곰취 재배기술 곰취 1. 성상 및 이용 (1) 성상 곰취(Ligularia fischeri)는 국화과의 쌍떡잎 여러해살이 식물로 표고 600m이상의 깊은 산 나무숲 밑이나 비옥한 초생지 및 산골짜기의 음습한 계곡에 종종 군락을 이루면서 자라고 있다. 지방에 따라 곰의 발바닥 모양을 닮았다고 하여 웅소(熊蔬)나물이라 부르기.. 산나물 - 음지/*곰취(음지) 2017.08.13
참나물 재배 기술 재배기술 번식 참나물의 번식은 종자와 포기나누기로 가능하다. 종자는 가을철에 채취하자마자 바로 충실한 종자를 선별하여 건조시키지 말고 축축한 모래나 마사토를 벤레이트-T나 톱신과 같은 살균제로 소독한 후 3∼5℃의 저온저장고에 10일 이상 저장하면 어느정도의 발아가 이루어.. 산나물 - 음지/*참나물(음지) - 연중 수확 2017.08.12
참나물 재배 방법 ◑ 참나물의 특성 참나물은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숙근초로서 반디나물, 거린당이, 머내지라는 명칭을 갖고 있으며, 유사종으로는 파드득나물, 반디나물 그리고 일본에서 개량되어 국내에서 재배 유통되고 있는 삼엽채(미쓰바)가 있다. 키는 50~60㎝정도 자라며, 6월에서 8월 사이에 .. 산나물 - 음지/*참나물(음지) - 연중 수확 2017.08.12
참나물 재배기술 참나물 재배기술 참나물은 미나리과(산형과)의 여러해살이 식물로 해발 400m이상의 높은 산지의 수림하에 자생하며 한국, 중국, 일본 등 동북아시아지방에 분포한다. 예로부터 어린 순을 채취하여 잎줄기를 생으로 먹거나 무침, 튀깁, 부침, 김치 등 다양한 형태로 식용하여 왔는데 독특한 .. 산나물 - 음지/*참나물(음지) - 연중 수확 2017.08.12
취나물 재배 〔곰 취 〕 - 과 명 : 국화과 - 학 명 : Ligularia fischeri Turcz - 속 명 : 곤달비, 왕곰취 - 분 포 : 도내 심산의 고지대에 집단 서식 ▩ 형태 및 특성 다년초로 초장은 1∼2m이고 뿌리 근처에 나온 잎은 길이가 85∼90㎝에 달하며 흡사 머위 잎과 비슷하다. 꽃은 표고에 따라 7∼9월 사이에 황색 설상.. 산나물 - 음지/참취(약그늘) 2016.12.14
참취 재배기술 참취 재배기술 목 차 참취의 일반적 특성 참취 재배 기술 촉성, 억제재배 식 물 명 v 과 명 : 국화과 v 학 명 : Aster scaber Thunb v 한약명 : 동풍채(東風菜) v 이용부위 : 잎 v 분포지역 : 전국의 산지 수림 밑이나 산기슭에 자생 ü 한국, 일본, 중국 등 산간지역 약 리 성 분 v 세레브로시드2, 3, 5 .. 산나물 - 음지/참취(약그늘) 2016.12.14
취나물(곰취, 참취) 재배기술 취나물(곰취, 참취) 재배기술 서언 산채는 인간에 의해 개량․육성되어 밭에서 재배되는 작물과는 반대로 자연 그대로 산야에 자생하는 식물 중 식용이 가능한 식물을 일컫는다. 우리나라에서는 자생하는 식물 약 4,200여종 중 55과 480여종이 산채로 분류가 가능하다고 보고 있는데 현실.. 산나물 - 음지/참취(약그늘) 2016.12.14
친환경(무농약) 고품질 취나물 재배기술 친환경(무농약) 고품질 취나물 재배기술 1. 성상 및 이용 참취는 다년생 숙근초로서 키는 1∼1.5m정도 자라며, 잎은 긴 타원형이고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생육초기에는 뿌리 잎이나 6∼7월에 줄기가 신장하여 8∼9월에 꽃이 핀다. 꽃은 꽃잎이 6∼7매이며 흰 들국화와 비슷하다. 종자는.. 산나물 - 음지/참취(약그늘) 2016.12.14
참취 (취나물)재배법 취나물 가. 생김새와 이용하는 방법 참취는 국화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식물로써 우리에게 가장 친숙한 산채이기도 하다. 키는 1~1.5m정도 자라며, 잎은 긴 타원형이며 잎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생육초기에 뿌리 잎이 자라거나 6~7월에 줄기가 자라나서 8~9월에 흰 들국화와 비슷한 꽃이.. 산나물 - 음지/참취(약그늘) 2016.12.14
취나물 재배 취나물 재배 우리나라 취나물 종류는 60여종이나 있으며 대부분이 국화과 식물에 속하고 있다. ○ 주요 취나물 종류 : 개미취, 각시취, 곰취, 수저취, 미역취, 가얌취, 참취 가. 재배환경 (1) 특 성 취나물의 대부분은 2년초 또는 다년초 식물이며 자라는 곳은 평지로부터 2,000m의 높은 지대까.. 산나물 - 음지/참취(약그늘) 2016.12.14
우산나물 재배특성 우산나물 과명 : 국화과 학명&외국명 : Syneilesis palmata (Thunb.) Maxim. (이명) 삿갓나물 형태/분포 다년초 음양구분 양지/반음지 내한성 강 크기 60~120cm내외로 자란다. 꽃 6~9월에 피며 지름 8~10mm의 원추화서를 이루며 화경은 길이 3~10mm로서 털이 있으며 포는 길이 2~3mm로 피침형이다. 총포는 원통.. 산나물 - 음지/우산나물(반음지) 2016.11.30
우산나물 재배 [우산나물꽃망울] 이자료는 풀꽃향기님께서 디카,폰 이미지 솜씨 자랑방에 올려주신 이미지 입니다만, 상세한 내용과 함께 올리려고 이방에도 올려봅니다.^-^ 풀꽃향기님께 감사 드립니다.^-^ [우산나물 내용] ㆍ과 류 : 국화과 ㆍ개화기 : 6~8월 ㆍ초 장 : 70~120cm ㆍ용 도 : 식용, 관상용, 약.. 산나물 - 음지/우산나물(반음지) 2016.11.30
취나물 재배 번역하기 전용뷰어 보기 취나물 재배시기밭 준비봄에는 햇빛이 잘 들고 여름에는 그늘이 지는 활엽수(감나무, 밤나무 등)아래, 약간 습기가 있는 장소를 선택한다. 비옥한 곳에서 자란 나물이 잎도 크고 보드랍다. 뿌리 심기취나물 뿌리는 이식성이 좋아 아무렇게나 심어도 잘 자란다. 심.. 산나물 - 음지/참취(약그늘) 2016.11.30
취나물 재배 기술 취나물 재배기술 곰 취 참 취 미 역 취 수 리 취 목 차 1. 명칭 7. 취나물의 품질향상 2. 재배환경 8. 촉성재배를 위한 가온개시 적기 3. 재배작형 9. 장기냉장처리에 의한 참취 억제재배 4. 취나물의 파종방법 10. 취나물의 수확관리 5. 취나물의 재배관리 11. 가공판매 6. 취나물 식물체 휴면생리.. 산나물 - 음지/참취(약그늘) 2016.11.30
향긋한 취나물(참취) 효능,재배하는 방법 우리가 흔히 부르고 알고있는 취나물과 참취나물은 같은 것입니다. 곰취,수리취,개미취,서덜취등의 수만은 취나물중 참취라고 있는 것 입니다. 그리고 흔히 그 참취를 말리거나 데쳐서 먹는 나물을 취나물이라 부르는 것 입니다. 이제 혼돈하지 않으시고 이해가 조금 가셨나요? 취나물 .. 산나물 - 음지/참취(약그늘) 2016.11.30
취나물 재배, 참취 재배법 소개 봄철 입맛 돋우는 음식 취나물 (참취) 재배, 재배법을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취나물은 보통 참취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그 이외에도 취나물은 곰취, 수리취, 미역취 등 10여 종이 있습니다. 산나물-취나물의종류 산나물-취나물의종류 우리가 산에서 쉽게 볼 수있는 취나.. 산나물 - 음지/참취(약그늘) 2016.11.30
병풍쌈(취), 어리병풍 병풍취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학명 Cacalia firma 분류 국화과 분포지역 한국. 중국 동북부 서식장소 깊은 산의 숲속 크기 높이 1~2m 근엽은 엽병이 길고 원형으로 지름이 35~100cm이며 밑은 심장형이고 가장자리는 11~15개로 얕게 갈라지며 열편은 3각상 난형으.. 산나물 - 음지/병풍쌈(반음지) 1~2m 2016.11.30
병풍취 - 임간재배를 위한 적정 광조건 병풍쌈-임간재배를 위한 적정 광조건 병풍쌈 최근 식생활의 고급화로 소비자들의 기능성 고급 산채에 대한 수요와 신소득 작물의 개발에 대한 농·산촌민들의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산채류는 청정 임산물일 뿐만 아니라 식물체 내 비타민과 무기질이 풍부하여 영양학적으로도 우수한 .. 산나물 - 음지/병풍쌈(반음지) 1~2m 2016.11.30
병풍취 재배 추위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산나물농장에는 산나물 새싹이 서로 먼저 나오겠다고 난리가 났어요 오늘은 병풍취 재배에 대해서 소개하겠습니다 긴 겨울잠을 자고 따뚯한 봄 날씨에 병풍취 이곳저곳에서 불쑥불쑥 올라오고 있어요힘 경쟁하듯 큼직한 병풍취 어미의 낙엽을 들어올리고 .. 산나물 - 음지/병풍쌈(반음지) 1~2m 2016.11.30
병풍취 재배 병풍취의 생태주기는 8년에서 13년으로 현재는 4년부터 체취가 가능하다 꽃이 피면 죽는다고 알고 있으나 꽃이 피는 전년에 마디번식을 하여 개체수에는 영향을 주지 않고 늘어난다 식재 적정시기 3월 25일부터 4월 25일 9월 25일부터 11월 25일 (최적기10월10일~11월9일) 생산 까지의 소요기간:.. 산나물 - 음지/병풍쌈(반음지) 1~2m 2016.11.30
산마늘 재배기술(강원도농업기술원) 산 마 늘 ◎ 과 명 : 백합과 ◎ 학 명 : Allium vitorialis var. platphyllum MAKINO ◎ 한약명 : 각총(茖蔥), 산총(山蔥) 1. 분 포 ◦ 국내 : 설악산, 지리산, 울릉도 등 ◦ 국외 : 일본, 중국, 몽골, 시베리아 등 울릉도종 오대산종 2. 성 상 ◦ 잎 : 길이 20~30㎝, 장타원~난형 산마늘 년생별 경.. 산나물 - 음지/산마늘(명이나물)(반음지) 2016.05.30
명이나물(산마늘) 재배법 산마늘 재배기술 1. 산마늘 - 춘궁기 목숨을 이어준 나물(명이) ->이른 봄 가장 빨리 돋아남 - 자양 강장효과가 높은 나물(행자 마늘)-> Allisin 성분, 기력 증진 - 마늘 특유의 향긋함 풍미-> 고급 산나물 2. 산마늘 분류 - 식물학적 분류 - 백합과 마늘속 3. 식품적 가치 - 일반 성분 (100g기.. 산나물 - 음지/산마늘(명이나물)(반음지) 2016.05.30
산마늘 재배법 [산마늘]{명이나물} (2013년 3월21일 농장에서 촬영) 올림푸스 790 SW 디지털 카메라 사용, 지난주 토요일날 고향에 내려갔다가 형님댁에서 가져온 복합비료 1포,규산질 비료 2포를 지금까지 아들차 트렁크에 실어놓고서 오늘 아침에서야 아들 출근길에 함께 농장에 잠시들렀다 산마늘 잎이 .. 산나물 - 음지/산마늘(명이나물)(반음지) 2016.05.30
산마늘 재배기술 산마늘은 1882년 고종 19년에 본토에서 울릉도로 이주한 사람들이 굶어 죽기 직전, 차가운 눈을 뚫고 돋아난 산마늘 싹으로 긴 겨울을 넘을 수 있었다는 전설을 가진 식물입니다. 마늘과 같이 독특한 향이 입맛을 자극하고 비타민과 무기성분이 풍부해 뛰어난 자양강장 효과를 보이는 산마.. 산나물 - 음지/산마늘(명이나물)(반음지) 2016.05.30
'산마늘' 재배 '산마늘' 재배 산마늘(Allium victorialis vor. platyphyllum)은 시베리아, 중국, 한국, 일본 등에 자생하는 백합과의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우리나라에서는 설악산, 오대산, 지리산의 고산지대 및 울릉도의 숲속에서 자란다. 울릉도에서는 명(命), 또는 멩이나물이라고 한다. 일본에서는 수도승이 즐.. 산나물 - 음지/산마늘(명이나물)(반음지) 2016.05.30
고려엉겅퀴(곤드레) 재배 고려엉겅퀴(곤드레) 재배 [흰고려엉겅퀴꽃]2015,8,28, 덕유산 정상에서,~~~ ​ [고려엉겅퀴꽃/곤드레나물]2015,8,31, 농장에서,~~~ [고려엉겅퀴/곤드레나물]2015,8,31, 농장에서,~~~ 농장에서 자라고 있는 고려엉겅퀴(곤드레나물)와 무주구천동 덕유산 정상에서 본 흰고려엉겅퀴 꽃을 함께 올려 .. 산나물 - 음지/고려엉겅퀴(곤드레)(약그늘) 2016.05.27
고려엉겅퀴(곤드레) 재배 기술 고려엉겅퀴(곤드레) 재배 기술 1. 생김새와 이용방법 고려엉엉퀴는 전국의 산야에서 자라는 다년초로서 엉겅퀴의 일종으로 다른 엉겅퀴는 식용뿐만 아니라 약용으로도 사용되고 있으나 ,고려엉겅퀴는 식용으로만 이용되고 있으며 “곤드레”라고도 불리우기도 한다. 키가 1m에 달하고 .. 산나물 - 음지/고려엉겅퀴(곤드레)(약그늘) 2016.05.27
곤드레 재배 곤드레는 엉겅퀴의 일종입니다. 어린잎과 줄기를 먹는데, 끓는 물에 데쳐 우려낸 다음 묵나물, 국거리, 볶음용으로 이용합니다. 먹고 살기 어려웠던 옛날, 산골에서는 특이한 냄새도 없고 부드럽기 때문에 곤드레 밥이라 하여 밥을 지을 때 함께 넣어 양을 늘려 먹기도 했습니다. 1. 곤드.. 산나물 - 음지/고려엉겅퀴(곤드레)(약그늘) 2016.05.27
곤드레 - 체계적인 재배 체계적인 재배∙다양한 가공 가능해진 곤드레(고려엉겅퀴) ‘산채’도 아닌‘곤드레’이름만으로 지역축제 지난 5월, 강원 정선군은 지역 대표 산나물 곤드레를 알리는 축제를 열었다. 곤드레나물밥 말고는 요 리랄 것도 없는데 웬 축제냐 하신다면 천만의 말씀, 행사는 전국에서 몰.. 산나물 - 음지/고려엉겅퀴(곤드레)(약그늘) 2016.05.27
곤드레 재배와 가공 기술 곤드레 재배와 가공 기술 곤드레는 조섬유와 칼슘, 인, 철분 등 무기질 성분이 많이 들어 있어 영양 불균형을 완화하는데 효과적인 산나물입니다. 특히 곤드레는 다른 산나물과는 달리 단기간에 수확할 수 있어 자본 회전이 빠르고, 재배도 비교적 쉬운 편인데요. 지금부터 산나물 곤드레.. 산나물 - 음지/고려엉겅퀴(곤드레)(약그늘) 2016.0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