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명칭
머위의 학명중 속명 Petasites는 그리이스어 Petasos 즉 녹색의 넓은 모자라는 뜻에서 유래하고 잎의 모양에 연유한다. 일어는フキ이고 중국어로는 봉두채(蜂斗菜), 관동(款冬)이다. 머위는 잎자루를 채소로 이용하고 초봄에 돋아나는 어린 꽃(花序)도 산채로써 식용한다.
2. 원산지 및 내력
원산지와 내력은 분명하지 않으나 한국, 중국, 사할린, 일본에서는 전역에 분포한다. 일본의 고서인 본초화명(本草和名, 918)에 관동(款冬)의 기록이 있고 연희식(延喜式, 927)에는 경종에 대한 기록이 있다.
Petasites속은 다년초로서 북반구에 약 20종이 분포하고 있다. 머위는 야생상태의 것을 채취해서 이용하거나 야생종을 선발하여 재배화한 것으로 지하경에 의해서 영양번식되고 있으며 불임성일 뿐 아니라 돌연변이가 없는 한 품종분화가 불가능한 상태이다.
3. 형태적 특징
머위는 머우라고도 하며 습지에서 자라는 오래살이 풀로서 땅속 줄기가 사방으로 뻗으면서 신장하여 이른봄에 5∼45cm의 꽃대가 나오고 꽃싸게 잎이 어긋나게 붙어 있어서 줄기밑 뿌리에서 나오는 잎은 둥근꼴에 가까운 신장꼴로 긴잎자루에 붙어있으며 짧은 뿌리를 가졌다.
잎은 꽃이 피고난 뒤 뿌리줄기로부터 직접 자라며 땅위에는 줄기가 없다. 이른봄에 뿌리 줄기로 부터 꽃 줄기를 낸다. 꽃줄기는 크고 비늘잎처럼 생긴 포엽을 많이 가지고 있는데 암꽃의 경우에는 꽃이 피고난 뒤 꽃줄기가 신장하여 30cm 정도 자라게 된다. 수꽃은 노랑을 띤 흰꽃이고 암꽃은 희게 피며, 꽃은 산방화서로 7∼10mm의 크기로 조밀하게 붙어서 있으며 열매는 삭과로 원통형이고 종자의 끝에 12mm 정도되는 흰색의 털이 있다. 가늘고 긴 지하경이 3-4본 발생하고 7-8절로 마디가 신장한다. 각 마디에서 긴 잎자루와 크고 둥근 모양의 잎몸을 갖는 소위 머위잎이 4-5개 생긴다. 머위는 3배체의 자웅이주식물이다. 자주(雌株)에는 다수의 암꽃에 섞여 소수의 불임인 양성화가 있다. 웅주(雄株)에서는 모두 불임의 양성화이나 소수의 암꽃이 섞일 때도 있다. 지하경의 각 마디로부터는 머위의 잎이 생기기 전에 큰 인편의 포(苞)에 쌓여진 화서(花序)가 발육한다. 잘 가꾸면 초장이 1m이상으로 발육되고 잎자루는 담녹색으로 굵으며 기부에는 담적자색을 띄운다. 염색체수는 2n = 58, 3n = 87이다.
4. 생리생태적 특징
머위는 더위와 건조에 약하고 옛부터 봄에 수확되는 채소로 귀중한 계절채소이다. 10 - 23℃범위에서 생육되고 토질은 양토 또는 사양토에 적합하다. 산성토양에서도 강한 편이며 경사지의 침식방지작물로도 적합하다.
이용부위는 어린잎과 어린꽃 줄기를 이용하는데 향기롭고 독특한 맛(쓴맛)이나는 산나물로서 특히 잎에는 비타민A를 비롯 비타민B1. B2와 칼슘성분이 많은 알칼리성 식품으로 어린잎은 이른 봄 채소로 생채나물로 식욕을 돋아주며 잎을 딴 긴 잎자루는 삶아서 물에 담그어 아릿한 맛을 물에 담그어서 우려낸 후에 껍질을 벗겨 버리고 조리를 한다. 머위의 긴자루를 삶을때 공기에 접하면 갈색으로 변하므로 끊는 물에 빨리 넣고 삶는다. 삶아진 머위는 찬물에 행구면 녹색의 먹음직한 고운나물이 된다.
머위의 꽃봉오리는 건위, 진해, 해열, 고혈압에 효과가 있으며, 식욕을 증진하는 약이 되기도 하며 차로 만들어 이용하기도 하고 술에 담그어 약술을 만들기도 한다. 또한 어린 꽃봉오리를 베어서 음건하여 튀김을 만들어 어린이들의 간식용으로 하면 더욱 좋다. 특히 약리효과로는 기침, 담, 기관지천식, 건위, 해열, 종기와 뱀·벌레 물린 상처 치료, 화상, 중독(복어탕), 주독에 좋은 효과가 있어서 요즈음 건강식품으로서 염장 가공하여 일본에 수출도 적은 양이나마 이루어지고 있다.
5. 재배환경
머위는 강건한 지하경이 지표 가까이에 수평으로 분포되어 있으므로 항상 물을 함유하고 있으면서 물빠짐이 좋은 걸찬 땅을 좋아하고 엽육이 커서 고온·건조에는 한해를 받기 쉽다. 그러나 곧은 뿌리는 심근성이어서 과습이 되면 곧은 뿌리가 상해서 부패한다. 따라서 반쯤 볕이 드는 물 지닐 힘이 있는 모래땅 또는 양토의 토층이 깊은 곳이 적합하다. 또한 추위에 강하고 일반적으로 산성 땅에 잘자란다.
6. 재배기술
6-1)품종
머위는 각지에서 자생하며 품질이 우수하지만 수량이 적고 조생머위는 추운 지방에서도 자생하는데 싹이 빨리 나오고 수량도 많아서 조숙억제용으도 널리 사용된다. 추전홍머위는 한냉지와 조생종으로 쓰이며, 신전머위는 한냉지에서 널리 자생해서 튼튼하고 줄기도 커서 1.3m에 달하며 수확량도 많지만 질이 떨어진다. 팔두는 조생종으로 꽃대 발생이 극히 빠르고 꽃 봉오리가 커서 꽃대를 목적으로 재배 하기도 한다.
6-2)번식법 및 지하경 저온처리
종자나 포기나누기로 되지만 주로 포기나누기로 하여야 당년에 수확을 할 수 있어서 포기나누기로 번식하는 것이 유리하다.
지하경 저온처리는 묘판에서 양성된 지하경은 이듬해 7월 하순경부터 캐기 시작하여 묵은 것은 제외하고 새로운 지하경을 물에 씻은 다음 상자에 넣어 냉장고(2∼4℃)에 넣거나 저온 저장고에 넣어 60일 정도 보관하되 습기가 마르지 않도록 관리한다.
머위는 하우스재배시 정식한 종근으로부터 연내에 추아(秋牙)로서 발달한 매우 짧은 지하경이 뻗어나서 다음으로 2차적으로 발생하는 춘아 1번의 지하경, 계속해서 춘아 2번 지하경이 뻗어나서 각각의 정아로부터 발생하는 잎자루에서 수확한다. 춘아 3번 지하경은 잎이 나오지 않기 때문에 양분의 전류가 없어 지하경이 100g이상이 커다란 지하경을 사용한 경우의 잎자루 뻗음이 좋다. 잎자루가 잘 뻗으면 첫수확이 빨라질 수 있다.
종근으로써 쓰이는 다른부위의 지하경에 대해서는 전년도 종근이 생존해 있는 것을 재 이용하면 새싹의 발생이 적은데다 잎자루의 뻗음도 나쁘다. 추아를 사용한 경우도 기근과 마찬가지로 새싹의 발생은 생각할 수 없다. 춘아 2번 지하경은 일반적으로 춘아 1번 지하경과 혼용하고 있는데, 출하수 등에서는 춘아 1번 지하경과 커다란 차가 보이지 않는 점에서 이용할수 있다.
춘아 3번 지하경은 새싹의 발생이 극단적으로 나쁘므로 종근으로서 이용하지 않는다. 기근과 추아의 지하경, 추아와 춘아 1번 지하경이 연속한 아령형의 종근을 사용할 때 새싹의 발행은 기부에 해당하는 쪽의 종근에서는 거의 볼수 없고, 끝에 있는 종근에서만 새싹의 발생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싹 1개당 잎수는 다른 부위의 것보다 많고, 잎자루의 뻗음도 양호하다. 이것은 2종류의 종근이 접속하고 있을뿐, 무게도 있고 종근이 갖고 있는 양분이 다른 부위의 것보다 많으므로 잎자루의 뻗음에 유리하게 작용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종근으로 사용한 지하경의 부위나 크기는 수량에 많은 영향을 준다. 종근은 크기에 비례해서 춘아 3번 지하경처럼 빈약한 것을 사용하면 첫 수확량이 아주적다. 총 수확량이 첫 수확량에 의하여 변하는 경향이 강하게 나타나는데 머위의 품질결정의 한 요인인 잎자루의 길이가 종근으로 사용한 지하경의 부위에 따른 변화는 종근의 크기, 충실도가 잎자루의 길이에 미치는 영향은 크고, 대형종근을 사용하면 긴잎자루의 수확율이 높아지나 종근으로서 좋지않은 춘아 3번 지하경에서는 총 수확량도 적지만 긴 잎자루를 가진 수확물의 비율도 감소한다.
일반적으로 머위의 화아분화는 어느정도 크게 자란 식물체가 여름동안에 생장점에 화아분화를 분화시키고 그것이 월동하고 봄에 추대 개화에 이르게 되며, 이때에 분화후 추대개화에 단일저온이 필요하다.
6월하순에 종근을 캐서 저온처리하고, 9월상순 정식, 10월하순 피복하는 하우스재배 체계에서 해에 따라서는 다수의 추대가 생기나 종근에 생장점제거는 추대가 거의없어 저온처리는 수확량에 유효하게 작용한다. 일반적으로 종근의 전년도의 재배 하우스에서 3∼4회 수확한 것으로부터 채취하고 있다. 그러나 재배 하우스에서 채취하면 최종 수확기의 지연이나 병해의 전염에 의해 지하경 생육이 불충분하게 된다. 따라서 싹트는 눈의 숫자가 적고 잎자루가 가늘어지고 품질이 떨어지게 된다. 그래서 종근양성을 위한 전용포장으로부터 얻은 종근을 확보하는 것이 맹아수가 많고 잎자루의 신장이 양호하며 병해충의 발생도 적어 품질의 향상과 증수효과도 볼수 있다.
다음으로 종근으로 쓰이는 지하경은 기근과 이것으로부터 가을에 발생하는 가을눈과 봄에 발생하는 봄눈으로 나눌수 있지만, 기근과 가을눈은 맹아수가 많고 잎자루의 신장도 양호하고 수확량이 많다. 그러나 봄눈은 지하경의 절간이 길고 연약하여 수확량이 적다. 그러므로 심는 종근은 전용 포장에서 채취하고 기근과 가을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기출하를 하기 위하여 심는 시기를 빨리하는데 저온처리는 70일 정도로 끝내거나 입고시기를 빠르게 할 필요가 있다. 종근 저온처리는 0∼2℃에서 70일간 보관하여 휴면타파처리를 한다.
이때가 6월중순부터 8월까지이고, 9월상순경에 정식하며 비닐하우스를 설치하여 보온하면11∼12월경부터 수확할 수 있다.
6-3)이식시기
이식시기는 3∼4월 또는 8∼9월경에 이식을 하며 포기나누기를 할 때는 땅속 줄기로 10a당 200∼250kg정도 소요되므로 모포는 20∼30평이면 족하다. 가을의 묘는 뿌리내림은 좋지만 다음해의 수확량을 많지 않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봄에 심는다. 다습한 땅이라도 5월 상순까지는 심어서 관수를 하고 짚을 덮어서 고온에 대비한다.
6-4)이식방법
보통 밭에 심을 경우는 보온과 햇빛관계로 되도록이면 동서로 길게 이랑을 만들고 이랑넓이는 보온재배에서 2m, 보통재배에서는 4∼5m로 하고 1m 폭의 통로를 만들고 둑높이를 15cm로 하고 포기사이 20∼25cm로 심되 눈을 2∼3개 붙여서 깊이 5∼10cm로 심는다. 심은후에는 풀이나 짚으로 덮어서 가뭄의 피해를 막는다.
6-5)거름주기
머위는 거름을 많이 요구하는 작물로 거름기가 모자라면 잎자루가 길게 자라지 못하고 섬유질이 많아 품질이 떨어진다. 밑거름 위주로 시비하고 웃거름은 수시로 주는 것이 좋다. 밑거름은 밭갈기 전에 전량을 흩어 뿌린 후 깊이갈이를 하고 로타리로 이랑을 짓는다. 웃거름은 3월 하순 싹 틀때와 7월 하순 장마후에 시용 하되 생육생태에 따라 수시로 조절 시용한다.
<표> 거름주는 양(Kg/10a)
비료명 | 총량 | 밑거름 | 웃거름 | 성분량 | |
1회 | 2회 | ||||
퇴 비 | 5,000 | 5,000 |
|
| 질소:30 |
6-6)본밭관리
가뭄피해예방 |
잎이 커서 증발량이 많아 가뭄 피해를 받기 쉬우므로 관수를 해야한다. |
제초작업 |
초기 잡초방제작업이 필요하나 후기에는 머위의 자람이 왕성하므로 크게 문제 되지 않는다. |
비닐 하우스 피복 |
하우스 골재 시설 시기는 늦어도 10월 중하순에 끝내고 하우스 외피복은 11월 상·중순으로 하고 하우스 내 피복(터널, 커튼, 부직포) 등은 12월 상순까지 하며 온도 관리는 저온에 강하고 고온에 약한 성질을 살리기 위하여 환기를 하여 비닐 피복 후는 낮 15∼20℃, 밤 5∼8℃ 정도로 관리한다. |
포기의 갱신 |
보통 재배에서 머위 밭을 여러 해 동안 재배하면 점차 포기가 노쇄하고 6∼7년 정도에서 갱신할 필요가 있다. 밭 전체를 한꺼번에 하는 경우와 부분적으로 매년 갱신하기도 하는데 지하경을 골라 다시 심고 묵은 것은 제외하면 된다. |
7)수확
하우스 내 터널과 저녁에는 부직포를 덮어주는 정도에서 엄동에도 머위는 탐스럽게 자라는데 하우스 턴넬 내 얼음이 얼지 않아야 되며 3℃ 이상은 유지해야 한다.
노지의 경우 어린 잎으로 수확을 하고, 비배 관리를 하여 성숙된 잎자루의 수확은 500∼600g 단위로 하부와 상부를 2번 묶어서 비닐자루에 담아 손상되지 않도록 두꺼운 종이상자에 3∼4kg로 다시 포장하여 출하한다. 10a당 생산량은 노지의 경우 3,500kg∼4,000kg으로 소득은 타작목의 추정을 불허하고 있다. 수확은 겨울 동안 값이 높기 때문에 12월부터 수확하기 시작하여 한달에 1번씩 수확할 수 있고 1회에 300평당 500∼600㎏을 수확할 수 있다. 머위 포장은 비닐 튜브에 1㎏씩 넣어 10㎏ 포장박스에 넣어 출하한다.
출처 :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
마을 이곳저곳에 있는 머위종근을 채취하여 밭에 심어봤다. 비교적 넓지 않은 면적을 심는데도 이틀이나 걸렸다.
머위는 다른 작물에 비해 유기농재배가 손쉽다는 점과, 초보자도 쉽게 재배할수 있기에 관심을 갖고 도전해 봤다. 잘 자라면, 하우스에 옮겨 심을 계획이다. 머위야! 건강하게 무럭무럭 자라주렴~
'채소 > 머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머위 재배법 (0) | 2016.11.30 |
---|---|
머위의 모든 것, 머위의 재배 및 효능 (0) | 2016.11.30 |
머위 재배 (0) | 2016.1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