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생 나물 채취시기와 조리법 뱀딸기-어린잎을 나물과 생식용으로 식용함. 뽕나무- 봄의 어린잎은 나물과 생식용, 여름에 어린 생장점의 잎은 다소 뻣뻣하지만 좋은 영양식이 됨, 오디로는 오디주와 잼을 만듬, 봄에 잎이 꼭대기의 가지를 2-3cm 로 짤라 말려 프라이팬에 살짝 볶아 매일 차로 달여 마시면 고혈압, 수족.. 산나물 - 양지/산나물(여름) 2016.05.27
여름철(6~8월) 채취할 수 있는 나물 : 잎, 줄기, 꽃 열매 여름철(6~8월): 잎, 줄기, 꽃 열매 쑥, 질경이, 벚찌, 오디, 인동넝쿨, 개복숭아, 매실, 감잎, 등나무순, 등나무꽃, 맥문동열매, 명아주, 삼지구엽초, 보리수잎, 산딸기(복분자), 벌나무, 새솔잎, 쇠비름, 우슬, 두릅잎, 생강나무잎, 인동초, 익모초, 천마, 헛개나무순, 하수오, 화살나무(참빗살.. 산나물 - 양지/산나물(여름) 2016.05.27
취나물 취나물 효능 과 요리 지금산에 가시면 취나물이 지천입니다 이번 토요산행에서도 취나물을 모셔 보려고 합니다 취나물은 다양한 활용법이 있습니다 특히 취나물은 늣 여름까지 채취 가능 합니다 지금 취나물은 생나물로 드시고 조금뒤 커지고 피가 두꺼워지면 묵나물로 만들고 여름철.. 산나물 - 양지/산나물(여름) 2016.05.26
구기자 구기자.구기자는 예로부터 불로장생초라고 알려졌다.청양에 가면 구기자의 전설을 들을 수 있는데..젊게 보이는 아낙이 아비뻘은 되어 보이는 할아버지에게 종아리를 때리는 것을 목격한 선비는 하도 기이하여 꾸짖으며 물으니 때리는 아낙은 종아리를 맞고 있는 할아버지의 어미였다. .. 산나물 - 양지/산나물(여름) 2016.05.26
번행초 번행초는 남부 해안이나 울릉도, 제주도 같은 섬에서 자라는 산야초로 모래흙이나 바위 틈에서 볼 수 있습니다. 여름과 가을에 여린 잎을 채취하여 나물 무침이나 국, 볶음으로 먹고 말려 두었다가 차로 우려먹기도 합니다. 질기거나 특유의 향이 거의 없어서 여러 가지 음식에 활용할 수.. 산나물 - 양지/산나물(여름) 2016.05.26
수송나물(나문제) 수송나물(Salsola komarovii iljin)은 명아주과의 우리나라 각처의 해변가 모래땅에 자라는 한해살이풀이다. 주로 소금기가 있는 토양이나 해변에 많이 나며 특히 북반구에 많이 분포하고 있는데 전세계에 약 100종이 분포되어 있고 우리나라에는 수송나물속에 솔장다리, 수송나물, 날개수송나.. 산나물 - 양지/산나물(여름) 2016.05.26
돌나물 돌나물 돌나물 이명: 돈나물. 돋나물. 석연화. 석상채. 생약명: 부분초[垂盆草] 전초를 말린 것. 산지에 보면 돌과 바위에서 잘 자라며. 어린잎을 나물로 먹는다고 하여 돌나물이라 부른다고 합니다. ​ 돌나물은 여러 해 살 이로써 산과 들에서 바위에 붙어 키는 1.5센티 이상을 잘 자라.. 산나물 - 양지/산나물(여름) 2016.05.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