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4. 미덕고(彌德古)의 물음 |
1055 | 존경스러운 미덕고가 말했다. "저는 당신께서 지혜가 넓고 깊으시며, 심령은 완벽하시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당신께 여쭙니다, 세존이시여! 청컨데 저에게 세상의 각양각색의 괴로움은 어디에서 생겨나는지 말씀해 주시기 바랍니다." |
1056 | 세존께서 말씀하셨다. "미덕고여! 그대가 나에게 괴로움의 생겨남에 관하여 물었소. 나는 나의 이해에 비추어 그대에게 회답하겠소. 세상의 각양각색의 괴로움은 생존인소(生存因素)로부터 생겨나오." * 생존인소(生存因素): 자아[나]에 대한 집착[탐애/속박] -- 무아(無我)가 유아(有我)로, 뒤집힌 판단[762 참조], (감각적) 즐거움에 대한 집착[탐애/속박] -- 즐거움과 괴로움, 서로 뒤집힌 판단[768참조], 생존에 대한 집착[탐애/속박] -- 죽음에 대한 두려움[767 ‘죽음에 대한 뒤집힌 판단’ 참조], 등등 |
1057 | 무지한 멍청이는 생존인소(生存因素)에 집착하고, 몇 번씩이나 괴로움을 받고 있소. 이로 인하여 지혜로운 사람은, 괴로움을 낳는 원인을 꿰뚫어 보고, 생존인소(生存因素)에 집착하지 않소. |
1058 | 당신께서는 저희들이 가지고 있는 의문에 대하여 답하여 주셨습니다. 저는 당신께 다른 한 개의 문제를 더 여쭙고자 합니다. 청컨데 저에게 말씀해 주십시요. 지혜로운 사람은 어떻게 태어남과 늙음, 근심 걱정과 비통의 흐름을 건너갑니까? 당신께 해답을 청합니다, 성인이시여! 왜냐하면 당신께서는 이에 대한 법문을 알고 계시기 때문입니다. |
1059 | 세존께서 말씀하셨다. "미덕고여! 나는 그대에게 이 전에는 들어 보지 못한 법문을 해석해 주려고 하오. 이 법문을 알고, 사려가 깊은 사람을 성취하고, 그런 후에 세상을 떠돌아 다니면, 세상[생존]의 집착을 건너갈 수 있소." |
1060 | 성인이시여, 저는 그 무상적(無上的) 법문을 들으면 기쁘겠습니다. 그 법문을 알고, 사려가 깊은 사람을 성취하고, 그런 후에 세상을 떠돌아 다니어, 세상[생존]의 집착을 건너가겠습니다. |
1061 | 세존께서 말씀하셨다. "미덕고여! 그대가 알고 있는 상하좌우와 중간의 어떠한 것에 대해서도 즐거움을 취(取)하거나, 의지(依支)하거나, 집착(執着)하여서는 아니 되고, 생존에 대하여 연연해 하는 마음이 없어야 하오." |
1062 | 이러한 생활을 하는 비구가, 깊이 사려하고, 분투노력(奮鬪努力)하며, 이기심을 버리고, 태어남과 늙음, 근심 걱정과 비통을 극복한 후에, 세상을 떠돌아 다니면, 이 세상에서 지혜로운 사람을 성취할 수 있고, 괴로움에서도 벗어날 수 있소. |
1063 | 미덕고: 성인께서는 생존인소(生存因素)의 제거에 대하여 투철한 설명을 해 주셨습니다. 고오타마여! 저는 듣고 한없이 기쁩니다. 세존께서는 괴로움을 확실히 벗어나셨습니다. 왜냐하면 당신께서는 이 법문을 알고 계시기 때문입니다. * 생존인소(生存因素): 자아[나]에 대한 집착[탐애/속박] -- 무아(無我)가 유아(有我)로, 뒤집힌 판단[762 참조], (감각적) 즐거움에 대한 집착[탐애/속박] -- 즐거움과 괴로움, 서로 뒤집힌 판단[768참조], 생존에 대한 집착[탐애/속박] -- 죽음에 대한 두려움[767 ‘죽음에 대한 뒤집힌 판단’ 참조], 등등 <* 열반(涅槃) 또는 극락인소(極樂因素): 무아(無我), 고행(苦行)[분투노력/정진], 죽음(에 대한 두려움 없음)[죽음에 대한 깨달음], 등등> |
1064 | 성인이시여! 당신의 가르침을 받는 사람은 언제나, 확실히 괴로움을 벗어날 것입니다. 따라서 저는 당신께 경배하고자 합니다, 고상하신 분이시여! 다만 세존께서 저에게 가르침을 내려 주심을 끊지 말아 주시기를 원합니다. |
1065 | 세존: 지혜가 넓고 깊으며, 집착(執着)하는 바가 없고, 탐애(貪愛)에 빠지지 않는, 이러한 바라문은 확실히 물[생존]의 흐름을 건너, 속박[장애]도 없고, (생노병사의) 괴로움도 없는, 피안(彼岸)으로 갈 수 있소. |
1066 | 그는 이 세상의 지혜로운 사람으로, 지식이 넓고 깊으며, 되풀이 되는 생존에 대한 집착에서 벗어나고, 탐애(貪愛)를 제거하며, 괴로움에서 벗어나오. 나는 이러한 사람은 태어남과 늙음을 뛰어 넘는다고 말하오. |
'종교 > 수타니파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수타니파타 Ⅴ. 피안도품(彼岸道品) 6. 오파습파(烏波濕婆)의 물음 (0) | 2019.01.07 |
---|---|
수타니파타 Ⅴ. 피안도품(彼岸道品) 5. 타다가(陀多迦)의 물음 (0) | 2019.01.04 |
수타니파타 Ⅴ. 피안도품(彼岸道品) 3. 포나가(布那迦)의 물음 (0) | 2019.01.02 |
수타니파타 Ⅴ. 피안도품(彼岸道品) 2. 제사(提舍) 미륵(彌勒)의 물음 (0) | 2018.12.28 |
수타니파타 Ⅴ. 피안도품(彼岸道品) 1. 아기다(阿耆多)의 물음 (0) | 2018.12.27 |