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1. 다양한 이용방법 | | 가. 생즙 이용법 | | ㆍ 쑥잎을 5 - 10장 정도를 물에 씻어 믹서기에 간다. (잘 갈아지지 않을 때는 물을 첨가) ㆍ 생즙은 1일에 2번정도 (1회 20ml) 마시되 맛이 쓰거나 풋내가 나서 먹기 어려운 사람은 생강즙이나 사과즙 또는 벌꿀을 넣어도 좋다. ㆍ 생즙의 섭취는 대량으로 장기간 섭취는 중독현상은 일어나지 않지만 가급적 피하는 것이 좋고 잎을 열탕에 살짝 데쳐서 복용하는 것이 더 좋다. | | | | 나. 쑥차 이용법 | | | | 방법1 - 건쑥 이용시
ㆍ 말린 쑥을 10g (어른손으로 1주먹)정도를 내열유리나 보통 알루미늄 주전자에 물 600 -800ml 정도를 붓고 얇게 썬 생강을 2 - 3조각 첨가(철로된 제품은 쑥의 성분인 탄닌과 반응하여 악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피 한다. ) ㆍ 끓일 때는 20분 정도 가열하되 물이 끓기 시작하면 물이 넘치지 않도록 약한 불로 달인다. (물이 반정도로 줄어질 정도로 끓임) ㆍ 하루에 먹는 양은 300ml 정도로 3회로 (100ml 씩) 나누어 마신다. | | | | 방법 2 - 생쑥 이용시
ㆍ 자생쑥잎을 딴 후 소금을 조금 넣고 온수로 살짝 데친 후 그늘에 말린다. ㆍ 말린 쑥 20g을 물 300ml 에 넣고 그 물이 200ml 정도 될 때까지 약한 불로 달여서 이용하면 된다. ※ 쑥차를 단순한 맛을 즐기기 위해서는 쑥잎을 적게 넣고 건강, 치료용으로는 다소 진하게 하여 이용하되 ‘사 자발쑥은 쑥물이 진하게 우러나오므로 일반쑥의 절반정도로 한다. (예, 물 1리터 + 쑥잎 3g) | | | | 다. 쑥주(술) 이용법 | | | | 방법 1 - 잎을 이용할 때
ㆍ 1.8리터의 병 (주둥이가 커야함)을 준비하고, 가제자루에 믹서기로 갈은 말린 쑥을 채워 가제자루째병에 쑥을 넣어 25 ° 의 술을 부어 2개월정도 놓아두면 쑥주가 된다. ㆍ 이때의 쑥의 량은 병의 1/3 - 1/4정도가 적당하다. ㆍ 쑥주는 매일 저녁 20ml 정도 마신다 | | | | 방법 2 - 뿌리를 이용할 때
ㆍ 쑥이 꽃이 피기 전에 약쑥을 뽑아 잎과 줄기는 식용이나 쑥탕 등에 쓰고 뿌리를 잘 씻어 그늘에 2 - 3일 정 도 말렸다가 뿌리 300g에 술 1되(1.8리터)에 담그되 이때 술은 청주가 좋고 술병은 쑥뿌리가 시간이 지나면 위로 올라오므로 병의 주둥이가 좁으면 집어내기가 곤란하므로 넓은 병을 사용한다. ㆍ 술의 보관은 냉암소에 하고 6개월정도 지나면 술의 빛깔이 보이고 쑥의 향기를 느낄 수 있는데 이때가 되면 뿌리를 건져내고 하루에 세끼의 식사때마다 마시면 된다. | | | | 라. 베개나 방석 및 이불에 이용 | | ㆍ 말린 쑥잎을 베개나 방석에 채워 사용하되 사용시 납작해지면 그때마다 쑥을 채워 넣으면 된다. (넣은 쑥은 1년에 한번씩 교환하면 된다.) | | | | 마. 목욕용으로 이용 | | ㆍ 건조쑥 30 - 50g을 가제수건에 싸서 온수에 담갔다가 넣으면 좋다. ㆍ 쑥은 소금이나 중조를 소량 넣은 온수에 데쳐 탄닌을 제거한 후 그늘에 말린 것을 사용하면 좋다. ㆍ 쑥을 자루에 넣어서 사용할 경우는 생쑥은 500g - 1kg 정도로 건조쑥은 100 - 200g 정도로 하여 물 온도를 40℃ 정도에 30분쯤 미리 담근 후 욕탕에 들어간다. (목욕이 끝난 후 말려 다시한번 사용하여도 상관없다.)
※ 쑥을 목욕통에 넣으면 물 색깔이 녹색으로 변하지만 목욕통에 스며들지 않고 금방 지워진다. ※ 목욕을 한 후에 쑥의 찌거기는 정원수의 거름으로 사용하여도 화학비료 보다 효과가 좋다. | | | | 바. 약용제품 | | ㆍ 뜸쑥 (다양한 종류가 있음), 쑥환, 쑥농축액(엑기스), 쑥드링크, 쑥분말 ※ 뜸쑥 : 말린 쑥잎을 가루로 만들어 체로 쳐서 푸른 찌꺼기는 버리고 부드럽게 된 섬유만을 이용 | | | | 사. 가공품에 이용 | | ○ 식 품 : 떡종류 (쑥단자, 인절미, 쑥경단), 쑥죽, 쑥튀김, 쑥미숫가루, 쑥국수, 쑥된장장아찌, 쑥고추장장아 찌, 쑥과자, 쑥음료, 쑥우동, 쑥나물, 쑥라면, 쑥커피, 쑥빵, 쑥엿 ○ 기 타 : 쑥비누, 쑥달걀, 쑥화장품, 쑥향치료제품 등 | | | |
 <쑥뜸 이용방법 > |
| | | |  <서울 경동 약령시> |  <강화 사자발약쑥 홍보> |
|
| | | | 2. 강화약쑥의 성분 | | | | 유파틸린(항암성분), 야세오시딘(항위궤양성분), 아밀라제, 콜린, 아르테모즈, 유칼립톨, 정유성분(시네올,트리사이클린,테르핀네,보르네올,피넨 등 65종), 각종영양소(비타민A,B,C,D, 단백질,칼슘,마그네슘,철분,칼륨,인 등)
| | |
가공상품 | | | | 품목별 | 생산자(판매자)
| 비 고 | 단체명 | 주 소 | 대 표 | 전화(휴대폰) | 추출액 (Extract) ㆍ 쑥 환 (Pill) | 산림조합 | 강화읍 용정리 | 남궁호 | 934-0789 (017-203-9473) | kanghwa.sanrimjohap. co.kr | 산애들애 | 선원면 냉정리
| 유대식 | 932-9898 (016-9303-3325) | www.sajassuk.com | 인산식품 | 양도면 인산리 | 김종빈 | 937-5001 (016-305-7466) | sajabalyakssook.com | 건쑥 ㆍ 뜸쑥 | 내리작목반 | 화도면 내2리 | 서영임 | 937-5132 (016-321-5132) | 주문판매 | 마니산 〃 | 화도면 내1리 | 김유재 | 937-1145 (017-252-5448) | 우편판매 | 인산작목반 | 양도면 인산리 | 전보희 | 937-2092 (016-312-2092) | 농협, 우편판매 | 뜸봉ㆍ기구
| 보성사(햇님)
| 선원면 냉정리
| 김진섭 | 933-2936 (018-510-2936) | www.haitnim.co.kr | 비누ㆍ분말 | 산애들애 | 선원면 냉정리 | 유대식 | 932-9898 (016-9303-3325) | www.sajassuk.com | 쑥냉면 | 한강식품 | 불은면 두운리 | 박종화
| 937-7515 (016-209-2555)
| 쑥생즙 이용 | 화장지 | 산림조합 | 강화읍 용정리 | 남궁호 | 934-0789 (017-203-9473) | greenpapertech.com | 화장품 | (주)파인엠 | 불은면 삼성리 | 박형석 | 937-1030 (011-255-4480) | finem.co.kr |
| | | | | | | | | | | 건쑥 생산농가(대표) | | | | 읍 면
| 농 가 명 | 강화읍 | 곽노경(932-9596), 박시훈(933-1705), 조준철(934-6372) | 선원면 | 이경상(932-2589), 김현중(932-1612), 유재목(933-7382) | 불은면 | 김광남(937-4014), 조한원(937-5007), 한광열(937-2701) | 길상면 | 김후제(937-1830), 김덕렬(937-4333), 오성주(937-3764) | 화도면 | 주시웅(937-3414), 이봉영(937-3358), 박성주(937-0320) | 양도면 | 전동봉(937-2088), 안병화(937-2341), 한재만(937-2573) | 내가면 | 유남준(932-6181), 민구웅(932-6686), 박상석(932-6416) | 하점면 | 고유진(933-5329), 황억식(932-7817), 고찬진(933-5417) | 양사면 | 김영관(933-1505), 김관용(932-5527), 김의용(932-5530) | 송해면 | 이영준(934-4424) | 교동면 | 이익선(932-1453), 명제욱(932-7243), 고형태(934-6926) | 삼산면 | 조종익(932-3042), 한재국(932-3208), 김윤장(932-3478) | 서도면 | 박정훈(932-6912), 전만수(932-2201), 조범산(932-7117)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