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소/상추

상추재배(4) 상추재배의 각종 생리장해 현상

승명 2016. 5. 17. 14:44

 

요즈음 웰빙(well-being)시대와 발맞추어 결구상추 및 상추의 생산과 소비가 꾸준히 증가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재배농가에서 부닥치는 많은 생리장해가 문제가 되고 있는데 이의 원인과 대책을 소개하고자 한다.

 

1. 생육중 발생하는 생리장해

가. 팁번(Tib burn)

 

 석회 결핍증에 의해 유기되며, 외엽의 엽맥사이에 갈색의 부정형 반점이 생기고 생육이 떨어진다. 칼슘의 흡수가 건조, 다칼리, 저온, 고온에 의해 저해되면 구엽에 팁번이 발생한다. 팁번구는 비대불량을 초래할 뿐만아니라 2차적으로 박테리아가 조직으로 침투하고 정상구마저 내부엽이 부패한 장해구가 된다. 석회 결핍증(잎부패현상, 끝마름병) 방제를 위해서 합리적인 시비와 토양수분에 주의하고 석회결핍증이 예상되거나 증상이 발견되면 즉시 0.5%의 염화칼륨액을 엽면살포하거나 칼리질비료 10a당 3~5㎏를 몇 번 나누어 시용한다.

 

나. 중륵 갈변증(Brown stain)

결구상추에서 결구 바깥잎이 활모양으로 굽은 중륵(中肋)의 내부에 갈색의 불규칙한 무늬가 생긴다. 이 병해는 결구후기에 가서 온도가 너무 높으면 심하게 나타나며, 수확적기가 지나 과숙시에도 나타난다. 결구기에 고온을 막고, 적기에 수확하도록 한다.

 

다. 갈색반점병

 고온조건 하에서 구의 비대충실 중에 결구엽의 호흡이 높고 구내와 높은 탄산가스농도와 저산소 상태가 되어 결구엽에 갈색반점이 생긴다. 또한 같은 갈색반점이 저온조건하에서 구의 비대충실이 진행되어갈 때 계속 결구해가면 결구엽이 노화되고 에틸렌을 발생하면서 생기게 된다. 위의 생리장해는 수확 후에도 발생하기 때문에 취급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라. 이상결구

 결구 이상 현상은 고온과 건조로서 포장내의 환경관리가 불량할 시 많이 발생함으로 주의한다. 특히 고온에 의하여 많이 발생하기도 한다(표 1).

 표 1. 결구이상 증상과 원인

종 류 증 상 원 인
분구(分球) 구두(球頭)가 여러 갈래로 나뉘어 결구 육묘기의 석회, 칼리 과다 때문에 붕소의 흡수가 불량, 벌레 및 바람도 일부 영향을 줌
연구(軟球) 색이 엷고 엽질이 부드러움 일조 부족
구형구 구가 비대하여 구의 형태로 됨 결구 개시기의 지나친 비료분의 발효
요고구 구형구보다 더욱 신장하여 횡장구가 됨 구비대, 충실기의 고온, 추대
죽순구 내부잎이 뒤틀려서 죽순구로 결구 결구직전의 단기적인 과잉생육
소형구 초기부터 말리기 시작, 비대하지 않고 소구로 됨 저 일조, 저온, 건조
컵 구 중심부가 컵 형태로 되어 결구시작 육묘기의 고온, 다질소
풍선구 풍선형태로 크게 결구하여 내부가 충실하지 않음 육묘기의 고온, 다질소
문어발 형 구 구밑둥의 결구엽의 잎맥이 돌출하고 구가 변형하면서 신장함 외엽의 불충분한 생육과 돌발적인 기상장해에 의한 장해로 구가 뒤틀리고 구엽 일부의 생육장해

 

마. 일소피해(Sun burn)

 원인과 증상은 고온(32℃ 이상)에 노출될 경우에 흔하게 발생되며, 고온은 leaf burn, tip burn, 이상 결구, 조기추대, 중륵에 관계되는 이상증상을 유기하기도 한다 . 빈번하게 발생되는 밭에서는 고온이 지속될 경우 스프링클러 등을 가동하여 품온을 낮추어 주기도 하며, 또한 토양이 건조하지 않도록 주의해서 재배하고, 질소나 칼리를 많이 시용하지 않는다.

 

바. 열구

 수확기에 들어서 결구내엽과 외엽이 터지는 현상으로 이것은 영양제 살포와 고농도의 칼슘제 처리로 인하여 결구내엽과 외엽이 터지는 증상이 발생한다. 대책은 특히 생육 후반기, 수확기에 접어들어서는 영양제를 지양하고, 또한 작물에 맞는 복합비료를 이용하는 것이 이런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사. 안토시아닌 발현의 불안정

국내에서 재배되는 잎상추는 주로 적축면과 적치마 상추로 그 재배면적이 전체의 70%를 넘고 있으며, 초봄, 가을, 겨울재배에서도 적상추의 색택발현에는 큰문제가 없다. 그러나 늦봄과 여름철재배에서는 적상추라도 비가림하우스, 노지에서도 평난지에서는 안토시아닌의 발현이 불안정하여 제대로 특성발현이 안되어 농가의 안정생산에 많은 어려움을 주고 있다. 경험적으로 품종에 따라서도 안토시아닌의 발현양상이 많이 다르며, 같은 품종이라도 노지>비가림하우스>유리온실 순으로 안토시아닌발현이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것은 고온과 자외선차단이 온실>비가림하우스>노지 순으로 높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되고 있으며, 고온이 부가되었을 때 안토시아닌의 발현이 잘 안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를 억제하기 위하여, 평난지에서는 차광처리나 스프링클러 등을 분사하여 품온을 낮추거나 그늘을 만들어 시설내 온도를 낮추는 방법을 쓰고 있으나 근본적인 해결책은 안되고 있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안토시아닌 발현이 안되는 늦봄이나 여름철에는 고랭지에서 재배하는 등 시기별 재배적지에 재배하는 것이 좋으나 현실적으로 어려운 형편이다. 현재까지 시설내 안정적으로 안토시아닌이 발현되는 품종도 아직은 없는 형편으로 그 재배시기를 고려하여 재배하여야 할 것이다.

 


아. 대상합생(帶狀合生, Fasciation)

 이것은 이상발육에 의해 줄기에서 주로 많이 발생하나 화탁에서도 발생하기도 한다. 겨울철 저온기에 재배할 경우, 품종간에도 차이가 많으며, 생장조정제를 처리하였을 때도 이런 현상을 발견할 수 있다. 아직 정확한 원인은 밝혀져 있지 않으나 줄기에서 과도한 이상발육에 의해 줄기가 붙는 현상으로 과다시비, 질소과잉 등을 피하여 재배하며, 저온을 경과한 후 급격하게 영양생장을 할 때도 발생함으로 주의하여야 한다.

 

 

2. 저장중 발생하는 생리장해 현상

가. 심부패(결구내 부패)

 붕소의 흡수가 칼슘과 같이 환경으로 저해되면 결구내가 부패하는 구가 발생하며, 내부엽의 발육이 억제되어 구의 비대충실은 기대할 수 없다.

 

나. 중륵 적변증(Pink rib)

중륵 적변증은 결구상추의 수확 후 장해이다. 이것은 성숙기가 지난 결구상추에서 가장 많이 발생한다. 비록 약간 이런 현상이 진행된 결구상추라도, 이런 과정과 연관된 스트레스들이 장해를 더 조장하지 않는다.
중륵 적변증의 증상은 외엽의 기주에서 엽록 사이에 있는 중륵 조직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것은 결구엽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으며, 또한 이러한 분홍색은 외엽에서도 볼 수 있다. 심한 경우 어린잎을 제외하고 모든 잎의 줄기로 붉은색의 이상증상이 진전되기도 한다. 원인은 아직 알려져 있지 않으며, 저산소와 누적된 저장온도가 증륵 적변증을 조장한다고 하기도 한다.중륵 적변증이 발생하면, 적절한 저장온도를 유지하여, 호흡을 감소시키고, 환기를 하여 저산소와 이산화탄소가 축적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런 장해가 심각하면, 적절히 성숙할 시 수확함으로써 줄일 수 있다.

 

 

 

다. 적갈색 반점 증상(Russet spotting)

적갈색 반점 증상은 결구상추와 로메인상추의 수확 후 장해이다. 드물게는 포장에서도 발생하기도 하며, 생물학적 또는 무생물학적 스트레스를 받은 후에도 발생한다. 다른 타입의 상추들은 적갈색 반점 증상이 잘 발생하지는 않는다.
상추잎의 기부인 엽록소가 없는 중륵은 가장 적갈색 반점 증상이 발생하기 쉬운 조직이다.
갈색이고, 약간 움푹 들어가 있으며, 달걀 모양(2×4㎜)의 상처가 이 장해의 특징이다. 극심한 경우, 갈색부위가 녹색의 중륵 조직에도 나타나고 잎끝에서도 나타난다. 증상 부위는 마르고 건조하며 2차감염은 드물다. 이것은 결구 후기에 가서 온도가 너무 높으면 심하게 나타나며 수확적기가 지나 과숙 시에도 심하므로 결구기에 고온을 막고 적기 수확하도록 한다.

 

 

참 고 문 헌

농촌진흥청. 2003. 양채류재배기술(영농교본-48, 개정판).

Davis R.M. et al. 1997. Compendium of lettuce disease. APS press.

Rappaport L. et al. 1956. Flowering in head lettuce as influenced by seed vernalization, temperature and photoperiod. Proceedings of the American Society of Horticultural Science 67 : 429~437.

Ryder. 1999. Lettuce, endive and chicory. CABI publishing.


집필 :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이지원 (전화 : 031-240-35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