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품종 |
국내 선발종으로 금마, 부곡 및 일본도입 선발종으로 신구 기타 일본 도입종으로 정강, 춘풍 등을 들수 있다. □ 품종별 특성 구분 품종명 | 금 마 | 부 곡 | 신 구 | 정 강 | 발아 나무 세력 수 피 색 | 늦음 | 빠름 | 보통 | - | 중 | 중 | 강 | 강 | 회갈색 | 회갈색 | 회갈색 | 회록색 | 줄기의 가시 | 장단 태세 다소 | 중 | 중 | 단 | 무 | 중 | 태 | 태 | 무 | 소(상부없음) | 다 | 소 | 무 | 싹 | 색 가시의 다소 크기 | 녹색 | 연녹색 | 연녹갈색 | 녹색 | 무 | 무 | 무 | 무 | 대 | 소 | 대 | - | 추위건딜성 | 강 | 강 | 강 | 약 | 수확기의조만성 | 만생 | 조생 | 중생 | 중생 | 재배작형 | 노지,촉성 | 노지,촉성 | 노지,촉성 | 노지용 | 용도 | 겸용 | 겸용 | 겸용 | 녹즙용 | 기타 | 국내종 | 국내종 | 일본도입선발 | 일본도입종 |
□ 두릅나무의 계통별 특성
계통구분 | 맹아기 (월,일) | 수피색 | 가지수(개) | 개화기 (월,일) | 꽃색 | 1년생 | 2년생 | 가시가 많은 계통 | 4.6 | 흑회색 | 84.9 | 163.2 | 8.11 | 황색 | 가시가 적은 계통 | 4.9 | 회록갈 | 57.3 | 109.0 | 8.14 | 황색 | 가시가 없는 계통 | 4.11 | 회록갈 | 0.3 | 5.7 | 8.15 | 황색 |
<그림> 두릅나무의 가시유무별 계통 특성 |
| 번식 |
실생번식 | -종자채쥐: | 9월 하순∼10월 상순에 까맣게 익은 종자를 채취하여 과육을 제거한 후 조하지 않도록 하고 수분 70% 정도의 톱밥이나 가는 모래에 종자를 3:1로 섞어 냉장고나 배수 양호한 곳의 지하 20cm이하에 묻음. | -파종시기: | 노지 : 4월 상순 ∼ 4월 하순 (채종즉시 또는 노천매상 후 다음해) 온상 : 2월 상순 | -파종방법: | 노지 : 폭 1m정도의 파종상을 만들고 줄뿌림후 1cm정도 복토후짚덮기 온상 : 파종상자 또는 전열 온상에 무균상토나 버미큘라이트 등을 10cm 정도 넣은 다음 조파 또는 산파하고 1∼2cm 정도 복토 | | ─ 온상은 20∼25℃ 를 유지하고 다습시 입고병 발생이 심하므로 주의 ─ 버미큘라이트는 발아후 부터 수시로 양액과 영양제 등을 관주 | -이식시기: | 본엽 4∼5매시 직경 9cm 폿트에 이식 |
□ 종자처리별 발아율 및 생육
종자처리 | 파종기(월.일) | 발아기 (월.일) | 발아율(%) | 생육(8월 15일) | 경장 (cm) | 경수 (개) | 줄기직경 (cm) | 채종후 직파 | 9.15 | 4.30 | 72 | 34 | 3.3 | 1.6 | 노천매장(120일) | 3.15 | 4.20 | 78 | 52 | 4.5 | 1.8 | 저온처리(120일) | 3.15 | 4.10 | 81 | 65 | 6..2 | 2.2 |
| 근삽번식 | - | 시기 : 3월 하순 ∼ 5월 상순 | - | 종근채취 : 3월 하순 ∼ 4월 상순 상처나지 않도록 채취(잡아당기지 않아야 함) | - | 삽수크기 : 길이 15 cm정도, 굵기 0.5∼1cm이상 | - | 꽂는 방법 : 평삽, 비스듬히 꽂기, 직삽이 있는데 발아와 득묘율은 비슷하나 작업면에서 평삽이 유리함. ※ 종묘준비시 가급적 가시가 적거나 없는 계통을 선별 가시가 많은 계통은 새싹 굳어짐이 빨라 상품가치가 저하됨 | - | 꽂는 간격 : 30×30 cm 끝부분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꽂는다. (두둑의 폭 90 cm, 높이 20cm) | - | 상토 : 배수 불량지 및 모래땅은 지양하고 밭흙이 가장 좋다. |
<그림> 종근용 친주 1년생
| <그림> 근삽 치상방법별 맹아상태
|
| 분주 | - | 시기 : 3월 하순∼4월 하순 | - | 방법 : 모주에서 발생된 1∼3년생의 자묘를 채취하여 심음 | - | 포기 나누기를 많이 하려면 원나무의 두릅 수확후 5월 중하순경 원포기로 부터 30∼40cm 떨어진 부위의 지면을 삽 등으로 깊게 찍어 원뿌리를 잘라 주면 새로운 묘의 발생이 많아 진다. ※ 야생두릅 분주시 산림훼손, 산림법등에 저촉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
<그림> 조제된 종근의 모습
| <그림> 두릅뿌리 꺾꽂이 상태
|
|
| 정식 |
시기 | 실생묘는 5월 중순경(만상후), 근삽묘나 분주묘는 3월하순 ∼ 4월하순. | 방법 | - | 실생묘는 순화시키고 건조에 주의하여 1.8∼1.5m × 0.6m 간격으로 정식 (1,000∼1,500주/10a로 비옥도에 따라 가감) | - | 구덩이는 깊이 60cm, 폭 45∼60cm로 파고, 퇴비 5kg, 계분 1∼2kg와 흙을 잘 섞어 구덩이를 채운 다음 식재 | - | 묘목심기가 끝나면 물을 충분히 주고 그위에 짚을 덮어 가뭄 피해를 막는다. |
<그림 > 두릅 묘목심기 |
| 거름주기 |
- | 밑거름은 정식할 때와 가을 낙엽후 주고 웃거름은 3회 정도 자라는 상태를 보아서 적절히 주는것이 좋다. | - | 상품 가치가 있는 좋은 싹을 많이 수확하기 위해서는 매년 굵기가 2cm 이상 되도록 비배 관리를 해야된다. |
□ 두릅나무 거름주는 량 <kg/10a> 비종 | 총량 | 밑거름 | 웃거름 | 1회 | 2회 | 3회 | 퇴비 | 1,500 | 1,500 | - | - | - | 닭똥 | 150 | 150 | - | - | - | 요소 | 40 | 20 | 5 | 5 | 5 | 용성인비 | 70 | 70 | - | - | - | 염화가리 | 35 | 25 | 5 | 5 | 5 | 시비시기 | - | 정식시 | 6월초 | 7월초 | 8월초 |
|
| 본탙관리 |
나무꼴 다듬기 | - | 매년 수확이 끝나는 즉시 가지를 잘라주어 나무꼴 높이를 1.5 ∼2m 유지. 1년차 : 20∼30cm 부위 절단. 2년차 : 50∼60cm 부위 절단 매년 그위치 고정. | - | 4∼5년후에는헛골에 새싹이 무수히 발생하므로 적절히 솎아줌. ※ 1주에 4개 정도 가지를 유지하는 것이 품질에 좋음. |
<그림 > 두릅나무 나무꼴가꾸기 | 제초와 풀 덮기 | 묘포는 짚, 비닐 등을 피복하여 잡초발생 방지하고 정식포는 토양 이행성 이 적은 제초제인 로록스 수화제, 그라목손 등을 두릅에 묻지 않도록 살포한다. |
| 병충해 방제 |
병충해는 별로 없지만 응애, 하늘소, 벌레 등의 피해가 심하므로 해충구제를 철저히 해야 한다. |
| 수확 |
- | 싹의 크기는 노지재배시 길이 10cm 내외 일때 4∼5cm 정도 목질부를 붙여 잘라 10싹 단위로 스치로폴 접시에 담고 랩으로 씌워 출하하거나 10싹을 짚으로 엮어서 출하한다. | - | 삽수를 치상하여 하우스 촉성재배시는 1∼3월까지 연속 출하가 가능하며 이때는 3.3㎡ 당 10kg 정도이고 10아삽 촉성재배는 3.3㎡ 당 11∼22 kg 정도까지 수확이 가능하다. |
|
| 수확후 선도유지 및 장기저장 |
두릅의 삽수길이에 따른 선도유지 기간은 표1에서와 같이 삽수길이 1∼2cm는 8일간 선도가 유지된데 비해 삽수길이 4∼5cm에서는 12일, 삽수길이 7∼8cm 에서는 14일간 선도가 유지되었다. 보존제 처리에 따른 선도유지 연장효과는 표2와 같이 무처리 12일에 비해 Sucrose 3.0% 처리에서 18일, Hyponex는 16일이었다. <표1 > 삽수길이에 따른 저장기간별 선도 삽수길이 | 저장 기간 별 선도 | 2일후 | 4 | 6 | 8 | 10 | 12 | 14 | 16 | 18 | 20 | 22 | 24 | 1~2cm | 9 | 8 | 7 | 6 | 4 | 4 | 3 | 3 | 2 | 2 | 1 | 1 | 4~5 | 9 | 8 | 8 | 7 | 6 | 5 | 4 | 4 | 3 | 3 | 2 | 1 | 7~8 | 9 | 9 | 8 | 8 | 7 | 6 | 5 | 4 | 4 | 3 | 2 | 1 |
♩ 9 : 선도 극히 양호, 7 : 선도 양호, 5 : 다소 위조 또는 변색되나 상품성있음, 3 : 위조 또는 변색이 심하여 상품성 없음, 1 : 변색 또는 부패로 식용불가 <표 2 > 보존제 처리에 따른 저장기간별 선도 보존제 처리 | 저장 기간 별 선도 | 2일후 | 4 | 6 | 8 | 10 | 12 | 14 | 16 | 18 | 20 | 22 | 24 | 무처리 | 9 | 8 | 8 | 7 | 6 | 5 | 4 | 4 | 3 | 3 | 2 | 1 | 0.3% Sucrose | 9 | 8 | 8 | 8 | 7 | 5 | 5 | 4 | 4 | 2 | 1 | 1 | 3.0% Sucrose | 9 | 9 | 8 | 8 | 8 | 8 | 7 | 6 | 5 | 4 | 3 | 2 | 0.1% Hyponex | 9 | 9 | 8 | 8 | 7 | 6 | 5 | 5 | 3 | 2 | 1 | 1 | 1.0% Hyponex | 9 | 9 | 8 | 7 | 7 | 7 | 5 | 5 | 3 | 3 | 2 | 2 |
♩ 삽수길이 : 4∼5cm ♪ 처리방법 : 삽수길이 4∼5cm의 두듭 목질부를 Sucrose 또는 Hyponex에 16시간 침지후 스치로폴 트레이에 담아 랩 포장후 3∼5℃에 저장
나무두릅 장기저장을 위한 포장방법 및 저장온도는 표 3, 4에서와 같이 생두릅은 -5∼+5℃ 저장에서는 포장방법에 관계없이 장기저장이 불가능하였으나 -15℃ 저장에서는 무포장은 물론 포장방법에 관계없이 210일간 저장이 가능하였다. 데친두릅은 3∼5℃ 저장에서는 선도가 4일 이상 유지된 처리가 없어 장기저장이 불가능하였으나 -3∼-5℃ 저장에서는 무포장 저장은 불가능하나 유공비닐, 랩포장, 진공포장, 모두 210일간 저장이 가능하였다. -15℃ 저장에서는 포장처리는 물론 무포장에서도 210일까지 장기저장이 가능하였다. 저장온도별 저장 가능기간은 생두릅의 경우 3∼5℃ 저장은 12일, -5℃∼-7.5℃에서는 저장 불가능, -10℃ 저장은 60일간, -15℃ 저장은 210일간 저장이 가능하였다. 데친두릅은 3∼5℃에서는 4일, -5℃에서는 90일, -7.5℃ 저장은 150일, -10℃, -15℃ 저장은 210일간 저장이 가능하였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