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육특성 |
다년생으로 비교적 메마른 땅에서도 잘 자라며 학명은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이며 일본어로는ウド(우도)라 한다. 줄기는 가지를 많이 내고 초장이 1.5∼3m에 이르며 이른봄 땅속뿌리에서 움이 돋아나 7∼8월부터 연한 녹색꽃이 피고 8∼10월에 열매를 맺는다. 잎은 2∼3회 깃골로 갈라진 큰 잎이고 어린잎은 넓은 달깔꼴 또는 둥근꼴이며 잎밑은 둥글거나 심장꼴이고 잎가는 톱니가 있다. 열매는 검고 그속에 씨앗이 5∼6개 들어 있으며 휴면(월동)기 때에는 지상부는 고사하고 구근 형태로 월동한다. 땅두릅은 두릅나무과에 속하며 낙엽 관목인 나무두릅과는 다르다. 한방에서는 독활이라고 부르며 순은 독특한 향기와 담백한 맛을 내며 영양가가 풍부 하여 고급요리에 이용되고 있다. |
![]() | 재배환경 |
초세가 강하여 물빠짐이 좋은 땅에서는 어디서나 잘 자라지만 좋은 품질과 많은 수량을 얻기 위해서는 유기질이 풍부하고 배수가 잘 되는 토양이 적지이다. |
![]() | 재배기술 |
![]() | 번식방법 |
<그림 2> 땅두릅의 묘두번식 방법
<그림 3> 땅두릅의 종자파종 및 꺾꽃이 방법
![](http://www.nhri.go.kr/ddd/crop/vegetable/img/udo005.gif)
<그림 4> 땅두릅 정식 요령
종자번식 | ||||||||||||||||||||||||||||||||||||||||||||||||||||||||||||||||||||||||||||||||||||||||||
10월 하순경 종자를 채종하여 상온 또는 땅속에 묻어 보관한다. 독활은 발아억제물질로 인해 발아율이 떨어지므로 파종전에 흐르는 물에 일주일 정도 담근후 4℃에서 30일 저온처리후 파종하면 발아율을 높일 수 있다. 파종상은 이랑너비 1.2m에 줄뿌림이나 흩어뿌림을 한다. 흙을 덮은후 건조하지 않도록 볏짚이나 왕겨를 덮어준다. 발아온도는 15∼20℃이며 저온처리기간은 30일 이상이고 발아소요기간은 3∼4주정도 걸리며 본잎이 2∼3매 정도 나오면 20∼25cm간격으로 이식하여 가을까지 비배관리 하면 2년째는 연화촉성용으로 쓸 수 있다. 종자번식은 일시에 대량의 묘를 얻을수 있으나 포기의 양성에 시간이 걸리는 것이 단점이다. <표 1> 독활종자의 휴면타파를 위한 저온처리 기간 및 생장조정제 효과
발아촉진을 위해 GA, 저온 및 락스처리를 한 결과 GA처리는 정선된 종자를 GA 500ppm 용액에 3시간 침적후 파종하여 61%의 발아율을 보였고 저온처리는 정선된 종자를 물에 담근후 종자끼리 서로 붙지 않을 정도 건조시킨 뒤 유리병속에 넣고 밀봉하여 4℃되는 냉장고에 4주간 처리후 파종하여 76%, 락스처리는 정선된 종자를 락스 50% 용액에 3시간 침적처리후 맑은 물에 5회 세척후 파종하여 83%의 발아율을 얻어 가장 효과적이었다<그림 5-1>. ![]() <그림 1 > 저온, GA 및 락스처리가 종자발아에 미치는 영향 | ||||||||||||||||||||||||||||||||||||||||||||||||||||||||||||||||||||||||||||||||||||||||||
포기나누기 | ||||||||||||||||||||||||||||||||||||||||||||||||||||||||||||||||||||||||||||||||||||||||||
포기나누기는 가장 확실한 번식법으로 3∼4월경에 3∼5년 정도 묵은 모주를 뿌리는 약재로 이용하고 뿌리 일부를 붙인 싹을 2∼4개로 하여 묘두로 활용한다. | ||||||||||||||||||||||||||||||||||||||||||||||||||||||||||||||||||||||||||||||||||||||||||
꺽꽂이 번식 | ||||||||||||||||||||||||||||||||||||||||||||||||||||||||||||||||||||||||||||||||||||||||||
6월 중순경 새로 돋아나는 줄기를 15cm정도로 잘라서 순을 없앤 다음 루톤이나 IBA 1,000∼2,000배액에 30초간 처리하여 깨끗한 강모래나 Vermiculite에 꺽꽂이를 하고 시원한 그늘에 두고 비닐터널을 설치해 준다. | ||||||||||||||||||||||||||||||||||||||||||||||||||||||||||||||||||||||||||||||||||||||||||
종자 및 종묘 준비 | ||||||||||||||||||||||||||||||||||||||||||||||||||||||||||||||||||||||||||||||||||||||||||
종자 또는 묘두로 번식하며 때로 꺽꽂이 번식도 하지만 주로 묘두 분주법으로 한다. 10a당 종묘 소요량은 재배작형에 따라 2,500∼8,000주가 소요되며 종자는 발아력이 약하기 때문에 10a당 2ℓ정도가 소요된다. | ||||||||||||||||||||||||||||||||||||||||||||||||||||||||||||||||||||||||||||||||||||||||||
포장정식 | ||||||||||||||||||||||||||||||||||||||||||||||||||||||||||||||||||||||||||||||||||||||||||
포기나누기나 육묘된 묘를 3월 중하순경 해동 후 빨리 정식한다. 정식은 그림 5-4와 같이 정식시 120㎝ 이랑에 관리기로 40㎝ 간격으로 골을 타고 양쪽으로 땅두릅을 심고 60㎝ 넓이의 헛골을 관리기로 골을 설치하면 된다. | ||||||||||||||||||||||||||||||||||||||||||||||||||||||||||||||||||||||||||||||||||||||||||
거름주기 | ||||||||||||||||||||||||||||||||||||||||||||||||||||||||||||||||||||||||||||||||||||||||||
거름은 무한정으로 요구하는 식물이라 할 수 있을 만큼 비옥지를 좋아하며 이러한 토양에서 우수한 품질의 땅두릅이나 독활뿌리를 생산할 수 있다. <표 2> 거름주는 량 (㎏/10a)
<표 3> 땅두릅 시비수준별 생육 및 수량('94)
| ||||||||||||||||||||||||||||||||||||||||||||||||||||||||||||||||||||||||||||||||||||||||||
관수 및 배수 | ||||||||||||||||||||||||||||||||||||||||||||||||||||||||||||||||||||||||||||||||||||||||||
| ||||||||||||||||||||||||||||||||||||||||||||||||||||||||||||||||||||||||||||||||||||||||||
제초작업 | ||||||||||||||||||||||||||||||||||||||||||||||||||||||||||||||||||||||||||||||||||||||||||
| ||||||||||||||||||||||||||||||||||||||||||||||||||||||||||||||||||||||||||||||||||||||||||
꽃대 제거 및 병충해 방제 | ||||||||||||||||||||||||||||||||||||||||||||||||||||||||||||||||||||||||||||||||||||||||||
8월 중하순경 꽃대가 올라오면 제거하여 뿌리의 발육을 도모한다. 땅두릅에는 병해충이 거의 발생하지 않으나 포기나누기때 절단면을 통하여 뿌리 썩음병이 발생하고 여름철에는 응애가 발생하므로 응애를 사전 방제한다. | ||||||||||||||||||||||||||||||||||||||||||||||||||||||||||||||||||||||||||||||||||||||||||
뿌리 수확 | ||||||||||||||||||||||||||||||||||||||||||||||||||||||||||||||||||||||||||||||||||||||||||
번식 2년차 이후 늦은 가을에 수확하여 뿌리의 가격이 좋을때는 뇌두만 남기고 뿌리는 약용(독활)으로 출하하며 뇌두는 연화재배용으로 사용한다. ※ 뿌리의 가격이 낮을때는 굵은 뿌리만 절단하고 뇌두와 같이 연화재배용으로 사용하는 것이 수량이 많다 ('94 평택군 농촌지도소 시험재배) |
![]() | 재배작형 |
![]() | 땅드릅 재배력 |
<표 4 > 땅두릅 연중재배 유형 ('92. 충북)
![](http://www.nhri.go.kr/ddd/crop/vegetable/img/udo007.gif)
<표 5> 용도별 재식거리에 따른 생육 및 수량('94)
![](http://www.nhri.go.kr/ddd/crop/vegetable/img/udo008.gif)
구분 | 재식거리 (cm) | 초장 (cm) | 엽수 (매) | 경경 (mm) | 경수 (개) | 경장 (cm) | 생채수량 (kg/10a) | 건근중 (g/주) |
채소형 | 90×90 | 26.5 | 4.2 | 19.8 | 6.2 | 16.3 | 267 | 923 |
60×50 | 23.6 | 3.5 | 17.5 | 4.6 | 15.0 | 564 | 444 | |
60×40 | 23.8 | 3.2 | 16.1 | 3.8 | 14.5 | 636 | 319 | |
60×30 | 24.1 | 3.1 | 15.4 | 3.7 | 13.6 | 613 | 170 | |
60×20 | 22.8 | 3.1 | 14.9 | 3.2 | 14.1 | 725 | 214 | |
약재형 | 90×90 | 20.6 | 3.3 | 16.3 | 4.9 | 4.5 | 124 | 1,100 |
90×75 | 16.8 | 3.2 | 13.7 | 4.5 | 3.5 | 107 | 566 | |
90×60 | 17.3 | 3.3 | 13.3 | 4.3 | 3.8 | 132 | 533 | |
90×45 | 16.5 | 3.1 | 12.9 | 3.5 | 4.0 | 149 | 403 | |
90×30 | 16.7 | 3.1 | 11.9 | 3.2 | 3.5 | 153 | 325 | |
복합형 | 90×90 | 22.5 | 3.5 | 20.2 | 5.7 | 13.0 | 250 | 1,063 |
75×60 | 20.2 | 3.5 | 20.8 | 5.0 | 12.1 | 425 | 681 | |
75×45 | 20.2 | 3.8 | 20.6 | 4.3 | 11.4 | 479 | 441 | |
75×30 | 22.1 | 3.7 | 19.8 | 3.9 | 12.4 | 485 | 485 |
![](http://www.nhri.go.kr/ddd/crop/vegetable/img/udo008.gif)
![]() 뿌리를 캐어내어 하우스내 밀식재배하는 방법이 있다. |
![]() | 노지재배 |
노지재배는 보온재료를 사용하지 않고 이른 봄 새싹이 나오면 흙을 성토하여 재배하는 방법과 그 위에 터널을 설치하여 4월 중순부터 새싹이 10cm 정도 자랐을 때복토한 것을 헤치고 새싹줄기 밑부분을 잘나내어 나물로 이용한다 (상품규격은 시장 선호도에 따라 규격 출하, 평균 15∼18cm임). 노지재배는 용도에 따라 녹채 및 백채를 이용하는 채소형, 지상부는 수확하지 않고 뿌리만 이용하는 약재형, 채소와 약재로 이용하는 복합형으로 나누며 재식밀도는 채소형 60×30cm, 약재형 90×60cm, 복합형 75×15cm로 정식하는 것이 적당하다. 독활의 어린 순은 저온에 약하므로 왕겨나 볏짚을 피복하여 주면 고품질을 생산할 수 있고 저온피해도 줄일 수 있다. |
![]() | 하우스 재배 |
하우스 설치 | ||||
| ||||
온도관리 | ||||
초기부터 너무 고온으로 높여 관리하면 상품의 질이 떨어지므로 낮은 온도부터 시작하여 3∼4일 간격으로 점차 온도를 높여준다. 지온이 10℃ 이상되면 생육을 시작 한다. |
![]() | 습도관리 |
땅두릅 포장를 가온하기 전에 충분히 관수하고 가온재배 기간중 수시로 상면을 살펴보아 관수를 해주되 너무 과습되지 않도록 해준다. 1회 수확할 때마다 약간씩 관수를 실시해준다. |
![]() | 특수재배 |
![]() | 채소용 줄기 연화재배법 |
![](http://www.nhri.go.kr/ddd/crop/vegetable/img/udo009.gif)
<그림 5> 땅두릅 생장 촉진제 처리 효과 ('83, 강원)
<그림 6> 땅두릅 연화재배법('81, 충북)
지베레린 10ppm용액을 100포기당 20ℓ정도 뿌려주면 생육이 촉진되고 수확시기도 앞당길 수 있으며 연화재배가 가능하다. |
![]() | 연화 재배용 피복재료 |
피복재료별 특성은 다음과 같다. |
볏짚 | |||||||||||||||||||||||||||||||||||||||||||||||||||||||||||||||||||||||
조직이 치밀하지 못하여 피복후 땅두릅생육이 저조하며 땅두릅이 굽어 상품성이 없고 잎이 쉽게 전개되어 좋지 않다. | |||||||||||||||||||||||||||||||||||||||||||||||||||||||||||||||||||||||
왕겨 | |||||||||||||||||||||||||||||||||||||||||||||||||||||||||||||||||||||||
구입이 쉬우며 조직이 치밀하여 상품의 질이좋고 수확이 완전히 끝나면 밭 전면에 흩어뿌려 퇴비로 이용되며 잡초발생 억제효과도 있다. | |||||||||||||||||||||||||||||||||||||||||||||||||||||||||||||||||||||||
톱밥 | |||||||||||||||||||||||||||||||||||||||||||||||||||||||||||||||||||||||
구입이 약간 어려우나 조직이 치밀하여 질이 좋고 상품성이 가장 우수하며 수확후 밭 전면에 흩어뿌려 퇴비로 이용이 가능하다. | |||||||||||||||||||||||||||||||||||||||||||||||||||||||||||||||||||||||
퇴비, 낙엽 | |||||||||||||||||||||||||||||||||||||||||||||||||||||||||||||||||||||||
조직이 거칠어 피복 하였을 경우 상품의 질이 떨어져 좋지 않으나 수확후 퇴비로 이용이 가능하다. | |||||||||||||||||||||||||||||||||||||||||||||||||||||||||||||||||||||||
흙 | |||||||||||||||||||||||||||||||||||||||||||||||||||||||||||||||||||||||
구입이 가장 좋으나 상품을 생산 하였을때 상품에 흙이 묻어 시장성이 좋지 않다. 흙을 사용할 경우 뿌리 그루터기 근처의 흙을 긁어모아 연화 부분이 많도록 해야하나 충분한 확보가 곤란하다. <표 6> 피복 재료별 수량과 상품성 비교 (1 년생)
![]() <그림 7> 연화재배시 피복방법에 따른 수량('93) | |||||||||||||||||||||||||||||||||||||||||||||||||||||||||||||||||||||||
피복 시기 | |||||||||||||||||||||||||||||||||||||||||||||||||||||||||||||||||||||||
피복재료 피복시기는 비닐하우스를 피복하고 하우스내 온도가 서서히 올라가면 지온이 10℃ 이상되면 이때부터 생육하여 땅두릅순이 지표면으로 나온다. 이때 피복재료를 20∼30㎝ 피복하면 된다. |
![]() | 수확 |
|
![]() | 땅두릅 전열온상이용 촉성재배 |
전열온상재배란 | ||||||||||||||
전열선에서 나오는 열을 이용하여 땅두릅을 재배하는 기술을 말하며 전열온상 재배는 설치비용이 적고 온도관리가 용이하다. | ||||||||||||||
설치자재 | ||||||||||||||
| ||||||||||||||
전열온상 설치 | ||||||||||||||
| ||||||||||||||
땅두릅 준비 | ||||||||||||||
![]() <그림 8> 땅두릅 전열온상 재배 작형 | ||||||||||||||
재배상 유의점 | ||||||||||||||
![]() <그림 9> 전열 온상 재배모식도 |
![]() | 땅두릅 다단식 밀식재배 |
![](http://www.nhri.go.kr/ddd/crop/vegetable/img/udo014.gif)
※ 휴면기때 굴취(11월 하순)하여 저장하였다 출하 20일 전에 치상한다.
<그림 10> 땅두릅 다단식 밀식재배 작형
![](http://www.nhri.go.kr/ddd/crop/vegetable/img/udo015.gif)
<그림 11> 다단식 밀식재배 모식도
땅두릅 다단식 밀식재배 | ||||||
땅두릅 다단식 밀식재배는 정식후 포장에서 4∼5년 연속재배할 경우 연작으로 인한 뿌리부패와 양분부족으로 수량이 감소되어 뿌리를 굴취해야 하므로 이때 뿌리를 굴취 하여 하우스내부에 다단식 베드를 만들고 배드내 온도를 지중보일러에서 나오는 열을 이용하여 촉성재배하는 방법을 말한다. | ||||||
다단식 시설 설치 | ||||||
베드규격은 가로×높이×길이(120㎝×20㎝×적당히)로 하여 1개 단과 단사이를 70㎝ 간격을 두어 2∼3 단으로 설치하여 하우스 1동내에 2∼3열을 설치하고 베드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에틸라스(다이아몬드형)망을 설치후 0.5㎝두깨의 베니어 합판을 바닥과 양쪽 벽면에 깔아 흙 등이 새지 않도록 하고 5㎝정도의 흙을 바닥에 펴고 그위에 지중보일러 호스를 20㎝ 간격으로 배열 고정시키고 흙을 지중 보일러 호스 위에 5∼10㎝ 덮은 후 준비된 뇌두를 빽빽히 치상한후 고운흙을 뿌리사이에 흙이 충분히 들어가도록 하고 뇌두가 보이지 않게 흙을 덮은후 피복물(톱밥)을 10∼15㎝ 덮어 연화부분이 많게 해준다. | ||||||
온습도 관리 | ||||||
| ||||||
묘두확보 | ||||||
|
![]() | 땅두릅 억제재배 |
![](http://www.nhri.go.kr/ddd/crop/vegetable/img/udo016.gif)
<그림 12> 땅두릅 억제재배 작형
억제재배란 | ||||||||
| ||||||||
설치자재 | ||||||||
비닐하우스 25평(하우스 및 터널설치), 부직포 (불투명한 자재활용) | ||||||||
본포 300평에서 재배한 땅두릅을 재배상 10 평에 식재가능 | ||||||||
※ 재배상 설치시 중앙부분이 약간 높게 하여 배수가 양호하게 설치 | ||||||||
땅두릅 준비 | ||||||||
| ||||||||
관리 | ||||||||
| ||||||||
재배상 유의점 | ||||||||
![]() <그림 13> 억제재배 온상 모식도 | ||||||||
수확 | ||||||||
흙, 왕겨, 톱밥 등으로 피복한 포장은 피복물 위로 땅두릅이 보일때 피복물을 헤치고 지제부 근처를 칼로 절단하여 수확한다. 수확은 억제작형의 치상시기에 따라 다르나 그림 5-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보통 5∼11월 사이에 수확하여 출하한다. |
![]() | 식품용도와 가치 |
![]() | 식용 |
독활은 다른 산채와 달리 생채로도 먹을 수 있고 삶아서 무침, 부침, 튀김, 저림 등으로 이용하며 염장하면 장기저장도 가능하다. <표 > 땅두릅의 영양가(가식부 100g당)
<표 > 땅두릅 영양성분표('74 농공이용 연구소)
뿌리에는 다량의 펜토산, 아스파라긴산이 있으며 주요성분을 분석하면 표 5-3과 같다. <표> 땅두릅 뿌리의 성분분석
|
![]() | 약용 |
잎, 줄기, 뿌리 등에 들어있는 주요성분은 Aralin, Areloside A.B, Oloanalic, Saponin, Coumarin-6, Aldehyde Angelical 그리고 소량의 정유와 Phytosterol 등이 들어 있으며, 뿌리는 진통, 부종, 두통, 치통, 수족불수, 혈관확장, 혈압강화 등의 효과가 있어 한약재로 이용된다. |
'산나물 - 양지 > 땅두릅(독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땅두릅(독활) 재배 (0) | 2016.11.29 |
---|---|
땅두릅(독활) 재배 (0) | 2016.11.29 |
땅두릅 = 독활 재배기술 (0) | 2016.11.29 |
땅두릅(독활) 재배법 및 이용 (0) | 2016.11.29 |
땅두릅(독활) 재배기술 (0) | 2016.1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