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다래의 수분은 충매에 의해 이루어지며 풍매에 의한 수분은 거의 되지 않는다. 단위결과가 되지 않으며 생장조정물질에 의한 단위결과의 유기도 곤란하다. 암꽃품종의 개화기간은 대개 7∼9일이나 수정이 잘 이루어지는 기간은 개화후 4∼5일간이다. 수꽃품종은 암꽃품종에 비하여 개화의 개시가 2∼3일 빠르고 개화의 종료는 2∼3일 늦어 개화기간이 긴편이나 수분에 알맞는 꽃가루는 개화 후 2∼3일 이내의 것이며 그 이후의 꽃가루는 활성이 떨어져 수분에 좋지 않다. 참다래 과실내의 종자수는 과실무게, 당도 및 과실형태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 수분이 충분하게 이루어진 큰과실 내에는 종자수가 1,000∼1,400개 정도이며, 불충분한 수분으로 인한 작은과실은 종자수가 50∼100개 정도이다. 따라서 크고 품질이 좋은 과실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수분수(수나무)를 충분히 혼식하여야 하며, 수분수가 부족한 과원에는 수분수를 높이접을 하거나 적극적인 방법으로 인공수분을 실시하는 것이 좋은데 수나무를 고접하는 경우 수나무의 수게가 너무 강하여 암나무를 약화시킬 우려가 있으므로 전정관리를 철저히하여 수세를 유지시켜 주어야 한다. 근래에는 인공수분의 필요성이 충분히 인식 되었으므로 그림 6-3과 같이 포장을 고려하여 한쪽편에 별도의 수나무 포장을 조성하여 비갈미잽 등으로 조기에 화분을 채취하는 것이 노력 분산과 기상재해 극복 차원에서 유리하다 하겠다.
(1) 자연수분 참다래의 자연수분은 곤충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개화기에는 꽃을 찾는 방화곤충의 활동이 활발하도록 농약살포를 피해야 하며 강풍은 꿀벌의 활동을 방해하므로 방풍 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좋다. 참다래의 꽃은 개화기가 비슷한 클로버꽃이나 감귤꽃에 비하여 향기가 적으므로 주위에 이러한 꽃들이 많으면 참다래원에 날아오는 꿀벌의 수가 적기 때문에 꽃가루받이가 매우 불량하게 된다. 따라서 참다래꽃과 개화기가 경합되는 클로버꽃, 아카시아꽃 등은 철저히 제거하는 것이 좋다. 상품과실의 생산 비율을 높이기 위해서 개화기에 꿀벌의 방사는 개화 15일전에하여 적응시키는 것이 좋으며 기후가 순조롭고 농약을 살포하지 않는 상태하에서는 ha당 3∼4통 정도이면 양호한 결실을 얻을 수 있다. 꿀벌의 방화활동은 아침에 많고 이때의 꽃가루는 습기를 지니고 있어 꿀벌이 채집하기 용이하다. 일반적으로 암꽃에 비하여 수꽃에 방화회수가 많다. 주위에 감귤원이 있어 참다래꽃에 찾아드는 꿀벌의 수가 적은 것으로 관찰되면 인공수분을 병행하여야 안정된 생산을 할 수 있다.
(2) 인공수분 수나무의 혼식 비율이 낮은 과원은 적극적인 인공수분을 하지 않으면 안정된 과실의 생산을 기대할 수 없다. 암 수나무의 혼식 비율이 적당하여도 개화기에 강우 및 바람이 많거나 과원의 환경이 불량하여 꿀벌, 꽃등애 등 방화곤충의 비래가 적을 경우에는 과실의 크기나 과형이 균일하지 않고 당도가 낮아 품질이 좋은 과실을 생산할 수 없다. 과실내의 종자수는 그림 6-5에서와 같이 과실의 크기나 당도 및 과형에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되므로 충분한 수분에 의한 종자수의 확보가 품질이 좋은 과실 생산의 전제조건이다. 인공수분 위주의 재배는 과실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것 외에도 수나무는 화분 채취용으로 혼식 비율이 5% 정도 되도록 유지하고 나머지를 암나무로 갱신이 가능하게 되어 수량도 증가할 수 있다. 1) 꽃가루 채집 10a당 인공수분에 필요한 꽃가루의 양은 3g 정도이며 꽃봉오리를 채취할때는 맞추아(Matua)의 경우 700개, 토무리(Tomuri)는 600개 정도 필요하다. 화방당 꽃의 착생은 마츄아가 3개, 토무리는 4∼6개 정도된다. 마츄아는 토무리에 비해 꽃봉오리당 꽃가루의 양이 다소 적으나 꽃대가 길어 채취하기가 용이하다. 꽃봉오리의 채취는 가급적 아침 일찍 개화 직전에 있는 비교적 큰 것을 골라서 하고 꽃밥을 채취한다. 채취한 꽃밥은 신문지에 얇게 깔아 상온에 하룻밤 동안 두거나 햇볕에 2∼3시간 두게 되면 꽃밥이 완전히 열개되는데 이때 30℃ 이상에서는 발아율이 현저히 떨어지게 되므로 온도관리에 주의하여 25℃ 이상이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열개된 꽃밥은 바람이 없는 장소에서 100∼150매쉬의 체를 이용하여 꽃가루를 분리 채집한다. 근래에는 화분 채취기가 많이 보급되어 작업에 더욱 능률을 높일 수 있게 되었는데 화분채취기를 이용할 경우에는 꽃채취 → 약채취 → 약정선 → 화분정선 → 화분증량제 혼합 → 인공수분 과정을 거치게 되며 크기에 따라 약간 다르겠으나 약채취기로 꽃밥을 분리하는데 1시간에 생화 60㎏ 정도를 처리할 수 있어 아주 능률적이다. 채집한 꽃가루는 증량제인 석송자를 꽃가루양의 10∼15배 정도를 첨가하여 충분히 혼합하여 사용한다. 석송자는 적색으로 염색된 것이 시판되고 있으므로 이것을 사용하면 수분 후의 식별이 용이하여 편리하다. 또 근래에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석송자를 대체하기 위하여 송화가루를 증량제로 개발 하였으며 그외에도 다양한 자원을 이용하여 꾸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생력화를 위해 물을 이용한 수분도 일부 농가에서 시도되어 성공한 농가도 있으나 화분 활력에 관한 문제점이 지적되어 계속 검토중에 있다. 특히 물수분의 문제점은 개화기의 기상에 많이 좌우되기 때문에 매년 안정적으로 사용하는데 다소 어려움이 있다.
2) 수분 수분은 수분기나 면봉으로 암꽃의중아에 있는 크고 방사상으로 퍼져 있는 암술의 중앙부를 향하여 전면에 희석한 꽃가루를 부착시키는 형식으로 행한다. 유목원이나 재배규모가 작은 과원에서는 수꽃을 따서 꽃잎을 제거한 후 직접 암꽃에 수분을 하여도 좋다. 이 경우 1개의 수꽃으로 5∼10개의 암꽃에 수분이 가능하다. 수분작업은 암꽃의 개화 당일을 포함하여 4일 이내에 행하여야 하루 중에서도 오후에는 수정의 효과가 저하되므로 가능하면 오전중에 수분을 완료하는 것이 좋다. 수분작업은 소규모의 작은 면적에서는 면봉을 이용한 방법도 있으나, 꽃가루량이 다소 많이 소요되는 단점은 있지만 작업능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동이나 전동 수분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분후 4시간 이내에 암술머리를 씻어내릴 정도의 강우가 있을 때에는 과실내의 종자 수가 적어 과실의 비대가 불량하나 8시간 이후의 강우는 거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재수분을 할 필요가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1996년 전남 남해안 일부 지역에서는 개화기의 일기 불순에 따른 수정불량으로 비대초기 단계에서 생리적 낙과가 많이 일어나는 사례가 있었다. 암꽃의 개화가 늦어지는 경우에는 꽃가루의 저장이 필요하다. 꽃가루는 실온에서는 5일 정도 발아능력이 있으나 저온, 건조상태 하에서 보존하는 것이 좋다. 습한 상태에서 25℃ 이상이 3일정도 되면 발아력이 0%가 되나 5℃ 이하의 저온에서 흡습제와 함께 밀봉하여 저장하면 10일 이상의 발아능력이 유지된다. 사용하다 남은 꽃가루는 냉장고 냉동실(-15 ∼ -16℃)에 보관하면 다소 활력은 떨어지나 그 이듬해 사용할 수 있다. 꽃가루의 발아능력 검정은 서당 15%의 한천배지 상에서 실시하면 쉽게 판정할 수 있으므로 저장조건이 충분하지 못할 경우에는 검정할 필요가 있다. 꽃가루를 저장할 경우에 석송자는 수분직전에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
참다래는 수정이 되면 생리적인 낙과가 없기 때문에 결실조절을 하지 않으면 과다한 결실로 과실이 작고 품질이 현저하게 떨어진다. 그 뿐만 아니라 나무의 세력이 현저하게 약화되어 다음해에 결실시킬 양호한 열매밑가지의 확보가 어렵게 되고 심하면 해거리의 원인이 된다. 참다래의 과실은 수정 직후의 초기생육이 극히 왕성하기 때문에 가능하면 조기에 결실조절을 하여야 그 효과를 충분하게 얻을수가 있다. 그러므로 참다래의 결실조절은 열매솎기를 하는 것보다는 꽃따기를 하고, 꽃따기를 하는 것 보다는 꽃봉오리따기를 하는 것이 좋다
(1) 결실조절의 정도 단위면적당 착과수를 증가시키면 수량은 증가되나 1과당 무게는 적어지고 반대로 착과수를 줄이게 되면 수량은 감소되나 1과당 무게는 커진다. 그러므로 나무의 세력이나 지력에 따라서 경제적으로 유리한 적정수준을 택하는 것이 좋다. 과실 1개를 충분히 비대시키고 또 충분한 저장양분을 축적하는데 필요한 잎의 수는 크고 건전한 잎6∼7매 정도이다. 나무의 세력이 약하여 단과지의 발생이 많을 때는 잎이 작고 엷으므로 과실 1개당 잎수를 7∼8매로 증가하는 것이 좋다. 과실이 작은 브루노, 몬티, 아보트 등의 품종에서는 과실이 큰 헤이워드 품종에 비하여 과실 1개당 잎수를 1매정도 적게 하여도 된다. 일반적으로 열매 가지당 2∼3개의 과실을 결실시키고, 크고 건전한 잎이 20매 정도 착생된 세력이 좋은 열매가지라면 헤이워드 품종에서는 3∼4과, 기타품종에서는 4∼5과 정도 결실된다.
1. 적뢰 및 적과 가. 적뢰, 적과의 목적과 효과 참다래는 정상적으로 발육하고 있으면 착과성이 좋다. 그러나 개화기 전후의 비바람에 의한 신초 절단, 태풍피해, 세균성 꽃썩음병의 다발등에 의해 결과지를 많게 남기는 경향이 있기때문에 착과 과다에 의한 결과지의 쇠약이나 소과를 생산하여 품질이나 상품가치를 저하시키며 이듬해 결년결과를 유발시키는 원인이 되고 있다. 수입과실이나 국내생산의 급증에 따라 가격은 해마다 하락경향이 있고 대과 일수록 유리하게 판매되어 왔다. 앞으로 이러한 현상은 점점 심화될 것이 예상되기 때문에 대과생산이 특히 중요하다. 따라서 적뢰 및 적과는 중요한 작업이다. 참다래의 과실비대 특징은 조기비대가 왕성하고 개화후 30∼40일의까지 세포 비대가 수확기 과실크기를 결정하기 때문에 조기 적뢰, 적과 효과가 높다. 이것은 전년도에 충실한 결과모지를 만들고 또한 충분한 저장양분을 축적하므로서 큰 꽃(봉오리)이 착생되고, 이때 세포수나 세포비대가 결정되기 때문에 초기비대를 높이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생각된다.
나. 적뢰 참다래는 개화기까지는 전년도의 저장양분으로 자란다고 할 수 있고 저장 양분의 소모를 적게해서 과실비대 효과를 높이는 것은 표1에서 보는바와 같이 적과보다는 적화, 적화보다는 적뢰(화뢰기)로 빨리 솎을수록 효과가 높아 적뢰 (화뢰기)가 적과(만개 20일)보다 과실크기도 크고 수량도 29% 증수되었다. 또한 80g이상 상품과율도 32% 높았다. 적뢰의 시기는 빠를수록 좋으나 지나치게 빠르면 측화(측뢰)을 제거할때에 중심화(뢰)를 따기 쉽기 때문에 개화전 5월 중·하순에 실시하는 것이 좋다.
<표 1> 참다래 적과시기가 과실품질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90∼91 전남농진)
적과시기 |
과실크기(cm) |
1과중 (g) |
당도 (°Bx) |
수량 |
상품과 상품과율 (%) |
(월, 일) |
종경 |
횡경 |
(kg/10a) |
지수(%) |
화뢰기 (5.16) |
5.80 |
4.83 |
83.6 |
6.6 |
1,445 |
129 |
43.3 |
개화기 (6.4) |
5.66 |
4.70 |
79.3 |
6.6 |
1,370 |
123 |
41.9 |
만개 10일 |
5.38 |
4.68 |
71.0 |
6.4 |
1,208 |
108 |
15.9 |
만개 20일 |
5.32 |
4.56 |
64.7 |
6.4 |
1,118 |
100 |
10.1 |
적뢰방법은 세균성 꽃썩음병이 많은 과원에서는 먼저 중심화의 양쪽 측화(뢰)는 중심과에 비해서 소과로 상품가치가 없는 것이 되므로 솎아낸다. 다음으로 결과지에 몇개 착과하고 있는 경우는 기부에 달린 편평과(대상과)등의 기형 꽃봉오리, 지연화, 과경이 짧은 꽃봉오리, 세균성 꽃썩음병 피해를 받은 꽃봉오리나 꽃을 우선적으로 솎아내고 개화후 가능한 빨리 착과가 많은 부위를 솎아낸다. 그러나 세균성 꽃썩음병의 발병이 없거나 적은 경우는 적뢰의 효과가 좋으므로 개화 5∼10일 전에 먼저 측화뢰를 제거하고 다음으로 결과지 기부쪽 꽃봉오리, 기형뢰, 병충해 피해과를 솎아낸다. 기부 꽃봉오리(꽃) 다음으로 선단순으로 솎아낸다. 적뢰정도는 세균성 꽃썩음병이 다발하는 경우도 있고, 비바람에 의한 신초 절손 염려도 있으므로 1㎡당 20∼30% 많은 30∼35화 정도를 남긴다.
다. 적과 키위의 과실비대는 낙화와 동시에 시작되고 6월 중순경에 비대율이 최대가 된다. 따라서 과실 종경, 횡경도 약 70∼80%가 7월 중순까지 비대하기 때문에 이 기간에 어떻게 균일하고 순조롭게 비대시키는가가 대과생산과 수량 증대를 꾀하는 포인트이다. ① 적과시기 비바람 피해나 꽃썩음병의 발생 염려때문에 적뢰를 하지 않거나 적뢰, 적과가 늦어지고 있는데 이미 기술했듯이 6월∼7월 상순까지 급격하게 비대하고 그 이후는 급속하게 떨어진다. 이와 같이 참다래 초기 비대는 매우 급속하게 진행해서 적과는 낙화후 10∼15일쯤 결실 안정후(과실형태가 확인 가능할때) 6월 상·중순까지 대충 적과하고 7월 상·중순경에 마무리 적과한다. ② 적과의 정도 적과의 정도는 수세나 엽면적 등을 고려하여 과실을 알맞게 남기는 것이다. 자칫하면 결실과다 되기 쉬워서 대과, 고품질 과실이 나올 수 없다. 따라서 과실 1개를 정상적으로 발육시키는데 잎 몇매(엽과비)가 필요한가를 고려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엽과비가 많을수록 다시말해서 과일 1과당 엽수가 많을수록 크고 품질도 좋으며 결과지도 30Cm이상의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적과 정도는 수량 면에서 보면 엽과비가 1과당 5∼6엽이 적당하다고 생각된다. 표 2는 적과 정도가 과실크기와 품질, 수량의 관계를 나타낸 것인데 적과량이 많을수록 10a당 수량은 감소하였으나 과실비대에는 효과적이었다. 이 결과로 보면 적정 착과량은 1㎡당 20∼25과로 착과시키는 것이 과실도 크고 상품과율은 무적과가 8.1%인 반면 ㎡당 20과는 55.2%로 월등히 높았다.
<표 2> 참다래 적과정도가 과실품질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90~'91 전남동진)
적과정도 |
과실크기(cm) |
1과중 (g) |
당도 (°Bx) |
수량 |
상품과 상품과율 (%) |
종경 |
횡경 |
(kg/10a) |
지수(%) |
10개/㎡ |
5.68 |
4.86 |
82.9 |
6.4 |
717 |
40 |
52.0 |
20개/㎡ |
5.77 |
4.96 |
84.0 |
6.4 |
1,451 |
80 |
55.2 |
30개/㎡ |
5.09 |
4.52 |
63.6 |
6.7 |
1,647 |
91 |
7.3 |
무적과 |
5.02 |
4.50 |
62.3 |
6.6 |
1,813 |
100 |
8.1 |
③ 적과방법 적과하는 과실은 먼저 기부과의 편평과, 소과, 변형과, 측과, 상처과, 병충해과, 인공수분 불량과 등이다. 다음으로 신초에 많이 착과한 경우 기부에 편평과, 선단에 소과가 생기기 쉬우므로 기부과, 선단과 순으로 소과, 변형과를 적과하고 중앙 부위쪽의 과실을 남긴다. 여기서 주의할 것은 신초수를 많이 남긴채로 적과하면 덕아래가 어두워지게 되므로 적과전에 신초수를 적정량 (1㎡당 9∼12본)으로 해서 적과하는 것이 중요하다. 또한 적과할 때는 결과지의 종류에 따라 적과량을 결정하면 편리하다. 장과지(60cm 이상)에서는 5과, 중과지(60∼40cm)는 3과, 단과지(20∼40cm)는 1과 남긴다. 또한 매우 짧은 단과지(20cm 이하)는 과실비대가 불량하므로 착과수가 적을 경우를 제외하고 모두 솎는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