풀솜대 (녹약:鹿藥) <초여름 산비탈을 하얗게 수놓는 월경불순 치료제> 솜대·솜죽대·녹약이라고도 한다. 산지의 숲속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육질이고 옆으로 자라며 끝에서 원줄기가 나와 비스듬히 20∼50cm로 자라며 위로 올라갈수록 털이 많아진다. 밑부분은 흰색 막질의 잎집으로 싸여 있다. 잎은.. 산나물 - 양지/*풀솜대(지장보살) 2017.08.09
풀솜대 ( 편두칠(偏頭七), 솜대, 솜죽대, 녹약, 지장보살) ▶풀솜대 ▶학명 Smilacina japonica A. Gray var. japonica ▶생물학적 분류 피자식물문 > 외떡잎식물강 > 백합과 ▶분포지역 한국 ▶크기와 너비 크기 20~50cm ▶꽃특징 야생화 ▶용도 관상용 ▶종류 식용식물 ♣특징 풀솜대는 전국 각처 산중에 자라는 다년생 초본이다. 생육환경은 반그늘과 부.. 산나물 - 양지/*풀솜대(지장보살) 2017.08.09
밀원식물 야생화 풀솜대 사진출처:http://cafe.naver.com/yatam매화 ?풀솜대는 백합과에 속하는 식물로 일명 지장보살풀 이라 불리기도 하지요~ 그리고 개화시기는 5~6월 이랍니다~^^ 사진출처:http://cafe.naver.com/yatam매화 풀솜대를 보시면 잎이 올라온 모양은 둥글레와 유사하며 꽃 모양은 여러개 소화가 하나의 꽃 형태를 .. 산나물 - 양지/*풀솜대(지장보살) 2017.08.09
섬쑥부쟁이 다년생 초본으로 근경이나 종자로 번식한다. 울릉도의 산지에서 자란다. 근경에서 나온 줄기는 높이 80~150cm 정도이고 가지가 갈라진다. 모여 나는 근생엽은 개화기에 없어지며 어긋나는 경생엽은 길이 9~18cm, 너비 4~6cm 정도의 긴 타원형으로 양면에 잔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8.. 산나물 - 양지/*섬쑥부쟁이(부지갱이나물) 2017.08.09
부지깽이나물(섬쑥부쟁이) 부지갱이 나물의 여러가지 변신입니다.. 작년에 말려 놓았던 부지갱이 나물을 적당히 삶아서 꼭 짜 놓습니다 달궈진 후라이팬에 식용유를 넣고 나물에 밑간을 하여 (집에서 만든 진간장) 달달 볶다가 마늘과 파( 흰부분)새로로 썰어서 다시한번 복다가 참가름과 통깨를 넣어서 마무리 하.. 산나물 - 양지/*섬쑥부쟁이(부지갱이나물) 2017.08.09
섬쑥부쟁이 봄부터 가을까지 생산 가능한 섬쑥부쟁이섬쑥부쟁이는 전국에서 재배되고 있다. 주로 봄에 많이 출하되지만 서늘한 가을에도 재배되어 시장에 나온다. 한 번 심어놓으면 일 년에 여러 차례 수확할 수 있고 별 탈 없이 잘 자라므로 재배가 손쉽다. 현재 전국에서 생산되고 있는 섬쑥부쟁이.. 산나물 - 양지/*섬쑥부쟁이(부지갱이나물) 2017.08.09
풀솜대 풀솜대 ● 풀솜대 ○ 학명 : Smilacina japonica A.Gray var. japonica ○ 속명 : 솜대, 솜죽대, 솜때, 지장보살, 왕솜대, 큰솜죽대, 품솜대 ○ 생약명 : 녹약(鹿藥) ○ 분류 : 백합과 ○ 분포지역 : 전국 ○ 자라는 곳 : 산지와 숲속 ○ 분포국가 : 중국, 러시아 ○ 꽃색 : 흰색 ○ 꽃피는 시기 : 5월~7월 ○ .. 산나물 - 양지/*풀솜대(지장보살) 2017.08.08
전체를 식용 59.산달래 - 돌달래·큰달래라고도 한다. 꽃은 5∼6월에 연한 붉은빛을 띤 자주색으로 피고, 연한 포기 전체를 식용하고 비늘줄기를 건위제·정장제로 쓰며, 화상 치료에 사용한다. 돌달래·큰달래라고도 한다. 산과 들에서 자란다. 높이 40∼60cm이다. 포기 전체에서 마늘 향이 난다. 비늘.. 산나물 - 양지/산나물(봄) 2017.01.17
생으로먹을수있는 산나물 주먹밥과 된장뿐인 도시락으로, 산행을 하며 뜯은 산나물로 반찬삼아 산등성이 골짜기에서의 점심시간은 신선이 부럽지 않은 그런 시간이죠. 나물을 생으로 먹는다는 것은 쌈이나 겉절이로 먹거나 된장이나 초고추장을 찍어 먹는 것을 말 하는데 그러려면 제일 중요한 것은 청정하고 깨.. 산나물 - 양지/산나물(봄) 2016.12.14
생으로 먹는 나물들 < 생으로 먹는 나물들 > 봄철은 만물이 생장을 준비하는 과정입니다. 겨우내 숨죽였던 돋아나는 나물들은 생으로 먹을 수 있습니다. 본래 우리가 먹는 곡식과 나물들이 최상의 선약초입니다. 꽁보리밥 한덩이에 푸른곰팡이 매주담근 된장으로 맵삭한 풋고추를 찍어먹던지 묵은 장으.. 산나물 - 양지/산나물(봄) 2016.12.14
강화 약쑥 자료입니다 약쑥을 재배하면 ? ○ 재배하기가 쉽고 휴경지 등 노는 땅을 이용할 수 있다. ○ 한번 심으면 매년 수확할 수 있고 기상재해에 영향이 적다. ○ 약쑥은 저장성이 좋아서 연중판매가 가능하다. ○ 강화약쑥은 전국적으로 명성이 높아 판매가 용이하다. ○ 건강식품 개발로 약쑥의 소비가 늘.. 산나물 - 양지/쑥 2016.11.30
쑥 재배 재배적지 쑥은 해가 잘 들고 건조한 곳을 좋아하나, 반음지에서도 비교적 잘 자란다. 배수가 양호한 사질양토가 적합하며, 유기질이 풍부한 비옥한 땅에서 연한 잎을 다량 수확할 수 있다. ♧ 재배요령 ☆ 번 식 실생 3월 중하순에 캐낸 지하경을 3~5cm로 잘라 미리 조성해 둔 너비 90cm, 높.. 산나물 - 양지/쑥 2016.11.30
삽주 재배 방법 1.채종 근경은 파종 후 2년 차에 수확하는데 1년차에는 꽃봉오리가 늦게 맺혀 개화되는 식물체가 많지 않다. 2년생은 5월경부터 왕성하게 성장하여 9월 상순에 개화하고 다수의 종자를 결실한다. 따라서 채종은 2년생 이후에 한다. 큰꽃삽주의 종자 크기는 길이 8~10mm. 폭은 3.4mm.두께 1.8mm이.. 산나물 - 양지/삽주 2016.11.30
삽주 <백출,창출> 재배 기술 삽주 <백출,창출> ◆ 일반적특성 식물식물명 : 삽주 과 명 : 국화과(compositae) 학 명 : Atractyloides ssp. 영 명 : Atractylodes 생약명 : 백출, 창출 이 명 : 삽추, 山蘇, 朮(출), 山芥, 山薑, 山連, 仙朮(선출), 楊枸, 馬蘇(마소) 생약의 식물기원 삽주속(Atractyloides) 식물은 종에 따라 한약(생약)명을 .. 산나물 - 양지/삽주 2016.11.30
삽주 재배 방법 삽주 재배 방법 1.채종 근경은 파종 후 2년 차에 수확하는데 1년차에는 꽃봉오리가 늦게 맺혀 개화되는 식물체가 많지 않다. 2년생은 5월경부터 왕성하게 성장하여 9월 상순에 개화하고 다수의 종자를 결실한다. 따라서 채종은 2년생 이후에 한다. 큰꽃삽주의 종자 크기는 길이 8~10mm. 폭은 3.. 산나물 - 양지/삽주 2016.11.30
삽주의 효능 및 재배 삽주의 효능 및 재배 1. 삽주 삽주는 국화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초장이 30∼80에 이르며 엽(葉)은 단엽, 3출엽, 5출엽이 혼재하며 란상(卵狀) 피침형으로서 끝이 뽀쪽하고 엽 둘레에 톱니 같은 가시가 밀생(密生)한다. 4월 중순 출아하며 6월에 꽃망울이 생겨 9월경에 백색 또는 연한 자색의 양.. 산나물 - 양지/삽주 2016.11.30
땅두릅(독활) 재배 독활(獨活) ▶ 도입 ○ 식물명(학명) : 땅두릅(Aralia cordata Thunb.) ○ 생약명 : 독활 ○ 이용부위 : 뿌리, 새순 독활의 식물명은 땃두릅(Aralia cordata Thunb.)이고, 생약명은 독활이다. 독활은 나무두릅과 달리 땅에서 올라온다고 하여 지역에 따라서 땃두릅, 땅두릅이라고도 불린다. 한국인은 새순.. 산나물 - 양지/땅두릅(독활) 2016.11.29
땅두릅(독활) 재배 독활 (땅두릅) '독활'이라고도 부르는 '땅두릅'은 나무가 아닌 다년생 풀이다. 땅두릅은 우수한 알칼리성 식품으로 동의보감은 "해열과 강장은 물론 진통, 마비, 관절염, 신경통, 관절통등에 뛰어난 효과가 있다"고 소개되어 있으며 봄철 수확하여 데쳐서 묻혀 먹거나 부침, 소금저림, 안주.. 산나물 - 양지/땅두릅(독활) 2016.11.29
땅두릅(독활) 재배 기술 생육특성다년생으로 비교적 메마른 땅에서도 잘 자라며 학명은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이며 일본어로는ウド(우도)라 한다. 줄기는 가지를 많이 내고 초장이 1.5∼3m에 이르며 이른봄 땅속뿌리에서 움이 돋아나 7∼8월부터 연한 녹색꽃이 피고 8∼10월에 열매를 맺는다. 잎은 2∼3회 깃골로 갈.. 산나물 - 양지/땅두릅(독활) 2016.11.29
땅두릅 = 독활 재배기술 땅두릅 = 독 활(獨 活) 재배기술 1. 식물명 : 독활(오가과 Araliaceae) 생약명 : 독활(獨活) 학 명 :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이용부위 : 뿌리 2. 식물의 성상 어린잎과 열매 가. 재배식물의 성상 독활은 다년생초본으로 줄기는 키가 1~2.5m에 달하며 직경이 2cm정도로, 암녹색을 띤다. 줄기 표면에는 .. 산나물 - 양지/땅두릅(독활) 2016.11.29
땅두릅(독활) 재배법 및 이용 밭두릅(독활) 재배법 및 이용 ☆ 한방에서 보는 독활 ☆ 독활은 오갈피나무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땃두릅의 뿌리를 약재로 사용한다. 그 성미는 맵고 쓰며 따뜻하고 무독하다. 주로 작용하는 장기는 신장과 방광이다. 그 효능을 보면 풍기(風氣)와 습기를 제거하는 거풍승습(祛風勝濕).. 산나물 - 양지/땅두릅(독활) 2016.11.29
땅두릅(독활) 재배기술 땅두릅 재배기술 1. 분포 독활(Aralia continentalis KITAGAWA)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는 다년생 숙근초로서 일명 땅두릅이라고 하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해발 1,500m까지의 산야, 계곡, 산기슭 등에 군락을 이루어 자생하며, 일본, 중국, 동아시아의 온대지역에 넓게 분포하고 있다. 초장은 1.5 ~ 2.0m이상 .. 산나물 - 양지/땅두릅(독활) 2016.11.29
돼지감자 재배법 ▩ 형 태 북미원산의 숙근초로서 줄기는 직립하여 높이가 1.5∼3m이고 지하경 끝이 굵어져 괴경이 발달한다. 밑부분의 잎은 대생하고 윗부분의 잎은 호생하며 긴 타원형으로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조숙종은 7월중순, 만숙종은 9∼10월에 황색꽃이 피며 꽃은 가장자리에 .. 산나물 - 양지/돼지감자 2016.11.29
돼지감자 재배 방법 돼지감자 재배 방법 - 돼지감자는 봄, 가을에 심는다. - 심는 시기는 봄철에는 3월 하순부터 5월 상순경, 가을철에는 11월 하순경에 10~20센티미터 깊이로 파종한다. - 씨앗으로도 번식하지만 보통 씨돼지감자로 번식한다. - 종자로 쓸 씨돼지감자는 가을에 잎, 줄기가 마를 무렵에 캐내서 습.. 산나물 - 양지/돼지감자 2016.11.29
돼지감자(뚱딴지) 재배 방법 돼지감자(뚱딴지) 재배법 재배적지 배수가 양호한 토양이라면 토질을 가리지는 않지만 비옥한 사질양토나 점질양토가 좋다. 온도에 대한 적응성이 강하고 전국에서 재배할 수 있다. 채광이 좋은 약간 경사진 곳이 좋다. 야생으로도 잘 번식하는 뚱단지는 재배가 용이하므로 고랭지의 휴.. 산나물 - 양지/돼지감자 2016.11.29
돼지감자 재배 방법 1. 돼지감자 재배 적지 배수가 잘되고 경토가 깊으며 유기질이 많고 부드러운 토지 25도 경사지가 가장 적지이다. 또한 일조와 통풍이 적당히 조절되는 다소간의 경사진 산간지가 적합하다. 논두렁이나 밭둑에서도 잘 자라는 특성이 있다. 2. 돼지감자 심는 시기 심는 방법은 돼지감자 전체.. 산나물 - 양지/돼지감자 2016.11.29
냉이 재배 기술 냉이재배 냉이는 일명 나생이, 나숭이라고도 불리우는 비교적 대중화 되어있는 산채이다. 냉이는 봄철 입맛을 돋울 뿐만 아니라 각종 영양소가 고루 함유되어 있어 식품적인 가치도 높은 편이다. 또한 여러가지 약리적인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해열, 이뇨, 지혈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 산나물 - 양지/*냉이 - 연중 수확 2016.06.08
냉이 재배 - 냉이 재배 명칭 과명:십자화과 학명:Capsella bursa-pastoris(L).MEDICUS 영명:sheperd's purse 한명:청명초(淸明草), 향선채(香善採), 제채(薺菜), 학심채(鶴心菜) 일본명:ナズナ 성상 및 이용법 냉이는 달래, 씀바귀와 함께 이른 봄 양지바른 밭가에 돋아나 봄이 왔음을 알리는 전령으로서 우리와 친숙한.. 산나물 - 양지/*냉이 - 연중 수확 2016.06.08
산나물과 독초 구별하기 본격적으로 산나물과 약초를 채취하는 시기가 다가오고 있어요. ^^ 이 시기가 되면 독초를 산나물이나 약초와 구별하지 못해 잘못 알고 먹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해요. 매년 반복되는 독초 섭취로 인한 식중독 피해 사례, 어떻게 하면 피할 수 있을까요? 대부분의 독초 식중독 피해는 산.. 산나물 - 양지/산나물(봄) 2016.06.05
봄철 나물종류 및 나물별 체취시기 ◈ 산나물 명산 ♣ 양평군 용문산 산세가 크고 웅장한 경기 양평 용문산. 산나물이 많아 가족단위로 산나물을 뜯기에 좋은 곳이다. 계곡주변에 산나물이 많다. 산행을 끝낸 뒤 양평장에서 산나물을 살 수도있다. ♣ 가평군의 명지산 명지산의 익근리와 백둔리에는 두릅.취.혼잎.고추잎.다.. 산나물 - 양지/산나물(봄) 2016.06.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