 사육수가 재배수로 이용될 때 보온을 강화함으로써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사육수관(200)으로 공급되고 남은 사육수는 사육수관(200)에 연결된 연결관(230)을 통해 출수관(320)으로 출수되면서 사육수의 압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연결관(230)은 지지프레임 역할을 하며 펌프(300)의 성능에 따라 연결관(230)의 앞뒷면을 막아 사육수가 흐르지 않고 지지역할만 하게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직 형 아쿠아포닉스 식물재배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재배조(100)는 재배조 외부에 형성된 재배조배열축을 따라 복수개가 연결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사육수관(200)이 재배조배열축 역할을 한다. 재배조배열축을 지면에 수직으로 세운 경우, 복수개의 재배조는 재배수관에 연결된 축을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므로 복층의 재배조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연결관(230), 재배조 무게추(120), 또는 뿌리수용함(110)의 하부에 LED 등의 광원(250)을 장착하여 광합성을 유도하고 열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계단 형 아쿠아포닉스 식물재배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양식장의 환경과 구조 및 광원의 배치, 이용에 따라 재배조배열축(200)을 지면에 경사지게 배치하고 프레임(520)으로 지지하여 재배조(100)가 계단식으로 배열하도록 할 수 있다. 재배조 배열축을 경사지게 배치하면 재배수관이 재배조를 지지하는 축으로 작용하여 재배조가 전후 회전 운동하여 항상 상부면을 향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렇게 하면 제한된 인공광원이나 자연광을 이용하면서도 공간 활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평 형 아쿠아포닉스 식물재배 시스템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사육수관(200)의 외부를 둘러싸고 있는 부력재(220)에 의하여 재배조가 수면 위에 부유할 수 있기 때문에 양식장 내에 재배조를 위한 공간을 따로 확보하지 않아도 되며, 음지에 은폐되는 것을 좋아하는 양식동물의 경우 은폐처로도 활용된다. 상기와 같이 구조의 변형이 용이하고 다층으로 지속적으로 이어 붙일 수 있으며 규모가 큰 양식수조에 수평으로 펼쳐서 수면위로 부상이 됨으로 빌딩양식 이외에도 육상 양식수조, 야외호지에서도 활용이 가능하며 지속적으로 축적되어 가는 질산성 질소를 제거함으로 아쿠아포닉스 식물재배를 통과한 물을 재사용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뿌리수용함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상기와 같이 재배조를 양식수조 위에 부유시킬 경우, 펌프(300)에 의한 관수 없이 재배조를 부유시킬 수 있고, 뿌리수용함(110)을 부가 조립하지 않고 재배분 삽입 후, 바로 부유시킬 수 있다. 어린 식물 등, 양식생물로부터 재배식물의 뿌리를 보호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육수의 소통이 원활한 뿌리수용함(110a, 110b)을 재배선반에 체결할 수 있다.

또한 양식수조(400) 내의 사육수의 원활한 소통과 재배식물에 의한 사육수 여과를 촉진시키기 위하여 뿌리수용함(110)을 체결한 재배조(100)에 펌프(300)로 양식수조(400) 내저면의 슬러지가 포함된 사육수를 소통시킬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 재배선반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재배식물에 따라 재배식물의 뿌리가 재배수에 잠기는 정도를 조절할 필요가 있는 경우 높이를 달리한 재배선반(100a, 100b)을 이용하여 이를 조절할 수 있다. 재배선반b의 경우, 재배선반a의 경우에 비하여 재배분 삽입위치가 높으나, 재배수관 삽입공의 위치는 같기 때문에 재배선반a에 비하여 재배식물의 뿌리가 재배수에 잠기는 부분이 적다. 또한 재배식물에 따라, 성장하면서 큰 뿌리를 형성하는 경우, 뿌리수용함의 깊이를 달리하여 제작된 뿌리수용함(미도시)을 체결할 수 있다.

<부호의 설명>

10: 바이오플락 수조 20: 수조틀 30: 저수조 31: 유량조절판 32: 바이오필터

33: 분산기 34: 여과재 35:수중펌프 40: 자동사료 공급시스템

50: 냉각저수조 시스템 51: 냉각기 52: 열교환기 53: 냉각 저수조 파이프

60: 냉각저수조 시스템 61: 히터 62: 가온 저수조 파이프 70: 공기공급시스템

71: 브로워 72: 비상산소 공급시스템 73: 산소발생기 74: 산소경보 시스템

80: 교반시스템 90: 외부케이스 91: 아쿠아포닉 재배대 92: 담액수경재배대

93: 박막수경재배대 94: 육묘수경재배대 95: 광원 96: 반사갓

97: 복합환경 제어시스템 98: 조도제어 시스템 99: 결로방지 시스템 100 : 재배조

100a : 재배선반a 100b : 재배선반b 110 : 뿌리받침대a 110a : 뿌리받침대a

110b : 뿌리받침대b 120 : 재배조 무게추 130 : 뿌리받침대 체결부 140 : 망사분

150 : 충전재 160 : 재배수관 삽입공 170 : 재배분 삽입공

200 : 사육수관(재배조배열축) 210 : 재배수관 220 : 부력재 230 : 연결관

240 : 너트 250 : 광원 300 : 펌프 310 : 입수관 320 : 출수관 400 : 양식용 수조 500 : 엽채류 510 : 양식생물

육상 양식 사육수의 무배출에 의한 지속 가능한 환경 친화적 양식 기술을 제공함으로서 자연 환경 및 지리적 입지 조건에 제한받지 않는 연중 안정적인 유기 농,수산물의 생산 및 공급 체계 구축이 가능하다. 또한, 지역적, 환경적 제한요소를 극복하여 고부가 품종의 생산기반 확대와 비 환수, 저탄소 친환경 양식기술이 가능한 BFT 기술을 접목한 첨단 미래형 양식기술의 개발로 플랜트 수출 가능성이 확대되고, 새로운 전략 산업으로 육성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이 있다.




Claims (11)



  1. 단층 또는 복층으로 이루어진 구조틀에 바이오 플락용 수조가 형성되어 영양세균과 양식어종을 함께 사육하고 상기 바이오플락용 수조에는 저수조가 연결되어 바이오플락용 수조에서 발생한 양식어종의 유기물이 포함된 사육수를 저수조에서 여과하여 1차 정화하도록 한 바이오플락 시스템;
    상기 1차 정화된 사육수를 아쿠아포닉 식물재배 시스템으로 이송하여 식물재배에 의한 2차 정화를 실시하여 정화된 사육수를 다시 바이오플락 시스템으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쿠아포닉을 이용한 도심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플락 시스템과 아쿠아포닉 식물재배 시스템에는 양식어종의 사육과 식물재배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모니터링 시스템이 연결되고, 모니터링 시스템은 바이오플락 시스템의 수질측정장치와; 아쿠아포닉 식물재배 시스템의 항온항습장치와 조도장치로 이루어져 모니터링 시스템의 제어를 받아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쿠아포닉을 이용한 도심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플락용 수조에는 냉각기를 형성한 냉각저수조와 가온기를 형성한 가온저수조가 연결되어 바이오플락용 수조와 아쿠아포닉 식물재배 시스템에서 배출된 사육수를 가온 또는 감온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쿠아포닉을 이용한 도심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바이오플락용 수조의 일측에는 자동사료 공급시스템이 형성되며, 상기 바이오 플락용 수조 또는 저수조에는 수중펌프와 교반기로 이루어진 교반시스템과 공기공급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쿠아포닉을 이용한 도심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아쿠아포닉 식물재배 시스템은 밀폐된 공간 내부에 재배대가 설치되고, 상기 재배대는 담액수경재배대, 박막수경재배대, 육모재배대 중에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재배대가 설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쿠아포닉을 이용한 도심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오플락용 수조 벽면 일측에는 UV코팅 처리된 아크릴 투시창을 설치하고 수조 내부에는 중간칸막이가 형성된 트랙 형태로 이루어지며, 수조 바닥에는 선형 또는 폐쇄된 다각형상을 갖는 공기공급장치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쿠아포닉을 이용한 도심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아쿠아포닉 식물재배 시스템은 식물종묘를 안착시키고 사육수를 소통시켜 수경재배할 수 있는 재배조가 형성되고, 재배조 양측에는 사육수를 공급과 배수를 위한 재배수관이 삽입되는 재배수관 삽입공이 형성되고, 재배조의 하부에는 재배조 무게추가 형성되어 재배수관의 수평축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된 양식 사육수를 식물을 재배에 이용하여 정화시킨 후, 양식생물의 사육수로 재사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쿠아포닉을 이용한 도심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조에는 상부에 재배식물을 안착시킬 수 있는 재배분 삽입공이 하나 이상 형성되고, 일정한 체적을 갖고 상부면이 개방되고 재배수관이 삽입되는 재배수관 삽입공이 형성된 뿌리수용함이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쿠아포닉을 이용한 도심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조에 연결되는 재배수관의 다른 일측은 사육수를 공급하는 사육수관과 연결되고 사육수관은 부력재로 둘러싸여 사육수관 내의 사육수의 보온과 함께 상기 재배조를 수면에 띄울 수 있도록 부력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쿠아포닉을 이용한 도심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분 삽입공에는 망사분이 안착되고 망사분에는 식물성장을 위한 충전제와 함께 식물종묘가 심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쿠아포닉을 이용한 도심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재배조의 측면에 형성되는 재배수관 삽입공은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나 이상 형성되어 선택적 위치에서 재배수관과 연결되어 재배식물의 뿌리가 물에 잠기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쿠아포닉을 이용한 도심형 바이오플락 양식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