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보드 및 cpu 세대별 정리 및 호환(intel용)
컴퓨터 수리기술|2020. 11. 20. 22:30
cpu:cpu는 intel용 ,amd용 딱 두 종류다, 피씨조립에 관심없다면 이렇게 두종류가 있다는걸
대부분 모를것으로 본다
그럼 최근의 amd 추세를 보면 2017년부터 2019년까지 나오는 라이젠시리즈는 가성비가 좋아서
추천하고 2020년에는 아직 반반이 된 상태라고 유투브나 검색을 보면 나온다
intel cpu와 메인보드 , amd cpu와 메인보드는 각각 호환 되는걸 골라주어야 한다
조립피씨구입시 홈페이지에서는 호환성 보기 서비스를 지원해서 호환안되는 부품은 거를수 있긴하다
- 인텔 세대별 정리
메인보드 소켓 | 메인보드 칩셋 | CPU명 | 메모리(Ram) | 출시일 | |
1세대(린필드) | 1156 | h55,P55 | i3 530/i5 750/i7 860 | DDR3 | 2009.8~2010 |
2세대(샌디브릿지) | 1155 | h67, h61,G41,p67 | I3 2100/i5 2500/i7 2600 | DDR3 | 2010.1~ |
3세대(아이비브릿지) | 1155 | h77,b75,z77 | i3 3220/i5 3570/i7 3700 | DDR3 | 2011.4~ |
4세대(하스웰) | 1150 | H81,b85,q87,z87 | I3 4130/i5 4670/i7 4790 | DDR3 | 2013~ |
5세대(브로드웰) | 1150 | H97,z97 | I3 5005/i5 5200/i7 5500 | DDR3 | 2015~ |
6세대(스카이레이크) | 1151 | H110,h170,b150,z170 | I3 6100/i5 6400/i7 6700 | DDR4 | 2015~ |
7세대(카비레이크) | 1151 | H270,b250,q270 | I3 7100/i5 7500/i7 7700 | DDR4 | 2016.10~ |
8세대(커피레이크) | 1151- v2 | H310,H370,b360,z370,z390 | I3 8100/i5 8400/i7 8700 | DDR4 | 2017~ |
9세대(커피레이크-R) | 1151-v2 | B360,z370,z390 | I5 9600/i7 9700/i9 9900 | DDR4 | 2019~ |
10세대(코멧레이크) | 1200 | H410,H470,B460,Z490 | i3 10100/i5 10400/i7 10700k | DDR4 | 2020~ |
참고로 인텔 i 시리즈 보는법 초간단 정리를 해보면(무작정 외우는 것 보다는 원리를 알면 쉽게 외워지지 안을까함)
인터넷에 보면 그림으로 자세하게 나와있지만 찾기 구찬을수 있으니 여기에 적어보겠습니다
intel core i7-6700 k
intel core:인텔브랜드
i7:등급
6700:6(세대표시)700(성능표시)K(특징표시)
4면 4세대가 되고 5면 5세대가 되는것으로 뒤에 3자리가 높을수록 고성능이 됨
K나 X 가 표시된것은 표시가 없는 것과 비교하면 고성능이라고 보면 됨
F(Fabric의 약자) 가 붙은건 외워둘 필요가 있는데 내장그래픽이 없다는 것이다
언듯 생각하면 메인보드에 rgb,dvi,hdmi처럼 포트가 있으니 당연 모니터에 연결하면 나올것같지만
cpu 명칭에 F가 들어간 제품은 보드에 포트가 있어도 화면에 표시를 못한다
그럼 궁금할수 있는데 왜 그런걸 만드는걸까라는 저사양의 사무용은 보통 내장그래픽을 사용하지만
고성능의 게임용같은건 당연 외장그래픽이 들어가니 만들때부터 그런 기능을 빼고 만들었다고 생각하면
될거같은 생각이 든다
그러니 구입시에 참고를 하면 된거같다
참고로 특징표시 몇개 더 적어보면
M:모바일(노트북) 프로세서
AMD cpu에서 2200G 처럼 끝에 G가 붙은건 내장그래픽이 있다는 것이고,반대로 안붙은건
내장그래픽이 없는것
----------------------------------------------
위 표는 2019년까지 나온 세대별 표인데 인터넷 검색해보면 많이 나온다
오래된 1세대 이하도 있지만 너무 오래된건 생략하기로 한다
표를 보구 그때 그때 찾을수도 있겠지만 어느정도 규칙만 외우면 쉽게 기억할수 있다
일단 메모리는 6대세 부터 ddr4가 나오니 6세대 보드에는 ddr3 메모리를 꽂을수 없다
cpu명칭을 보면 해마다 i3/i5/i7 이런게 나온다
그럼 2010년 이전에는 i3/i5/i7 이런게 없었냐면 없다.
성능은 셀러론->펜티엄->i3->i5->i7->i9 이렇게 보면 된다
i3까지는 인터넷,동영상보기,한글,엑셀 등 간단한 사무용 용도
i5는 중간정도 되는 게임용이나 그래픽 작업용
i7,i9는 고성능 게임용이나, 동영상 편집용으로 대략 생각하면 된다
i5 이상부터는 그래픽카드의 비중이 높아지게 되고 당연 성능이 i7인데 사무용 그래픽카드를
꽂으면 게임이 당연 안된다
그럼 그래픽 카드도 세대별 정리된게 있는가 궁금해할수 있는데, 그래픽카드도
모델명을 확인해서 언제쯤 나온건지 알수가 있다.-> 이건 나중에 게시판에 올릴예정
계속 보다 보면 익숙해지지만 기냥 외우려구 하면 잘 안외워지니 규칙대로 외우면 쉽다
cpu명칭에서 기억할것이 1세대는 1000이하로 530,750,860 이렇게 되있고
2세대는 2100,2500,2600 이렇식으로 2천번대 3세대는 3천번대 ....
외울게 너무나도 많지만 이정도만 외워두어도 충분하지 안을까 함
간단하게 cpu명등을 인터넷에 검색하면 바로 출시년월이 나와서 확인하는 방법도 있다
passmark.com이라고 벤치마크 점수를 알려주는 사이트를 가도 cpu나 그래픽카드등의
성능점수및 출시년월을 알수가 있다 . (단점은 영어로 되있긴하다)
메인보드 보는 법은 정확한 규칙은 없는데
인텔용 보드는 6세대를 보면 h110,b150 이런게 있고 h,b,z 로 시작하고,
amd용은 보드는 a,b,z 로 시작한다구 간단한거만 외워두기로 한다
그럼 b가 겹치는데 어떻게 구분할수 있는지 궁금할수 있는데 그건 뒤에 숫자가 다르니
나중에 차츰 익숙해지면 된다
그거보다 중요한게 1세대는 50번대,2세대는 60번대(40번대로 하나 있는데 그건 좀 예외같음)
3세대는 70번대,4세대는 80번대,5세대는 90번대,6세대는 100번대,7세대는 200번대
8,9세대는 300번대로 생각하면 이게 얼마나 오래된건지 언제쯤 나온건지 대략 알수가 있다
글이 너무 길어지므로 amd 보는 법은 다음번 게시글에 올리면 될거같다
'컴퓨터 관련 >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10, bcd 오류 코드 0xc000014c 해결 방법 (0) | 2021.05.20 |
---|---|
CPU 쿨러 청소하기 분해 재조립 하기 컴퓨터 DIY 수리 (0) | 2021.05.18 |
안쓰는(고장난) 컴퓨터 그냥버리면 땅치고 후회하십니다 (0) | 2021.05.11 |
윈도우10 색보정하는 방법 (0) | 2020.07.03 |
윈도우10 F8 키를 눌러 안전모드로 부팅하기 (0) | 2020.06.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