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분포 및 종류
참나무과에 속하며 아시아, 유럽, 북미 등 온대지방에 12종이 분포
우리나라에는 과실이 크고 풍산성인 밤나무(Castanea crenata Sieo. Zucc)와 과실이 작고 감미가 많으며 속껍질이 잘 벗겨지는 약밤나무(C. bungeana Blume)가 분포.
2. 특 성 |
3. 용 도
|
4. 식재적지
5. 품 종
|
8. 비료주기(施肥) 가. 시비량
나. 시비방법
|
|||||||||||||||||||||||||||||||||||||||||||||||||||||||||||||||||||||||||||||
|
|||||||||||||||||||||||||||||||||||||||||||||||||||||||||||||||||||||||||||||
[측공시비와 환상시비] |
|||||||||||||||||||||||||||||||||||||||||||||||||||||||||||||||||||||||||||||
※ 시비시기 ·밑 거 름(基肥) : 2∼3월 잎이 피기전 ·덧 거 름(追肥) : 6월하순∼7월상순 ·가을거름(熟肥) : 9월상순 다. 기비(밑거름)는 유기질 시비가 필요함 현재 주로 사용하고 있는 화학비료를 이용한 다비(다수확) 재배지는 토양내 유기물이 소모되고 염기류의 유실이 커서 해가 갈수록 토양의 지력이 악화된다. 그 결과 수량이 저하하고 동고병의 발생도 많아지게 된다. 이런 재배림에서는 유기물 시비를 늘릴 필요가 있다.
※ 임업연구원 연구자료 제165호 자료
9. 밤나무 고사원인 가. 나무가 갖고 있는 특성
6∼8년
8∼12년 10∼15년 15년이상 (2) 다른 과수와 비교해서 한발(건조)에 약함 (3) 유목기에는 동해를 받기 쉬움 나. 유효토층(耕土)이 얇은 경우 또는 배수불량시 다. 수세를 약화시켜 고사 시키는 해충 라. 급격하게 나무를 고사 시키는 병종류
|
10. 정지전정(整枝剪定) 가. 변칙주간형(變則主幹形) 수세가 강한 직립성 품종(축파, 단택, 이취,옥광, 주옥)에 적용되고 수고 4∼5m내외 지상 1m부터 60∼80cm간격 4∼5본의 주지 배치함 |
|||||||||||||||||||||||||||||||||||||||||||||||
|
|||||||||||||||||||||||||||||||||||||||||||||||
⁚식재 묘목은 충실한 눈 4∼5개 남기고 지상높이 70∼100cm에서 잘라내도록 함 ⁚신초가 4∼5cm 자라는 동안에 눈은 수회 따주어 신초간격이 15∼20cm가 되도록 함(4∼5개 잔존)
⁚가장 발육이 좋은 상부의 신초를 주간(主幹)으로 하여 곧게 자라게 함 ⁚주간연장지에서 아래로 30∼70cm 띄어서 제1단계의 주지 후보지로 남기고 그 밖의 가지는 잘라냄
⁚주간, 주지, 측지의 구별을 명확하게 함 ⁚주간연장지는 직립으로 신장시키고 제2단계의 주지후보지를 30∼40cm간격으로 2∼3개의 가지를 남기고 자름
⁚주간연장지와 주지후보지의 선단부를 전정함 ⁚측지가 될 가지와 주지의 외측과 좌우에 2∼3본의 아주지를 배치시킴
⁚주지를 3∼5개를 선정하고 각 주지에는 아주지 2∼3개를 배치함. 이때 주지간격은 60cm가 표준임 ⁚중앙부 제거시기는 수고가 4∼5m 자랐을 때 주지 3∼5본을 남기고 자름
⁚주간내부로 충분한 광선이 투하되어 아래가지의 고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 ⁚주지에 역행하는 세력이 강한 가지, 직립지 등을 기부부터 잘라냄 ⁚중앙부 제거후 도장지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기부부터 솎아냄
⁚측지 솎아내기, 세력이 약한 주지나 측지의 갱신전정을 실시함 ※ 측지는 3∼4년생 가지를 이용함
⁚결과모지 : 원칙적으로 1측지당 2∼4개의 결과모지를 남기고 그 외는 제거 하지만 충실한 것은 짧게 잘라서 가지의 신장을 막도록 함 ⁚결 과 지 : 충실한 것은 결과모지로 이용함 ⁚ 발 육 지 : 주지이면에 발생한 가지는 전정 ⁚ 도 장 지 : 일반적으로 제거함 |
|||||||||||||||||||||||||||||||||||||||||||||||
|
|||||||||||||||||||||||||||||||||||||||||||||||
[변칙주간형 만드는 방법] 나. 개심자연형(開心自然形) 주간을 세우기 어려운 척박지, 수세가 약한 품종과 가지가 잘 벌어지는 품종(은기, 유마, 평기, 산대)에 적합함 |
|||||||||||||||||||||||||||||||||||||||||||||||
|
|||||||||||||||||||||||||||||||||||||||||||||||
⁚ 묘목을 식재한 후 지상 70∼100cm 높이에서 잘라주어 3개의 주지를 발생시킴 ※ 주지간격은 30cm 정도
⁚주간연장지는 지상 1.5m전후 높이에서 잘라내고 주지가 1m이상 신장한 것은 1/3정도 잘라주어 세력을 균등하게 배분함 ⁚주지수 3개, 아주지 2∼3개를 기본으로 유지함
⁚각 주지의 선단부 주지, 연장지 1개를 남겨놓고 제거함 ⁚1m이상 신장한 가지는 1/3 ∼ 1/4정도 잘라냄 ⁚각 주지에서 발생한 측지중 주지보다 세력이 약한 것을 아주지로 2개씩 90cm간격으로 남기도록 함
⁚아주지에 측지, 결과모지를 적당한 간격으로 착생시키고 1/4정도 잘라주도록 함
⁚수관축소와 결과부위의 유지, 갱신이 기본임 ⁚수관축소는 수세가 양호할 때 주지, 아주지의 선단부를 단축하여 인접나무와 가지 끝간격이 1m가 되도록 유지함
다. 저수고형(抵樹高形) 변칙주간형과 유사하게 전정을 실시하되 수관이 서로 맞닿아 울폐하게 되면 1열 간격으로 간벌을 실시하여 나무간격을 10m × 5m 유지시킴. 이때 제1주지는 간격이 넓은 곳(10m)으로, 제2주지는 좁은 곳(5m)으로 좌우로 넓게 벌어지도록 배치함 수형유도는 수고 1.5m부위에서 주간을 절단하고, 나무의 높이를 3.5m내외로 제한하는 방법임 |
|||||||||||||||||||||||||||||||||||||||||||||||
[저수고형] |
|||||||||||||||||||||||||||||||||||||||||||||||
⁚주간연장지와 주지후보 2본을 선정 1/2정도 전정하고 나머지 가지는 제거함 ⁚주지는 주간 굵기의 1/3이하로 가는 가지를 선정 이용함
⁚주지 2본에서 발생한 가지 중에서 아주지 후보를 선정 1/2정도 전정하고 겹친 가지와 직립 가지는 제거함
⁚ 주지 후보지를 선정한 후 중앙부(주간지)를 제거함
⁚지상 3.5m이상의 가지와 직립지 및 겹친 가지를 전정하고, 수관내부의 소약지는 잔존 시키는 것을 원칙으로 함. 저수고 재배 시 결과 모지의 잔존 본수는 수관점유면적 1㎡당 양호한 결과 모지(기부직경 1cm이상, 길이 30∼50cm)를 6∼8개 내외로 존치 시키는 것이 적당함 |
|||||||||||||||||||||||||||||||||||||||||||||||
|
|||||||||||||||||||||||||||||||||||||||||||||||
[저수고형 유도과정] |
|||||||||||||||||||||||||||||||||||||||||||||||
|
|||||||||||||||||||||||||||||||||||||||||||||||
[전정유도목(하동)] |
|||||||||||||||||||||||||||||||||||||||||||||||
⁚ 과실이 크고 수량이 안정적이며 1ha당 3천kg이상 수확할 수 있음 ⁚ 관리가 용이함(전정, 병해충 방제) ⁚ 수세유지와 경제수령 연장이 가능함 ⁚ 정지전정의 효과
※ 2L : 밤 크기 35∼39mm, L : 32∼35mm, M : 29∼32mm ※ 임업연구원 연구자료 제165호 자료임
13. 한해(寒害) 및 껍질데기(皮燒) 피해예방 ⁚ 남 서향의 급경사지나 저습지 식재를 피함 ⁚ 낙엽직후 나무줄기에 백도제(白塗劑) 또는 수성페인트를 바름 ⁚ 겨울동안 습하지 않게 배수로 정리 실행 |
14. 병충해 방제(病蟲害 防除) 요령
가. 밤나무혹벌 피해 및 방제 (1) 발생경위 ⁚1958년경 충북 제천에서 최초발견, 1960년대 전국 재래종 밤나무에 만연되어 일본으로부터 내충성이 강한 은기, 유마 등을 도입보급. ⁚1978년 경남북, 전남 등 일부지역의 내충성인 도입품종(은기, 유마 등)에서도 혹벌피해가 발생하였으나 경미하게 진행되어 왔음. ⁚1997년 전남 광양지역에서 발생하여 하동→진주→산청→합천→함양지역으로 계속 확산되고 있음. ※ 밤나무혹벌 발생원인 : 중국, 일본 등에서 주기설(시병)로 보고 있으나 아직 명확히 규명되지 않음. ※ 그 동안 밤나무혹벌이 잠복하고 있다가 기상이변 등으로 해충번식 여건이 좋아짐에 따라 급격한 확산으로 추정됨. (2) 피해현황 (단위 : %)
※ 피해율 산정기준 : 결과모지의 총눈수에 대한 혹벌 발생눈수 (피해율 = 혹벌발생눈수 ÷ 총눈수 × 100) (3) 밤나무혹벌 생태 ⁚밤나무혹벌 생활사 - 년 1회 발생하며 눈의 조직 내에서 유충으로 월동하며 월동유충은 동아(冬芽)내에 충방을 형성하나 맹아기 이전에는 육안으로 피해를 식별할 수 없음 - 동아속의 유충은 3월 하순부터 5월 상순에 급속히 자라며 충영은 4월 하순∼5월 상순에 팽대 하여져 가지의 생장이 정지되며 노숙한 유충은 6월 하순∼7월 상순에 충영태 충방에서 번데기로 되며 7∼9일간의 번데기 기간을 거쳐 1개월 동안 우화함 ⁚밤나무혹벌 가해습성 밤나무 눈에 기생하며 직경 10 ∼ 15mm의 충영이 형성되므로 기생부위에 작은 잎이 총생하여 신초가 자라지 못하고 개화, 결실이 되지 않으며 충영은 성충 탈출 후인 7월 하순부터 말라죽으며 피해목은 고사하는 경우가 많음
(4) 피해상태 ⁚시비, 전정 등 관리상태가 양호한 건전목 보다 관리가 불량한 쇠약목의 수관내부와 하부의 소약지에 피해가 더 심함 ⁚유령목(10년이하)이나 장령목(20년 이하)보다 노령목(20년 이상)의 피해가 더 심함 ⁚유마나 은기 등 혹벌 내충성 품종에 비하여 재배농민이 선호하여 많이 재배하고 있고 축파에 피해가 더 심함 ⁚혹벌 피해목은 혹벌이 결과모지의 밤송이가 맺을 눈에 산란하므로 결과지의 생육불량에 의한 수확량 감소 및 품질이 저하됨 (5) 방제대책 (가) 방제법 ⁚밤나무혹벌 방제는 간벌, 시비, 전정 등 건전한 나무로 가꾸기 위한 비배관리 철저, 내충성 품종(유마, 은기, 대보, 박미1,2호)으로 갱신하는 방법, 성충 우화 시기 이전에 충영을 제거하는 방법, 천적인 남색긴꼬리좀벌, 노란꼬리좀벌 등 천적을 보호증식하는 방법 등이 있으며 ⁚성충우화시기에 약제방제 방법이 있으나 성충의 수명이 약 4일정도로 짧고 우화기간은 6월하순∼7월하순까지 1개월 정도로 사실상 약제방제는 어려운 실정임 (나) 단기대책 ⁚시비(화학비료 지향, 퇴비시용), 전지, 전정 등 철저한 비배관리로 건전목 육성 ⁚내충성 품종인 유마, 은기 등 권장 식재(노령목 갱신 및 신규 식재시) ⁚각종 병해충의 전염원이 되고 있는 방치 밤나무림에 대한 이병목 제거 차원에서 정책적 배려 요망 (다) 장기대책 ⁚밤나무혹벌에 보다 강한 내충성 품종 육종 확대 보급 ⁚밤나무혹벌 천적(남색긴꼬리좀벌 등) 인공사육 방제기술개발 ⁚밤나무혹벌(♂)의 성 유인물질에 의한 방제기술개발 등 나. 밤나무종실 해충 피해 및 방제 밤성숙기에 과실을 가해하여 밤의 상품가치를 저하시키는 복숭아명나방과 수확한 밤 속에서 과육을 가해하는 밤바구미의 방제방법은 다음과 같다. (1) 복숭아명나방(Dichocrocis puictiferalis) ⁚분포 : 한국, 중국, 일본 등 ⁚가해수종 : 밤나무, 복숭아나무, 배나무, 사과나무 등 ⁚피해 - 2화기에 구과 피해율이 비교적 높고 - 어린유충은 밤송이 가시를 잘라먹으며 표면에서 생활하고 성장하면 밤송이 속으로 파먹어 들어가 암갈색의 똥을 밖으로 배설하여 밤송이 표면에 거미줄 같은 것으로 붙여 놓음 - 밤을 수확하였을 때 벌레 먹은 밤은 대부분이 복숭아명나방 피해임 - 가해초기에 나타나는 증상은 유충이 잘라 놓은 가시가 말라 밤송이 색이 약간 누렇게 보임 ⁚생활사 - 1년에 2∼3회 발생 - 1화기 ·수피틈, 빈 밤송이에서 월동, 5월 중순에 번데기 ·5월 하순∼7월 상순(최성기 : 6월 중순)에 1화기 성충이 우화 ·우화초기는 복숭아 등에 산란하나 말기에는 조생, 중생종에 산란 - 2화기 ·7월 하순∼8월 하순(최성기 : 8월상∼중순)에 우화 ·2화기는 산란수가 가장 많고 주로 조생종에 산란 ·밤송이 가시 사이에 산란하며 난기간은 4∼5일 - 3화기 ·성충은 8월 하순∼10월 상순(최성기 : 9월 상순)에 우화 ·중생, 만생종과 수확기의 조생종에 산란하며 난기간은 1주일내외 ·유충기간은 약 1개월 ■ 생활경과표
⁚ 방제방법 - 복숭아명나방은 발생년도, 지역에 따라 발생시기가 불규칙하므로 밤나무 집단 재배지별로 유아등과 같은 기구를 이용한 2∼3년 간의 발생시기조사를 통하여 방제적기 파악이 중요함 - 성충우화시기 : 8월 초순부터 8월 하순 사이(최성기 8월중순경) - 복숭아명나방 방제는 2세대를 대상으로 방제하는 것이 효과적임 - 유충이 밤송이 속으로 파먹고 들어간 후에는 방제효과가 반감되므로 어린 유충기에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임 - 약제살포는 할로스린유제, 파프유제, 파프분제를 발생최성기 7∼10일 전후로 2회 살포
(2) 밤바구미(Culculio ikkimensis) ⁚ 분포 : 한국, 일본, 시베리아 ⁚ 가해수종 : 밤, 참나무류 종자 ⁚ 피해 - 특히 만생종에 피해가 심함 - 유충이 과육을 불규칙하게 식해하고 똥을 밖으로 배출하지 않아 외관상으로는 피해 여부를 알 수 없음 - 유통과정에서 유충이 구멍을 뚫고 탈출할 때 피해 확인 가능 ⁚ 생활사 - 주로 년1회 발생하나 1세대가 2∼3년인 개체도 있음 - 지하 3∼9㎝에서 월동한 유충이 7월 하순∼10월 상순에 용화하고 2주후에 우화하여 땅속에 잠복 - 성충의 출현시기는 8월 하순∼10월 하순(최성기 9월 중하순)임 - 성충수명은 약 30일이며, 8월 하순부터 10월 사이(최성기 10월 상순)에 산란 - 암컷 1마리당 산란수는 약 150개이며 밤이 성숙되는 순으로 종피와 과육사이에 산란하는 특성이 있음 - 약 1개월간 과육을 식해한 유충은 구멍을 뚫고 나와 땅속에서 월동 ■ 생활경과표
⁚ 방제방법 밤바구미 방제는 산란예방을 위해 약제를 살포하는 방법과 산란된 후에 훈증하는 방법이 있음 ■ 산란예방법 - 밤바구미 산란기에 할로스린유제, 피레스유제, 델타린유제, 파프분제, 파프유제 등을 9월중에 10일 간격으로 2∼3회 살포 - 산란기는 주로 수확 3주전이므로 이 시기부터 살포하는 것이 효과적임 ■ 간이훈증법 - 밤 수확 직후, 대부분 어린 유충인 가해초기의 훈증이 효과적임 - 훈증방법 ·약 제 명 : 인화늄정제(에피늄) ·약 량 : 3g정제를 1㎥당 1∼2개 ·훈증사간 : 24시간 ·훈증시기 : 알밤수집 당일 - 훈증요령 ·수확당일 훈증하며 수확한 밤의 양이 적더라도 즉시 처리 ·알밤의 훈증은 <그림1>과 같은 간이훈증상을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 작업상 간편하고 경제적이며 <그림2>와 같이 밤송이 훈증도 가능 |
|||||||||||||||||||||||||||||||||||||||||||||||||||||||||||||||||||||||||||||||||||||||||||||||||||||||||||||||||||||||||||||||||||||||||||||||||||||||||||||||||||||||||||||||||||||||||||||||||||||||||||||||||||||||||||||||||||||||||||||||||||||||||||||||||||||||||||||||||||||||||||||||||||||
|
|||||||||||||||||||||||||||||||||||||||||||||||||||||||||||||||||||||||||||||||||||||||||||||||||||||||||||||||||||||||||||||||||||||||||||||||||||||||||||||||||||||||||||||||||||||||||||||||||||||||||||||||||||||||||||||||||||||||||||||||||||||||||||||||||||||||||||||||||||||||||||||||||||||
그림 1. 훈증막 모형도(1㎥크기) |
|||||||||||||||||||||||||||||||||||||||||||||||||||||||||||||||||||||||||||||||||||||||||||||||||||||||||||||||||||||||||||||||||||||||||||||||||||||||||||||||||||||||||||||||||||||||||||||||||||||||||||||||||||||||||||||||||||||||||||||||||||||||||||||||||||||||||||||||||||||||||||||||||||||
|
|||||||||||||||||||||||||||||||||||||||||||||||||||||||||||||||||||||||||||||||||||||||||||||||||||||||||||||||||||||||||||||||||||||||||||||||||||||||||||||||||||||||||||||||||||||||||||||||||||||||||||||||||||||||||||||||||||||||||||||||||||||||||||||||||||||||||||||||||||||||||||||||||||||
그림 2. 밤송이 상태로 처리하는 방법(모식도) |
|||||||||||||||||||||||||||||||||||||||||||||||||||||||||||||||||||||||||||||||||||||||||||||||||||||||||||||||||||||||||||||||||||||||||||||||||||||||||||||||||||||||||||||||||||||||||||||||||||||||||||||||||||||||||||||||||||||||||||||||||||||||||||||||||||||||||||||||||||||||||||||||||||||
다. 밤나무의 주요 병해
(1) 밤나무줄기마름병(Cryphonectria parasitica) ⁚ 분 포 : 한국, 중국, 일본, 미국, 유럽 ⁚ 기주식물 : 밤나무, 참나무, 단풍나무 ⁚ 발생연혁 - 동양의 풍토병으로 1900년대 초 서양으로 침입 - 1940년 미국동부지역 밤나무림 황폐화 시킴 - 1980년이래 밤나무의 노령화로 인해 피해증가 추세임 ⁚ 피 해 - 지제부나 접목부위에서 주로 발병하여 밤나무를 고사 시킴 ⁚ 병원균 : Cryphonectria parasitica (Murrill) Barr - 자낭균류에 속하며 자좌내에 자낭각과 자낭포자를 형성 - 무성세대는 Endothiella로서 분생포자각 내에 분생포자 형성 - 자좌는 수피 밑에 형성되어 갈라진 틈으로 돌출 - 자낭은 타원 또는 곤봉모양으로 자낭 내에 8개의 자낭포자를 포함 - 자낭포자는 타원형이며 무색의 2세포로 중앙부위가 잘록함 ⁚ 병징 및 표징 - 줄기와 가지의 상처를 중심으로 병반이 형성 - 발생초기에는 황갈색이나 적갈색으로 변하며 수피가 부풀어 오름 - 감염된 줄기의 수피는 검은색으로 음푹 들어가며 균열이 생기고 수피가 갈라지며 벗겨보면 부채모양의 황색균사 형성되어 있음 - 늦가을에 감염된 가지는 낙엽 되지 않고 마른 잎을 달고 있음 ⁚ 감염경로 - 전염원 ·전염원은 줄기나 가지에 형성된 분생포자 및 자낭포자 ·분생포자는 1년 내내 분생포자각에서, 자낭포자는 3∼10월까지 자낭내에서 형성 - 전염방법 ·빗물에 의해 포자가 방출되며 비, 바람, 새, 곤충 등에 의해 전파 ·봄부터 가을에 걸쳐 10℃이상의 조건에서 감염이 일어나며 상처부위를 통해 침입 ·균 생육의 최적조건이 되는 8∼9월에 병 발생이 심함 - 발병부위 ·해충에 의한 피해나 겨울기간의 동해를 받은 줄기나 가지 ·가지치기한 부위 및 지제부나 접목부위 ⁚ 방제방법 - 밀식을 피하고 수세회복을 위한 적절한 비배 관리 - 상처를 받은 부위는 지오판 도포제를 발라줌 - 동해를 받기 쉬운 곳은 고접묘를 사용하고 질소질 비료의 과용을 피함 - 동해나 피소를 막기 위해 백색의 수성페인트를 발라줌 - 천공성 해충류의 피해가 없도록 살충제를 살포 - 저항성품종의 식재
(2) 밤종실 탄저병(Glomerella cingulata) ⁚ 피 해 과실이나 밤송이 발생하여 과실부패나 밤송이로 조기낙과 됨 ⁚ 병징 및 표징 - 밤송이의 가시가 갈변하면서 밤송이 껍질이 흑갈색으로 변함 - 병에 감염된 밤송이는 건전한 밤송이 보다 작음 - 감염 밤송이는 조기낙과 함 - 수확시 병징이 확인되지 않은 것은 저장 중에 발병 부패함 ⁚ 감염경로 - 병원균은 눈이나 가지 조직 내에서 균사상태로 월동 - 포자는 빗물에 의하여 전파되고 강우량이 많은 해에 심함 ⁚ 방제방법 - 적당한 시비, 전정 등으로 수세를 강화시킴 - 고사된 가지를 제거함 - 밤나무혹벌 발생지에 피해가 심하므로 혹벌에 강함 - 병 발생시는 6월∼8월에 지오판수화제, 벤레이트수화제, 만코지수화제 등 살포함
(3) 밤나무역병 (Phytophthora cambifora) ⁚ 분 포 : 한국, 일본, 북미, 유럽 ⁚ 기주식물 : 밤나무, 가래나무, 호도나무, 단풍나무 등 ⁚ 피 해 - 수관이 서로 맞닿게 된 장소에 주로 발생함. 일단 발생하면 병의 진전속도가 빨라 1∼2년 사이에 대부분이 고사함 ⁚ 병징·표징 - 보통 장마 후에 급격히 피해가 눈에 띄고 이러한 경우에는 봄부터 나타남 - 주로 지제부의 가까운 줄기에 발생하며, 수피의 균열부위나 피목에 검은색의 즙액이 흘러나와 지저분하게 보이며 알콜 냄새가 남 - 이 부분의 수피를 잘라보면 형성층은 갈색으로 변하고 조직은 물렁물렁함 - 변색부는 점차 농갈색에서 가을까지 계속 나오며 병반이 확대되어 줄기를 한바퀴 돌면 병든 나무는 죽어버림 - 병든 부분은 오래되면 말라서 움푹 들어가고 수피도 갈색으로 변함 ⁚ 진단요점 - 생육이 왕성하다가 급격히 위조 고사 될 경우에는 본 병이 의심됨 - 줄기에서 검은 즙액이 점점이 분비되고 알콜 냄새가 남 ⁚ 방 제 법 - 밀식, 도장, 상처 등은 본 병의 원인을 유발함 - 발생지역에서는 토양 소독을 실시함 - 발생우려지역은 지제부 1∼1.5m까지의 수간에 벤레이트, 톱신 등을 5월 상순부터 수회 살포함
15. 수확 및 저장 가. 수 확
※ 비올 때나 젖은 밤을 수확할 때는 저장하지 않도록 함
나. 저 장
12월초 배수 양호한 음지를 선정 1.5∼2.0m 깊이로 파고 마른 모래와 밤을 층층이 섞어 넣고 (1:1) 공기통을 설치한 다음 50∼70㎝ 두께로 흙을 덮음
실내온도를 1∼2℃로 유지하고 수분 25%의 왕겨 또는 톱밥과 밤을 1:1 비율로 혼합하여 사과 상자에 담아 저장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