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식 | |||||||||||||||||||||||||||||||||||||||||||
가. 정식준비 | |||||||||||||||||||||||||||||||||||||||||||
경운작업은 10a당 퇴비 2,000㎏과 고토석회 150㎏를 정식 1개월 전에 전면살포후 실시한다. 촉성재배의 경우는 하우스의 비닐과 2중커튼을 정식 2주일 전에 설치한다. 정식 1주일 전에 화학비료의 밑거름을 전면살포하여 로타리한 후 두둑을 만들고, 정식 4~5일 전에는 투명비닐(폴리에칠렌 0.03㎜)로 멀칭하여 지온을 높이도록 한다. 밑거름으로는 질소질과 칼리질 총량의 1/4만 주고 인산은 전량을 넣는다. 정식 하루전에 폿트에 충분히 물을 주어서 폿트흙이 깨어지지 않도록 한다. | |||||||||||||||||||||||||||||||||||||||||||
나. 정식 | |||||||||||||||||||||||||||||||||||||||||||
발아후 50~55일 본잎이 5매일 때가 정식 적기이다. 재식거리는 줄기 유인수에 따라 다른데, 이랑사이는 1.5~1.8m로 하고, 주와 주사이의 간격은 원줄기만 재배할 경우는 20~40㎝ 정도로 밀식을 하고, 2줄기나 3줄기를 유인하여 재배하는 경우는 60~90㎝ 정도로 넓게 정식한다. 정식작업은 낮 10시부터 오후 2시까지 작업을 끝마치고 나머지 시간은 터널이나 하우스속에 햇빛을 비추어 열을 충분히 넣어준다. 가온의 경우에는 정식일부터 가온을 하며 무가온의 경우에는 하우스 안밖으로 피복하여 보온한다. | |||||||||||||||||||||||||||||||||||||||||||
표 1. 호박의 재식방법에 따른 재식거리 | |||||||||||||||||||||||||||||||||||||||||||
|
|||||||||||||||||||||||||||||||||||||||||||
다. 정식후 관리 | |||||||||||||||||||||||||||||||||||||||||||
정식 직후는 밤온도를 15~18℃로 높게 유지하여 활착을 좋게 한다. 활착후 낮온도는 23~25℃, 밤온도는 12~15℃로 유지하도록 환기와 보온을 한다. 정식할 때 충분히 물을 주어 활착을 촉진시키고, 정식후 1~3일 정도는 물주는 것을 금지하여 뿌리가 깊게 뻗도록 하며 활착된 후는 관수량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번무하지 않도록 한다. | |||||||||||||||||||||||||||||||||||||||||||
2. 유인방법 | |||||||||||||||||||||||||||||||||||||||||||
애호박 유인방법은 어미덩굴만 유인하여 재배하는 방법과 어미덩굴과 1~3개의 아들덩굴을 기르는 방법, 그리고 어미덩굴을 정식하기 전 어릴 때 적심하여 아들덩굴 2~4개를 키우는 방법 등이 있다. 재배 농민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줄기 유인방법은 어미덩굴 한줄기만을 유인하여 재배하는 방법과 어미덩굴과 아들덩굴중 한줄기를 동시에 유인하여 재배하는 방법이다. | |||||||||||||||||||||||||||||||||||||||||||
그림 1. 애호박 유인요령 | |||||||||||||||||||||||||||||||||||||||||||
어미덩굴 한줄기만을 유인하는 방법은 주와 주사이의 간격을 매우 좁혀서 심어 재식밀도를 높게 하여 재배하는 방법으로, 조기에 수확하기 위해서 일부 지역에서 많이 사용하는 방법이다. 어미덩굴과 아들덩굴중 1~2줄기를 동시에 유인하여 재배하는 방법은 어미덩굴은 그대로 유인을 하고, 5절이하에서 발생되는 측지(아들덩굴)중에서 튼튼한 줄기 1~2줄기를 선택하여 어미덩굴과 동시에 유인하여 재배하는 방법이다. 이때 아들덩굴중 세력이 좋은 것으로 1~2줄기를 선택하고 다른 것들은 어릴 때 일찍 제거해 주는 것이 좋다. 이 방법은 어미덩굴을 유인하므로써 적심한 후 아들덩굴만을 재배하는 방법보다 수확을 조금 당길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아들덩굴의 생육이 약간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어미덩굴을 적심한 후 아들덩굴중 2~3줄기를 유인하여 재배하는 방법은 어미덩굴이 5~8절정도 자랐을 때 생장점을 제거한 후 발생되는 아들덩굴중 튼튼한 것으로 2~3줄기를 유인하여 재배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유인하는 줄기의 세력을 고르게 유지할 수 있으나 적심에 따른 수확시기가 약간 늦어지는 단점이 있다. | |||||||||||||||||||||||||||||||||||||||||||
|
|||||||||||||||||||||||||||||||||||||||||||
주) 품종 : 중앙애호박 | |||||||||||||||||||||||||||||||||||||||||||
3. 시비 | |||||||||||||||||||||||||||||||||||||||||||
호박은 비교적 적은 양을 시비하여도 어느 정도 수확을 할 수 있으나 다수확하려면 자주 주어야 하며 그 총량도 많을 수 밖에 없다. 그러나 한번에 질소질을 많이 주면 줄기와 잎만 무성하고 과실이 열리지 않는다. 더욱이 일조가 부족한 시설에서는 낙과가 많이 되므로 시비할 때 주의해야 한다. | |||||||||||||||||||||||||||||||||||||||||||
그림 2. 아들덩굴 2줄기 망유인 | |||||||||||||||||||||||||||||||||||||||||||
시비방법은 인산비료는 전량 밑거름으로 주고 질소질비료와 칼리비료는 40%만 밑거름(기비)으로 주며 나머지는 3~4회 나누어주는 것이 좋다. 웃거름(추비) 주는 방법은 처음에는 묘종을 심은 곳에서 30㎝ 정도 떨어진 곳에 주고, 2회 시비는 차츰 멀리 시비하여 3회 때에는 고랑쪽에 실시한다. 웃거름 시비량은 질소질비료의 경우, 꽃이 피고 착과할 때는 약간 부족한 것 같이 주어 개화, 결실을 돕고, 일단 결실이 이루어지면 그 때부터 조금씩 질소의 양을 늘리는 방향이 바람직하다. | |||||||||||||||||||||||||||||||||||||||||||
|
|||||||||||||||||||||||||||||||||||||||||||
4. 착과 | |||||||||||||||||||||||||||||||||||||||||||
그림 3. 애호박 착과모습 | |||||||||||||||||||||||||||||||||||||||||||
저온기 하우스내에서는 꽃가루 매개충의 활동이 없어 인공수분이 필수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인공수분의 적기는 개화당일 오전에 이루어져야 한다. 수분에 알맞는 온도는 16~23℃이며, 30℃ 이상의 고온에서는 꽃가루의 발아력이 감퇴되어 착과율이 낮아진다. 인공수분에 의해 과실을 착과 비대시키는 것이 좋겠지만 저온기에는 꽃가루가 잘 안나오거나 수분을 해도 화분관의 신장이 어려워 착과가 잘 안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러한 점을 막기 위하여 표 4와 같은 착과제를 발라주면 용이하게 착과시킬 수 있다. 처리시기는 개화당일이나 개화전 1일이 효과적이다. 처리방법은 자방에 붓으로 발라 주든가 소형분무기로 꽃 전체에 분무해 준다. | |||||||||||||||||||||||||||||||||||||||||||
5. 수확 | |||||||||||||||||||||||||||||||||||||||||||
개화후 수확은 품종, 기후 및 소비자의 기호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일반적으로 애호박은 7~10일이면 수확이 가능하다. 그러나 촉성재배처럼 한겨울에 수확되는 것은 가온조건이 좋지 않으면 15일 이상 걸리는 경우가 허다하다. | |||||||||||||||||||||||||||||||||||||||||||
|
'채소 > 호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박 재배법 (0) | 2016.05.18 |
---|---|
호박재배(5) 애호박 저장기술 (0) | 2016.05.17 |
호박재배(3) 거름주기 (0) | 2016.05.17 |
호박재배(2) 육묘기술 (0) | 2016.05.17 |
호박재배(1)작물특성과 환경적응성 (0) | 2016.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