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바디나물
한약명 뿌리-일전호
학 명 Angelica decursiva
분 류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미나리과
분 포 한국, 일본, 중국 등지
생육상 여러해살이풀
[서식] 산과 들의 습지 근처에서 자란다.
[뿌리줄기] 뿌리줄기는 짧고 뿌리가 굵다.
[높이] 높이가 80∼150cm이다.
[줄기] 줄기는 곧게 서고 모가 진 세로줄이 있으며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 ① 잎은 어긋나고 깃꼴로 갈라지며 작은잎은 3∼5개이다.
② 작은잎은 3∼5개로 깊게 또는 완전히 갈라지고 밑 부분이 밑으로 흘러 날개 모양이 되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③ 뿌리에서 나온 잎과 줄기 밑 부분에 달린 잎은 잎자루가 길다.
④ 줄기 윗부분에 달린 잎은 잎자루 밑 부분이 잎집이 되어 줄기를 감싼다.
[꽃] ① 꽃은 8∼9월에 짙은 자주색으로 피고 커다란 복산형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② 우산 모양을 이룬 작은 꽃대는 10∼20개이고 각각 20∼30개의 꽃이 달린다.
③ 총포는 1∼2개이고 넓으며 작은총포는 5∼7개이고 줄 모양의 바소꼴이다.
[열매] 열매는 분과(分果:분열과에서 갈라진 각 열매)이고 편평한 타원 모양이다.
[이용] ①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② 한방에서 뿌리를 전호라는 약재로 쓰는데, 해열.진해.거담 작용을 하여 감기.기침.천식 등에 효과가 있다.
③ 절화 또는 공원이나 정원에 심어 관상한다.
바디나물.... 어떤이는 이것을 연삼이라도 하는데 절대로 연삼이 아니다.
바디나물의 다른 이름은 전호(前胡: 뇌공포구론)라고 한다.
바디나물에 대해서 북한에서 펴낸[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뿌리와 열매에는 쓴맛물질, 스테롤, 탄닌질, 잎고 줄기에는 약간의 사포닌과 플라보노이드가 확인되었다.
바디나물 달임약(6~12g:200cc): 하루 3번 나누어 먹는다.]
바디나물에 대해서 한의학 박사 안덕균씨가 쓴 [한국본초도감]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① 폐에 담이 쌓여서 발병한 천식, 가슴이 답답하고 가래가 잘 나오지 않는 증상에 유효하다.
성분: nodakenin, spongesterol, 정유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리: ① 마취한 고양이에게서 기관지 점액 분비 촉진 작용이 나타났다. ② 관상 동맥의 혈류량을 증가시키며,
바디나물의 채취는 가을부터 겨울에 채취한다. 잎과 줄기가 시들면 주근을 파내어 줄기, 잎, 수염뿌리 및 흙을 제거하여 햇볕이나 온돌에 말린다.
바디나물의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서늘하고 독이 없다. 폐, 비, 방광, 간경에 작용한다.
하루 6~12g을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또는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복용한다.
'산나물 - 양지 > 산나물(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야생 나물 채취시기와 조리법 (0) | 2016.05.25 |
---|---|
나물 종류와 채취 시기 / 사진 (0) | 2016.05.25 |
연삼(바디나물) (0) | 2016.05.25 |
산나물 들나물 나무순 나물 모음(식용방법. 요리법) (사진, 짧은 설명) (0) | 2016.05.23 |
식용가능한 산나물,들나물,나무새순,채소(이름 만) (0) | 2016.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