쑥갓 재배기술
1. 특성 및 재배환경
○ 15~20℃에서 발아와 생육이 빠른 호냉성 채소이다.
○ 내서성도 비교적 강하여 여름철에도 왕성한 생육을 보이고 겨울철에도 10℃ 이상에서 생육을 한다.
○ 엽채류 중에서 병해충 발생이 가장 적어서 재배가 쉬운 편이다.
○ 고온 장일에서 꽃눈이 형성되고 꽃대가 올라오는 생리적 특성이 있고 5월부터 8월까지는 불시
추대가 우려되므로 수확기를 늦추지 않아도 된다.
○ 토양 적응성은 비교적 넓은 편이지만 건조에 약하여 유기질이 풍부하며 보수성이 있는 모래참흙이나
참흙이 좋다.
2. 재배작형
○ 쑥갓은 겨울철을 제외한 봄부터 가을까지는 파종하여 40일이면 수확할 수 있다.
○ 봄부터 가을 까지는 비가림 또는 노지에서 어느 때고 파종하여 수확할 수 있으며, 겨울철은 시설내의
야간온도를 0℃ 이하가 되지 않도록 적절한 보온만 해준다면 재배가 가능하다.
가. 봄 재배
○ 3월에서 5월까지 파종하는 봄 재배는 생육이 매우 빨라서 씨 뿌린 뒤 30~45일이면 수확이 가능
하다.
○ 5월 이후에 파종할 때는 꽃대가 올라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 생육기가 6월에 접어들면 병해 발생이 우려되므로 약제방제가 필요해 진다.
나. 여름 재배
○ 6월에서 8월까지 파종하여 재배하는 여름재배는 가장 더운 시기에 재배하므로 탄저병 등의 피해가
우려된다.
○ 35%의 흑색 차광망으로 피복한 비가림재배가 좋고 파종에서 수확까지 1개월 가량 소요되며 늦어
지면 꽃대가 올라온다.
다. 가을 재배
○ 쑥갓이 가장 많이 재배되는 시기이며 9월에서 10월까지 파종하는 재배형태로 11월에서 12월까지
수확하는데 수확 소요일수는 50일 내외이다.
라. 겨울재배
○ 11월에서 12월에 파종하는 겨울철 시설재배는 2월에서 4월까지 수확하는데 파종을 늦추면 줄기가
3. 품 종
○ 소엽종
- 잎이 작고 결각이 심하며 줄기가 직립성이며 곁가지가 적게 나온다.
- 쑥갓 고유의 향기가 많은 반면 수량이 적고 또 더위와 추위에 강한 반면 꽃대도 빨리 올라온다.
○ 중엽종
-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재배되고 있는 품종이다.
- 곁가지가 많이 나오며 개장성으로 옆으로 퍼진다.
- 더위와 추위에도 강한 품종으로 생육이 빠른 반면 꽃대도 빨리 올라온다.
○ 대엽종
- 잎의 결각이 둔하며 얕게 들어가는 것이 특징이며, 잎살이 두껍고 곁가지
발생이 적지만 씨앗을 배게 뿌리면 수량이 많이 난다.
- 더위와 추위에 약하여 여름철과 겨울철 재배가 힘들다.
4. 재배기술
가. 파 종
○ 쑥갓은 재배기간이 매우 짧고 뿌리가 얕게 뻗기 때문에 깊이 갈 필요는 없지만 물리성이 좋아야 한다.
○ 이랑의 표준 넓이는 150cm 이지만 경우에 따라서 비닐하우스 가운데 고랑을
두고 양쪽으로 큰 두둑을 지어 재배해도 무리가 없다.
○ 줄뿌림 방향은 고랑 쪽으로 향하게 줄을 지어 씨를 뿌리며 덮어주는 흙은 얕게
덮어준다 10a당 약 1.5ℓ의 종자가 필요하다.
나. 거름주기
○ 쑥갓은 흡비력이 대단히 강하지만 생육기간이 짧으므로 전량 밑거름으로 전층 시비한다.
○ 건조에 약하므로 퇴비 등을 많이 넣어 보수력을 높여야 하며, 생육후기에 초세가 약해지면
웃거름을 물 비료로 줄 수 있다.
5. 수 확
○ 일반적으로 파종 후 30일이면 초장이 15cm 이상 자라 수확이 가능하다.
○ 쑥갓의 품질은 잎살이 두껍고 초형이 개장형이며, 잎은 녹색으로 윤기가 있고
시들지 않으며 싱싱해야 한다.
○ 병해충 및 상해 등의 피해가 없으며 꽃대가 올라오지 않은 것이 좋다.
○ 2차 수확을 위해서는 본엽 3~4매를 남기고 잘라 수확하면 곁가지자 재생하여 2차
수확이 가능하다.
○ 3차 수확은 뿌리가 노화되고 곁가지가 너무 많아 상품을 기대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